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신(新)중국애니메이션학파 스타일 연구 중국학파애니메이션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yle of the New Chinese Animation School Based on the Comparison with Chinese School Anim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78-304(27쪽)
제공처
Since the success of <Monkey King: The Hero> in 2015, Chinese animation has seen remarkable industrial development Recently, many have termed the newly released Chinese animations as the “The New Chinese School of Animation” to signify their inheritance of the legacy of the past “Chinese School Animation.” However, the indiscriminate use of terminology without precise conceptual definition in academic research is not a desirable phenomenon. Without proper establishment of terms and categorization of concepts, it leads to confusion about the attributes and scope of the research subject and sparks unproductive debates, making productive discussions impossibl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current Chinese animations are inheriting the “Chinese School Animation” and whether the term “The New Chinese Animation School” is indeed valid. The use of ethnic artistic elements is a major characteristic of the “Chinese School Animation” style, which can be encapsulated by the use of Chinese ethnic art in the expressions of narrative, characters, and background design. In this paper, we focus on analyzing the narrative, characters, and backgrounds of <Monkey King: The Hero> and <Prince Nezha’s Triumph Against Dragon King> which are considered representative works of the “New Chinese Animation School,” to extract unique stylistic features and examine the conditions required for these animations to be categorized as a “school” or genre.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Chinese animations produced after 2015, except for the use of narrative material, did not utilize Chinese ethnic art elements. In narratives, only the material was borrowed while following the epic structure of hero mythology. In the character design process, it was difficult to see the use of ethnic art elements. In architectural design, which constitutes a large part of the background, classical architectural elements were massively borrowed, but the use of ethnic art elements was not prominent. In conclusion, apart from utilizing the settings of Chinese classical epic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Chinese animations after 2015 inherit the style of the past “Chinese School Animation,” and it is also challenging to view the animations termed as “The New Chinese Animation School” as pursuing the same style. There is already a 40-year time gap between the “Chinese School Animation” and the recent Chinese animations. During this time, the animation production environment has completely changed. Post-2015 Chinese animations have developed to meet audience preferences with advanced technology, gaining recognition. Therefore, rather than clinging to the past glory of “Chinese School Animation,” it is time for multifaceted research to establish modern Chinese animations as a conceptual term. Future research on Chinese animations post-2015 should consider defining them with a new term.
더보기2015년 <신서유기>의 흥행 이후 중국 애니메이션은 산업적으로 눈부신 발전을 보이고 있다. 이에 최근개봉하는 중국 애니메이션을 과거 ‘중국학파애니메이션(中國學派動畫)’의 위상을 계승한다는 의미에서‘신중국애니메이션학파(新中國動畫學派)’라고 명명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학술 연구에서 정확한 개념 정의없이 용어가 남용되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다. 용어의 정립과 개념의 범주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연구 대상의 속성과 연구 범위의 혼란이 야기되고, 소모적인 논쟁을 촉발함으로써 생산적인 논의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현재의 중국 애니메이션이 ‘중국학파애니메이션’을 어떻게 계승하고 있는지, ‘신중국애니메이션학파’라는 용어가 과연 성립 가능한 것인지 검토하고자 한다. 민족예술 요소의 활용은 ‘중국학파애니메이션’ 스타일의 주요 특징으로, 그 스타일을 확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요소는 내러티브, 캐릭터, 배경 디자인 등의 표현에서 중국민족예술을 활용했다는 것으로 압축될 수 있다. 이에본 논문에서는 신중국애니메이션학파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신서유기>와 <나타지마동강세>의 내러티브와 캐릭터, 배경 등을 집중 분석해 고유한 스타일 특성을 추출하고, 이 애니메이션들이 하나의 학파 또는 장르로서 범주화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을 검토했다. 분석 결과, 2015년 이후 중국에서 제작된 애니메이션은 내러티브의소재 활용을 제외하고는 중국 민족예술 요소를 활용하고 있지 않았다. 내러티브에서는 소재만 차용하고 영웅 신화의 서사 구조에 따랐으며, 캐릭터 디자인 과정에서도 민족예술 요소들은 활용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웠다. 배경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축 디자인에서는 고전 건축 요소를 대량으로 차용하고 있으나, 민족예술 요소의활용이 두드러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2015년 이후 중국 애니메이션은 중국 고전 서사의 설정을 활용했다는 점 외에 과거의 ‘중국학파애니메이션’ 스타일을 계승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신중국애니메이션학파’로 명명되는 애니메이션들이 동일한 스타일을 추구한다고 보기도 어려웠다. ‘중국학파애니메이션’과 최근 발표되는 중국 애니메이션과는 이미 40년의 시간적 차이가 있다. 그동안 애니메이션 제작 환경은 완전히 변화했다. 2015년 이후 중국 애니메이션은 이 변화에 맞춰 발달된 기술력으로 관객의기호에 맞게 작품을 제작하였고,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중국학파애니메이션’이라는 과거의 명예에 연연하기보다는 현대 중국 애니메이션을 하나의 개념적 용어로 정립하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앞으로 2015년 이후 중국 애니메이션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새로운 명칭으로 지칭하는 것을 고민해 봐야 할 것이다.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