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애착이론에 근거한 돌봄과 그것의 구성요인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3-255(23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코로나19 상황으로 문제에 대한 호소도 늘어나고, 돌봄의 전문성에 대한 요청도 증 가했다. 그것은 기독교 목회자, 신자, 그리고 신앙공동체가 제공하는 목회적 돌봄도 전문성의 제고를 요구한다. 이를 위해, 돌봄과 그것의 구성요인에 대한 심리학, 특히 애착이론을 살펴본다. 애착과 돌봄이 밀접한 관계에 있고, 그것들의 특징을 행동체계 라는 관점에서 살펴볼 때, 그것은 선천적이고, 목표지향적이고. 기능적이다. 그리고 내 적 작동모형이라는 인지적 측면 및 감정적 측면과 결합되어 있다. 애착이론에서 효과적 돌봄은 안정형 애착에서 이어진다. 이 연결은 민감성과 감정 조절로 설명된다. 민감성은 환경적 요인이고 돌봄의 구체적 기술을 포함한다. 돌봄이 필요한 사람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사람이 일관성과 신뢰성을 갖고 안전, 조율, 진정, 존재의 인정, 성장의 격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감정조절은 자신에게 민감성을 제공 한 애착 인물의 표상을 내면화해서 긍정적 자존감을 형성한다. 그러면 자신에게 집착 하거나 자신을 보호하려고 상대방의 고통을 회피하지 않는다. 오히려 상대방과 환경 의 요구와 변화에 효과적으로 지각하고 반응하게 된다. 애착이론에 근거해서 돌봄을 분석한 후 목회적 돌봄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은 복잡하기 때문에 역동적 균형이 필요하다. 상대방의 보호와 위로의 제공 뿐만 아니라 성장에 대한 격려와 공간의 제공이 필요하다. 양자는 모순처럼 느껴질 수 있기 때문에, 역동적 균형이 필요하다. 둘째, 돌봄은 감정조절과 민감성의 기술이 필요하다. 감정을 제공하는 사람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할 수 있을 때, 상대방과 적절 하게 접촉하고 작업할 수 있다. 그리고 구체적 행동으로 나타나는 기술을 사용해서 상대방이 돌봄을 느끼고 성장하도록 한다.
더보기As Covid-19 Pandemic keeps individual’s complaints and stress increasing, it is demanded to develop caregiving further. It matters more and more to care for the need professionally even in Christian ministers, members, and groups. To grow the capacity, caregiving and its constituting factors are to be examined in terms of the attachment theory. Caregiving and attachment are either side of a coin and both of them are innate, goal-oriented, and functional in that they are behavioral systems. And both include affective process and cognitive process, that is called ‘internal working model.’ By the attachment theory, the optimal functioning of caregiving results from secure attachment. They are mediated by sensitivity and emotional regulation. Sensitivity, an environmental factor, includes practical skills for caregiving. Specifically, caregivers provide safety, attunement, soothing, recognition, and support consistently and reliably. Emotional regulation is based on positive self-esteem derived from mental representations of the attachment figure’s sensitive relationships experiences. It reduces the needs to preoccupy the self, inflate the self-esteem defensively, or to avoid personal distress for the protection of the self. Rather, it increases the capacity to assess and respond the demands or states of the need and their situations effectively.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caregiving in terms of the attachment theory, there are a couple of suggestions for enhancement in pastoral care. First, caregiving is so complex that it is involved in dynamic equilibrium. It includes support for exploration and mastery as well as provision of protection and soothing. But one may be contradictory to the other. To reconcile the two dimensions, a caregiver’s dynamic equalibrium matters. Second, caregiving includes both emotional regulation and sensitivity. To witness and process personal distress functionally, caregivers can regulate their own emotions. In addition, They employ practical skills or behaviors to facilitate the senses of being cared for and mastering in the need.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81 | 1.81 | 1.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3 | 1.4 | 0.653 | 0.6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