KCI등재
조선 전기 수박희(手搏戱)의 존재와 의미: 여산 수박희를 중심으로 = The Existence and Meaning of Subakhee in Joseon Dynasty: Centered on Yeosan Subakhee
저자
심승구 (한국체육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체육사학회지(KOREAN JOURNAL OF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7-98(12쪽)
제공처
신증동국여지승람 (1530)에 따르면, 여산군 작지(현 논산시)에서 매년 7월 15일 충청과 전라 두 도에 사는 주민들이 모여 수박희로 승부를 가렸다는 내용이 보인다. 이 기록은 임진왜란 이전 수박이 민간의 세시놀이로 성행한 사실을 증명하는 사례라는 점에서 무예사적 의미가 크다. 격투 무예인 수박이 문헌상 처음 등장한 것은 12세기이다. 수박은 군대의 무예훈련과 함께 무인의 선발 또는 승진 수단으로 쓰였다. 이때 수박은 국왕 또는 왕실의 관람용 유희로도 기능하였다. 수박희라는 용어는 여기서 비롯하였다. 수박의 기능은 고려 말을 거쳐 조선으로 그대로 이어졌다. 신왕조는 집권체제를 정비하면서 갑사, 방패군 등의 중앙군을 수박으로 뽑았다. 심지어 수박을 친시 무과의 초시 과목으로도 채택하였다. 그러자 수박은 하층민에게 신분 상승의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조선 전기에 수박이 백중날 호남과 호서 경계의 세시풍속으로 정착한 배경에는 이 같은 사회적 분위기가 작용한 것으로 이해된다.
더보기According to the Sinseungdongguk Yeoji Seungram (1530), it is said that every July 15 in Jokjigol, Yeosan-gun (now Nonsan-si), residents from two provinces, Chungcheongnam-do and Jeolla-do, gathered to compete in a watermelon game. This record is historically significant because it proves that watermelon was practiced as a civilian sessi-nori before the Imjin War. The f irst written mention o f subak as a martial art was i n the 12th century. It was u sed as a martial arts training for the military and as a means of selecting or promoting martial artists. It also served as an entertainment for the king or royal court. This is where the term watermelon dance originated. The function of watermelon was carried over to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Goryeo Dynasty. As the New Dynasty reorganized i ts power system, i t chose watermel ons for its central army, such as the armor and shield troops. They even adopted watermelon as the first subject of the Chinsi Mugwai. Watermelon then served as a backdrop for the lower classes, inspiring the desire to rise in status. This social atmosphere i s understood t o have p layed a r ol e in t he b ackground of watermel on's s ettlement as a S eshi c ustom on the borders of Honam and Hose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