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체벌의 정당성 문제에 대한 윤리학적 접근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57-180(24쪽)
제공처
체벌은 우리 학교 교육에서 중요한 교육 수단의 하나로 인정되어 왔다. 그런데 체벌의 정당성에 대한 논의는 주로 교육의 성과와 연관해서 체벌이 어떤 긍정적 혹은 부정적 효과를 갖는가 하는 문제에 집중해왔다. 그러나 체벌 문제는 단순히 효과에 대한 논의만으로는 올바른 접근이 쉽지 않은 문제이다.
왜냐하면 체벌과 연관해서는 인간을 어떻게 보느냐 하는 인간관의 문제 및 우리 몸이 가지고 있는 의미가 무엇인가 하는 등의 좀 더 근본적인 철학적 문제들이 제기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체벌의 정당성 문제는 윤리학에서는 크게 세 가지 맥락에서 검토될 있다. 우선 윤리학의 핵심적 주제 중의 하나인 처벌 문제의 맥락에서 검토될 수 있다. 처벌 문제에 접근하는 철학적 입장으로는 공리주의와 응보주의가 대표적이다. 먼저 공리주의 관점에서는 체벌이 처벌로서의 효과가 있는가 하는 문제가 쟁점이 된다. 따라서 교정의 효과 및 예방의 효과 여부가 정당성 논의의 핵심이 되어 이를 놓고 체벌긍정론과 부정론이 대립하게 된다. 그러나 공리주의적 접근은 공리주의 자체의 약점 외에도, 체벌의 효과가 상대적이고 유동적이기 때문에 효과에 대한 객관적 검증이 쉽지 않다는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응보주의의 관점에서 체벌의 정당화 문제를 검토해 볼 필요성이 생기는데, 이때 중요한 문제는 몸이라는 것이 과연 처벌의 정당한 대상일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전통적 합리주의의 인간론은 인간정신을 주체로 본다. 그러나 메를로-퐁티를 비롯한 일군의 철학자들은 몸에 대한 새로운 철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구조화되고 습관화된 몸이 진정한 주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입장에 근거할 경우 응보주의의 관점에서 체벌이 정당화될 기초가 마련된다.
세 번째 가능한 접근 방식은 사회 윤리적 접근으로서 이미 보편적으로 확립된 ‘인권’개념과 체벌이 조화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 때, 인권 침해 없이 체벌이 시행될 수 있는 조건이 현실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그런 조건에 관련 당사자들이 동의할 수 있다면, 체벌의 정당성은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Corporal Punishment has a important meaning especially in our educational circumstances. So far, most argumentations on the justifiability of the corporal punishment have concentrated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it. But to illuminate this problem, it is not enough only to discuss it in the level of effects, because more fundamental philosophical issues lie under it.
First of all, the justifiability of the corporal punishment can be investigated in the context of theory of punishment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ethics. There are two main currents to access the problem of punishment. One is the approach of utilitarianism, which concentrates on the effects. But not only for the defects of utilitarianism itself, but also for the difficulties in the objective verification of the effects, it faces some troubles.
So it is necessary to try the other approach that is called the retributive theory. Here, it should be examined whether our body can be the objects of the punishment. Traditional rationalist say ‘No', because they believe the mind is the only subject. But some of modern western philosophers including Merleau-Ponty say ‘Yes’, because they think that the body, constructed by interaction with the world, can be the subject. On the basis of this view, corporal punishment can be justified.
Finally, We can approach the problem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ethics. Here the concept of human right is a fundamental principle. Especially the rights of the youth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Insofar as the corporal punishment doesn't harm to the human right, it can be justified.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