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자기 해방으로서의 정치와 미학 -랑시에르의 정치와 미학의 동일성- = Politics and Aesthetics as Auto-Emancipation - Jacques Ranciere`s Identity of Politics and Aesthetics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00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5-224(40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프랑스의 정치철학자 자크 랑시에르는 정치와 미학을 `감각적인 것의 나눔`의 문제로 파악함으로써 미학을 정치의 토대에 위치시킨다. 서양 고대 정치철학의 전통 안에서 정치는 인간 본성에 근거한 `자질`의 `나눔`으로 간주되었다. 각 개인들의 자질에 의해 그가 있어야 할 자리가 나누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랑시에르는 나눔이 정치의 토대가 아닌 정치의 대상이라고 주장하며 나눔 그 자체를 사유할 것을 촉구한다. 나눔은 장소들의 나눔이며, 이는 무엇이 중심에 있고 무엇이 주변에 있으며, 무엇이 안에 있고 무엇이 바깥에 있는지, 무엇이 보일 수 있고 무엇이 보일 수 없는가에 관한 경계들을 설정하는 것이다. 즉 나눔은 근본적으로, 시공간과 관련된 감각적인 것의 나눔인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미학과 정치의 공통점이다. 미학과 정치 모두 감각적인 것의 나눔의 형식, 다른 말로, 감각적 경험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랑시에르의 정치에 대한 작업은 정치가 `미학적 문제`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시도에 다름 아니며, 랑시에르의 예술론은 그의 정치철학을 경유해서만, 혹은 반대로, 그의 정치철학은 미학을 경유해서만 이해될 수 있다. 본고는 우선 랑시에르의 예술론을 그의 정치철학적 사유와의 연관성 속에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랑시에르의 예술론이 가진 해방의 가능성과 더불어 거기에서 비롯되는 문제를 제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랑시에르는 칸트와 실러의 미학이 보여주는 `탈정체화로서의 미적 실천`을 정치의 발생으로 파악한다. 하지만 미적 실천의 물질적 조건에 대해선 함구한다는 것과, 탈정체화를 핵심으로 하는 미적 실천을 곧바로 정치와 동일시한다는 점에서 논의의 여지를 남긴다.
더보기The uniqueness of Jacques Ranciere`s thought is that he grasps politics and aesthetics as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and by doing so he locates aesthetics in the foundations of politics. Ancient political philosophy founds politics a distribution of faculties based on human nature. However, Ranciere argues the distribution is not the foundation of politics but the object of politics, and encourages us to think about the distribution itself. Distribution is the distribution of place, which is to establish borders regarding what is inside and what is outside, what is seen and what is not seen. That is to say, it is basically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and it is what politics and aesthetics have in common. Aesthetics and politics, both of them are the matter of form of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and sensible experience. Ranciere`s work on politics is an attempt to show politics is a matter of aesthetics; therefore, his theory of art should be understandable through his political philosophy.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Ranciere`s theory of art by means of his political thought, and suggesting the limit of his thought.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3-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umanities | KCI등재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7-2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원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for Humanities -> Institute for Humanities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 | 0.4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5 | 0.35 | 0.858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