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도의 공익소송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Review of the Public Interest Litigation(PIL) in Indi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69-402(3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blic interest litigation(PIL) in India has its own characteristics, distinguishing it from other countries‘ PIL systems. Since the PIL in India was introduced in the 1970s, this innovative system has developed in three phases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Indian society. The PIL in India has positively reflected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Indian society, and it has clearly shown the judicial policy protecting certain interests of marginalized groups in India. In other words, India’s PIL system sets forth the purpose of ensuring the ‘access of justice’ for all social classes. Especially, the Indian PIL has its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 in the Indian Constitution. This constitutional basis could be found in the Fundamental Rights(FRs), the Directive Principles of State Policy(DPs), and the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historical phases of institutional development, the constitutional theories and cases, and the specific judicial procedures of the PIL in India, and to derive its unique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e paper focuses on the discussion of relaxation of locus standi, procedural flexibility, inquisitorial approach, the fact-finding commissions in evidence procedures, and judicial remedies extended to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justice. Furthermore, the paper examines the criticisms and limitations of the Indian PIL, including concerns related to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judicial capacity, the disguised public interests, overuse of lawsuits, and judicial populism. In conclusion, the paper provides the overall evaluation of the Indian PIL to prospect the future of the Korean public interest litigation.
인도의 공익소송은 다른 국가의 공익소송제도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속성을 갖고있으며, 이로 인해 이론적・실무적 차원에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인도사회의 특수한 상황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혁신적인 공익소송제도는 1970년대에 도입된 이래로, 인도사회의 시대역사적 맥락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단계적으로 발전해 왔다. 인도의 공익소송은 제도의 도입 시점에서부터 여타 공익소송제도와 구별되는 정책적 방향성을 분명히 갖고 있었다. 즉, 인도의 공익소송제도는 모든 사회계층의 사법접근권 보장이라는 목적성을 분명히 하고 있으며, 이는 인도 공익소송의 사상적 기초라고 할 수 있다. 인도의 공익소송제도는 특히 헌법에 그 이론적・실천적 토대를 갖고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헌법적 기초는 헌법 제3장의 기본권, 헌법 제4장의 지도원칙, 그리고 사법부의 독립성에서 발견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도 공익소송제도의 역사적 발전단계, 헌법이론적 기초, 그리고 구체적인 공익소송 제도 및 절차를 분석하여, 인도 공익소송의 독자적인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때 원고적격 요건의 완화, 절차적 융통성, 규문주의적 접근방식, 증거절차에서 위원회의 역할, 입법적 사법과 행정적 사법으로 설명되는 사법적 구제방식의 다양화에 대한 논의가 중심을 이룰 것이다. 다음으로 인도의 공익소송제도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더불어, 주되게 논의되고 있는 비판점 및 한계를 면밀히 다루도록 한다. 특히 인도 사법부의 광범위한 권한 행사로 인해 제기된 권력분립원칙 훼손의 문제와 공익실현의 실효성, 공익을 가장한 사익 목적의 소송제기로 초래되는 소송남용, 그리고 사법적 포퓰리즘 등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나아가 인도의 공익소송제도에 대한 개관 및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 공익소송제도에서의 성찰점을 정리함으로써 결론에 갈음하고자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1 | 0.81 | 0.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5 | 0.68 | 0.998 | 0.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