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환상서사에 나타난 시각적 정신병리 구현 양상 연구 ― TV 드라마 <주군의 태양>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spect of Visual Psychopathological Embodiment Appearing in Fantasy ― Mainly on the basis of TV drama <Jugunui Taeya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71-301(31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As materials with diverse fantasy are recently managed in TV drama, they tend to increase quantitatively. Especially, ghost narration mainly based on vindictive spirit-vengeance has begun to be in new variation without being limited to horror genre since 2010. This article intends to investigate the aspect where reconstructed desire is revealed as the persons with antipodal visual psychopathology change their position in ambivalent world with the subject, rocomic horror TV drama <Jugunui Taeyang>.
Suffering dyslexia due to syndrome of kidnapping case in childhood, Ju Jungwon is in the state of a kind of hysteric blindness. Rejecting to let anybody join the world personally constructed by him, ‘Kingdom’, he lives computatively, only viewing what is visible to him. On the contrary, Tae Gongsil whose eyes are extended even to invisible world communicates with ghost on the borderline of reality and death. Since her world is full of scary and weird ghosts, she is excluded by most people as a stranger.
Since the first encounter when they found that ghost disappears if Tae Gong Sil contacts the body of Ju Jungwon, she entered his closed world. As a result, Ju Jungwon faces the kidnapping case with Cha Heeju who remains with scar and escapes from autistic world. Attentively listening to the appeal of ghost, Tae Gongsil sympathizes with their story. As those who are in the ambivalent world begin to recognize, accept and sympathize with existence that is different from them, they destroy their own world. <Jugunui Taeyang> seems to have positive value in that it makes crack in the belief of time where solidarity and fellowship is discolored and fades away.
최근 TV 드라마에서 환상서사가 다양한 소재를 다루며 양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특히 2010년 이후 ‘원혼-해원’ 서사를 주축으로 하는 귀신서사가 공포장르에 한정되지 않고 새롭게 변주되기 시작한다. 이 글에서는 ‘로코믹호러’ TV 드라마 <주군의 태양>을 대상으로, 양립된 세계에서 대척적인 시각적 정신병리를 지닌 인물들이 그들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재구성된 욕망이 드러나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어릴 적 납치 사건에 대한 증후로 난독증을 겪고 있는 주중원은 일종의 ‘히스테리성 실명’ 상태이다. 그는 스스로 구축해놓은 ‘킹덤’이라는 세계 안에 누군가가 합류하는 것을 거부하며 본인의 눈에 보이는 것만 보며 철저하게 계산적으로 살아간다. 반면에 비가시적 세계까지 확장된 시선을 지닌 태공실은 현실과 죽음의 경계에서 귀신과 소통한다. 그녀의 세계에는 무섭고 섬뜩한 귀신들이 가득하기 때문에 태공실은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이방인으로서 배제된다.
태공실이 주중원의 몸에 접촉하면 귀신이 사라진다는 것을 알게 된 ‘첫 만남’ 이후, 그녀가 밀폐되어 있던 그의 세계로 들어간다. 그 결과 주중원은 ‘상처’로 남아 있는 차희주와 납치 사건을 마주하면서 자폐적인 세계에서 벗어나고, 태공실은 귀신들의 하소연을 경청하며 그들의 이야기에 공감한다. 즉 양립된 세계에 위치한 이들이 자신과 다른 존재를 인정하고 받아들이고 공감하기 시작하면서 자신만의 세계를 허문다. 연대·유대감이 퇴색하고 사라지는 시대적 믿음에 균열을 만들어 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의 가치는 분명해 보인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61 | 1.138 | 0.1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