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hVda 환경에서 한국어 학습자가 발화한 단모음의 포먼트 궤적 연구 : 중국인 여성 초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ant trajectory of a single vowels spoken by Korean learners in hVda environment: Focusing on Chinese female beginner learne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주제어
KDC
373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33-744(1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목적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발화한 한국어 단모음의 동적 변화를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단모음을 발음할 때 일으키는 오류의 특징을 분석하고 한국어 발음을 지도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방법 이를 위해서 서울 소재 대학 언어 교육원에서 한국어 2급을 공부하고 있는 중국인 여성 학습자 5명과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 출생⋅성장한 여성 한국인 모어 화자 5명이 hVda 환경에서 발화한 단모음의 포먼트 궤적을 구하여 비교⋅대조하였다. 먼저 hVda로 구성된 실험 자료를 녹음하여 음성 분석 프로그램인 Praat에서 선후행하는 자음을 제거하고 단모음만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단모음을 스크립트를 사용해 균등하게 분할하여 6개 지점의 1과 F2 값을 구하고 이를 하나의 선으로 연결하였다. 결과 그 결과 전체적으로 한국인 모어 화자에 비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포먼트 궤적의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설 모음은 두 집단 간 큰 차이가 없었으나 후설 모음은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포먼트 궤적이 상대적으로 더 동적이었다. 후설 모음 중에서 /오/와 /어/는 중반부 이후에 상승하는데 그 상승 정도가 한국인 모어 화자들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보아 /오/와 /어/를 발음할 때 중반부를 지나면서부터 한국인 모어 화자에 비해 구강 내에서 혀를 상대적으로 앞에 위치한 상태로 조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모음을 발음할 때는 전설 모음에서는 포먼트 궤적의 형태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 중설과 후설 모음을 발음할 때는 한국인이 조음한 모음의 포먼트 궤적과 다른 형태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인 학습자들이 모음 /어/를 /이/와 /오/, /오/를 /우/로 혼동해서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인 학습자들이 후설 조음을 조음할 때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입모양이나 혀의 위치를 더 많이 움직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ynamic change of Korean single vowels uttered by Chinese learners. Through this,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rrors that Chinese learners cause when pronouncing Korean single vowels and to teach Korean pronunci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formant trajectories of single vowels uttered in the hVda environment were obtained and compared and contrasted by 5 Chinese female learners studying Korean level 2 at a university language education center in Seoul and 5 female Korean native speakers born and raised in Seoul and Gyeonggi. First, by recording the experimental data composed of hVda, leading and trailing consonants were removed in Praat, a voice analysis program, and only single vowels were extracted. The single vowels thus extracted were equally divided using a script to obtain the 1 and F2 values of 6 points and connected with a single line. Results As a result, overall, the change in the formant trajectory of Chinese learners was greater than that of native Korean speakers. In particula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front vowel, but the formant trajectory of Chinese learners was relatively more dynamic in the back vowel than the native Korean speakers. Among the back vowels, /o/wa /uh/ rises after the middle part, and the degree of rise is larger than that of native Korean speakers. It can be seen that articulation is performed with the tongue positioned relatively in front of the oral cavity. Conclusion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when Chinese learners Korean vowels, the formant trajectory does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rmant trajectory of the front vowel, but when pronouncing the middle and back vowels, the formant trajectory is different from the formant trajectory of the Korean articulated vowels. can It can be seen that Chinese learners confuse the vowels /uh/ with /i/ and /o/, and /o/ with /u/. It can be seen that when Chinese learners articulate the back vowel, they move their mouth shape and tongue position more than native Korean speaker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