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사회 참여적 메시지가 강조된 비평적 디자인의 표현 유형과 확장적 속성 연구 = A Study on Expression Type and extensional Properties of critical Design emphasizing social Messag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97-408(12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소장기관
비평적 디자인이라는 개념은 1999년, 영국의 디자이너 ‘앤서니 던’의 저서 「헤르츠 이야기; 탈물질 시대의 비평적 디자인」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으며 산업디자인이라는 기존의 직능이 더 이상 과거와 똑같은 방식으로 존재할 수 없다는 자각으로부터 도래하였다. 비평적 디자인은 1970년대 이탈리아의 급진적 디자인 운동과 1990년대 개념적 디자인의 계보를 잇는 것이며, 오늘날에는 우리 사회의 변화를 위한 비평가의 역할로서 진화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적 소명의식과 책임감에 기저하고 있는 비평적 디자인의 가치와 의의를 살펴봄으로써 그동안 지나치게 한 방향으로만 치우쳐있던 디자인계의 현실을 다시 되짚어 보고, 디자인이 대중들에게 어떠한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지 모색하는 것에 있다. 다양한 비평적 디자인 프로젝트들을 디자인의 내부적 경계 사이를 넘나드는 표현 유형, 디자인과 타 장르 간의 융합에 의한 표현 유형, 디자인의 범주에서 탈피한 일상적 표현 형식 차용의 유형 등으로 분류 및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여 비평적 디자인에는 확장적 속성이 강하게 내재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비평적 디자인은 시각적, 미학적 설계를 넘어 디자인적 사고방식을 재구성 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태도이며 방법론이 아닌 입장이다. 궁극적으로 본고에서 고찰된 비평적 디자인의 세 가지 특징은 탈물성화에 따른 탈보편화의 성향, 경계에 서 있는 다원 예술적 성향, 사회 참여적 메시지를 강조하기 위한 일상화의 성향이다. 현대 디자인에 전환적 담론을 제시하고 있는 비평적 디자인은 사회적 혁신의 본보기로서 주목받을 만한 역량을 지니고 있으며 디자인의 고유 경계를 벗어나 새로운 영역들을 적극적으로 개척하고 있다. 향후, 비평적 디자인이 당대의 디자인의 장을 어떻게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는가에 관한 객관적인 검증 연구가 보완된다면 보다 다양한 맥락에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The term, critical design, was first introduced by 'Anthony Dunne' in his 「Hertzian Tales: Electronic Product, Aesthetic Experience, and Critical Design」, published in 1999. It reflected the difficulty of maintaining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n the function of industrial design. Critical design was influenced by the radical design movement in the 1970's Italy and the conceptual design of the 90's. It is not unprecedented that today's industrial designers assume the role of critic for social chang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critical design which vigorously incorporates socially conscious and responsibility. In doing so, one can re-evaluate the imbalance in the industrial design, and find how design delivers social message with the public. Various critical design projects are examin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the expression type of design that traverses internal boundaries, design that converses with different genres, and the type of borrowing a daily expression form out of design area. It demonstrates that there are expansive attributes internalized within the critical design. Critical design is a perspective, and attitude, not methodology, of re-structuring ones's way of contemplating design beyond visual and aesthetic planning. Ultimately,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critical design mirror the growing perspective of de-generalization through de-materialization, borderline pluralistic in art and design, and newly found emphasis on commonality by adapting participative and socially aware messages. Critical design is proposing convertible discourse for the concept of contemporary design. It deserves to be recognized as an example of social innovation capable of exploring new territories beyond the inherent boundaries of design. If more researches follow and produce results which objectively verify and support critical design having positive impact on the field of industrial design, then one can expect flux of diverse and varied designs within the contexts of critical desig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2-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4 | 0.512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