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두언의 사회운동과 문학운동 = Pak Du-eon’s Social Movement and Literary Movemen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1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3-149(37쪽)
제공처
Pak Du-eon was a juvenile activist, peasant activist, and also youth activist. While he was doing the service for the innovative movement during the colonial era, he published several literary works. His works include various genres. This is evidence that shows he was paying attention to the trend of the literary world and also a counterevidence that shows he suffered about the way of literary acceptance in the social reality. Though he was an activist, he did not do any damage to the formal elements of literature. He started from children’s songs and then walked through the path to fairly tales, poems, criticism, and novels. This kind of trend seems to have been the literary response to the colonial reality getting worse and worse day after day. It is sorry that his literary activity did not continue but was distorted from the 1930’s with such things as collecting legends. However, it is obvious that his works did help the formation of the literary world in Jeonbuk. Also, the case of his tells us the fact that there are a lot of unknown social activists’ contributions other than a few famous writers’ until the Korean literary world managed to be what it had to be.
더보기박두언은 전북 김제 출신의 소년운동가요 농민운동가이며 청년운동가였다. 그는 고향에서 벌어진 여러 운동에 참여하는 동안에 피압박 원주민의 처지를 자각했고, 그것을 문학작품의 생산으로 승화한 인물이다.
그는 식민지의 변혁운동에 복무하는 동안, 수 편의 문학작품을 발표하였다. 그의 작품들은 여러 장르에 걸쳐 있다. 이것은 그가 문단의 추이를 눈여겨보고 있었다는 증거이며, 사회적 현실의 문학적 수용방식에 고뇌하고 있었다는 반증이다.
그는 운동가답지 않게 문학의 형식적 요소를 훼손하지 않았다. 그는 동요에서 출발하여 동화시, 평론, 소설로 나아가는 경로를 밟았다. 이러한 추세는 날이 갈수록 악화되는 식민지 현실에 따른 문학적 대응으로 보인다. 그의 문학 활동이 지속되지 못하고 1930년대에 접어들어 전설의 수집 등으로 기울어지고, 마친내 흔적조차 찾아볼 수 없게 산화한 점은 아쉽다.
그렇지만 그의 작품들은 전북 문단의 형성을 도와준 것이 분명하다. 또한 그의 사례는 한국 문단이 제 모습을 갖추기까지에는 소수의 유명작가들 외에도 무명의 사회운동가들의 공헌이 적잖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또한 식민지의 한 소년이 각종 사회운동의 영향을 받아 의식화되고, 장차 변혁운동의 주체로 거듭난 경우란 점에서 박두언의 자리는 독특하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