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본지풍광』「염화미소」화의 수시게송에 대한 시론적 독해 = A Study on The teaching as a Preface(垂示) from “The Story of Have one mind(拈花微笑)”, the second chapter of The Scenery of the true heart(本地風光)
저자
강경구 (동의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7-158(42쪽)
제공처
이 고찰은 성철스님의 상당법문집인 『본지풍광』의 제2칙 「염화미소」에 대한 시론적 독해이다. 석가모니가 꽃을 들어 올리자 마하가섭이 미소를 짓는다. 이에 석가모니는 여래의 정법안장, 열반묘심을 가섭에게 전수한다고 선언한다. 성철스님은 『본지풍광』에서 각각의 공안에 대해 그 독해를 이끌 서론으로서의 「수시(垂示)」를 제시하면서 여기에 핵심 메시지를 담는다. 그러므로 『본지풍광』에 대한 독해는 「수시」를 중심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여기에 성철선을 구성하는 주요 저작인 『백일법문』과 『선문정로』 또한 중요하게 참고할 필요가 있다. 논리적 언어로 기술된 『백일법문』과 『선문정로』가 『본지풍광』의 불가해한 언어들을 독해하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선사들의 언어는 모순적 양 측면의 동시적 공존을 특징으로 한다. 양가적이다. 그것은 불이적 실상을 전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 결과이다. 이에 비해 언어는 분별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니까 불이적 실상을 분별적 언어로 표현해야 한다는 불가능한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 선문의 언어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협연이다. 협연에는 주와 객을 나누어 전개되는 인물 상호 간의 협연, 현언묘구(玄言妙句)라 불리는 언어 내적 협연, 언어적 표현과 환경과의 협연이 있다. 인물 간의 협연이란 무엇인가? 세존이 하나를 보이자 마하가섭이 둘로 응답한다. 이 상호 간의 협연을 통해 공통성과 차별성의 동시적 구현이 일어난다. 언어적 협연은 시적 대구의 방식이나 어불성설의 방식 등을 통해 구현된다. 환경과의 협연은 선적 대화가 이루어지는 내외적 맥락과의 연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공통성의 구현이 곧 차별성의 완전한 되살아남이기도 하다는 실상의 이치를 그대로 드러낸다.
This study is on The teaching as a Preface(垂示) from “The Story of Have one mind(拈花微笑)”, the second chapter of The Scenery of the true heart(本地風光). In the story, when Shakyamuni Buddha raises a flower, Mahākāśyapa smiles. Shakyamuni then declares that he will transmit the Buddha's true Dharma seal and the subtle mind of Nirvana to Kāśyapa. This event serves as the focal point for discussing the Buddha's mind, and the study aims to interpret this story. The reason for focusing on The teaching as a Preface(垂示), because it is emphasized as containing the core message that Master Seongcheol wished to convey.
In this study, The hundred days of sermons(百日法門) and he True Path to Zen Enlightenment(禪門正路) are essential references, as they are presented in a logical language. The language of Zen masters often reflects the paradoxical nature of reality, or the simultaneous coexistence of seemingly contradictory aspects. This paradoxical language is the best means to convey the reality witnessed in the state of enlightenment. However, all language can only exist when dividing the indivisible reality into two, which is why The Harmony of Truth becomes necessary.
There are two kinds of The Harmony of Truth: one in which the roles of subject and object are separated, unfolding between the interaction of characters; and another linguistic The Harmony of Truth called profound expressions or subtle words(玄言妙句). When the Buddha shows one, Mahākāśyapa responds with two. Through this mutual collaboration, the simultaneous manifestation of wholeness and differentiation occurs. Linguistic collaboration is carried out through poetic parallelism, illogical reasoning, or the fusion with the environment. It holds contradictory aspects together in a unified view. In this way, it reveals the profound truth that the non-self that lets go of the ego is, in fact, the complete revival of all discriminations. Most typically, as seen in the The Story of Have one mind, it is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master and the disciple, or between fellow practitioners. It is also a performance revealing the interdependent arising of the dharma realm, where all things and events are interrelated and rely on each other for their existenc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