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OPUS
동맥전환술: 관상동맥이식 수기변형과 수술사망의 위험인자 = Arterial Switch Operation: The Technical Modification of Coronary Reimplantation and Risk Factors for Operative Death
저자
성시찬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이형두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시호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조광조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우종수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이영석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발행기관
학술지명
Journal of Chest Surgery(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4
작성언어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35-244(10쪽)
제공처
소장기관
Background: Anatomic correction of the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TGA) or Taussig-Bing anomaly by means of the arterial switch operation is now accepted as the therapeutic method of choice.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for operative deaths and the efficacy of technical modification of the coronary transfer. Material and Method: 85 arterial switch operations for TGA or Taussig-Bing anomaly which were performed by one surgeon from 1994 to July 2002 at Dong-A university hospital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Multivariate analysis of perioperative variables for operative mortality including technical modification of the coronary transfer was performed. Result: Overall postoperative hospital mortality was 20.0% (17/85). The mortality before 1998 was 31.0% (13/42), but reduced to 9.3% (4/43) from 1998. The mortality in the patients with arch anomaly was 61.5% (8/13), but 12.5% (9/72) in those without arch anomaly. In patients who underwent an open coronary reimplantation technique, the operative mortality was 28.1% (18/64), but 4.8% (1/21) in patients undergoing a technique of reimplantation coronary buttons after neoarotic reconstruction. Risk factors for operative death from multivariated analysis were cardiopulmonary bypass time (≥250 minutes), aortic cross-clamping time (≥150 minutes), aortic arch anomaly, preoperative event, and open coronary reimplantation technique. Conclusion: Operative mortality has been reduced with time. Aortic arch anomaly and preoperative events were important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mortality. However atypical coronary artery patterns did not work as risk factors. We think that the technical modification of coronary artery transfe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e postoperative mortality of arterial switch operation.
더보기배경: 동맥전환술은 대혈관전위증이나 Taussig-Bing 기형의 가장 보편적인 수술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동맥전환술 후 수술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와 함께 관상동맥 이식 수기변형의 유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부터 2002년 7월까지 동맥전환술을 동아대학교 병원에서 한 명의 외과의에 의하여 시행된 85예의 대혈관전위증과 양대혈관 우심실기시증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관상동맥이식 수기변형 등 수술(병원)사망에 관여한다고 생각하는 여러 인자들을 다변량 회귀분석을 통해 수술사망에 미치는 위험인자들을 파악하였다. 결과: 전체 수술사망(병원사망)은 모두 17예(20%)였으며 수술사망률이 98년 이전은 31.0% (13/42), 98년 이후는 9.3% (4/43)로 감소하였다. 대동맥궁 기형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는 전체 사망률이 12.5% (9/72)였으나 동반된 경우는 61.5% (8/13)로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관상동맥이식 수기변형을 하지 않은 경우 사망률은 28.1% (18/64)를 보인 반면 관상동맥이식 수기변형을 한 경우는 4.8% (1/21)로 많은 사망률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다변량 회귀분석에서 심폐기가동시간(≥250분), 대동맥차단시간(≥150분), 대동맥궁기형이 동반된 경우, 수술 전 사건(event)이 있었던 경우, 개방 관상동맥 이식술(open coronary reimplantation technique)이 수술사망의 위험인자로 파악되었다. 결론: 동맥전환술의 수술사망률은 수술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대동맥궁 기형의 동반과 술 전 사건(event)이 수술사망의 중요 위험인자였다. 비전형적 관상동맥 형태는 수술사망의 위험요소가 아니었으며 관상동맥 이식의 수기변형이 수술사망을 낮추는 데 매우 유효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