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코르티코스테론 유도 우울증 마우스 모델에서 우울 행동 및 우울증 관련 바이오마커 평가
저자
서미경(Mi Kyoung Seo) ; 김수련(Su Ryeon Kim) ; 이정구(Jung Goo Lee) ; 이규희(Gyu-Hui Lee) ; 강덕경(Deok-Gyeong Kang) ; 김희창(Heechang Kim) ; 석대현(Dae-Hyun Seog) ; 이진영(Jin Young Lee) ; 박성우(Sung Woo Park)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47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44-455(12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우울증의 병태생리는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지만,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HPA) 축의 기능 이상, 신경 가소성 손상, 면역체계의 이상과 같은 가설이 주요하게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HPA 축 과활성을 모방한 코르티코스테론 유도 우울증 모델에서 신경 가소성 및 신경 염증 관련 지표를 분석하여 우울 행동의 기저 기전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수컷 마우스에게 21일 동안 매일 코르티코스테론(20 mg/kg, 피하주사)을 투여하였으며, 이후 우울 행동은 자당 선호도 검사, 강제 수영검사, 꼬리 매달기 검사를 통해 평가하였다. 또한, 불안 관련 행동은 개방 필드 검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신경 가소성 지표(BDNF, PSD-95, synapsin 1) 및 신경염증 지표(HMGB1, S100B, NLRP3, TNF-α, IL-1β)의 발현을 해마 조직에서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코르티코스테론을 투여한 마우스는 우울 행동을 보였으며, 이는 강제 수영 검사(p=0.068) 및 꼬리 매달기 검사(p=0.019)에서의 부동 시간 증가와 자당 선호도 검사(p<0.001)에서의 자당 섭취 감소로 확인되었다. 또한, 불안 관련 행동 변화로서 개방 필드 검사에서 중심 영역 진입 횟수 감소(p=0.046) 및 시작 지연 시간 증가(p=0.043)가 관찰되었다. 해마에서 신경 가소성 관련 단백질인 BDNF (p=0.036), PSD-95 (p=0.002), synapsin 1 (p=0.005)의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무균성 염증과 관련된 HMGB1 (p=0.001), S100B (p=0.026), NLRP3 (p=0.007)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추가로, IL-1β의 수준이 증가하였으며(p=0.035), TNF-α의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p=0.246). 이러한 결과는 만성 코르티코스테론 투여가 해마 기능 장애를 유발하며, 이는 신경 가소성 감소 및 무균성 염증 반응의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코르티코스테론 유도 우울증 모델이 신경 가소성과 신경 염증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항우울제 후보 물질을 연구하는 데 유용한 도구임을 뒷받침한다.
더보기While the hypotheses involving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HPA) axis dysregulation, impaired neuroplasticity, and immune dysfunction are prominent, the pathophysiology of depression remains unclea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depression-like behaviors and their mechanisms by examining neuroplasticity and neuroinflammatory markers in a corticosterone-induced depression model that mimics HPA axis hyperactivity. Male mice received corticosterone (20 mg/kg, subcutaneously) daily for 21 days. Depression-like behaviors were assessed using the sucrose preference test (SPT), forced swim test (FST), and tail suspension test (TST), while anxiety-like behaviors were evaluated through the open field test (OFT). Neuroplasticity markers (BDNF, PSD-95, and synapsin 1) and neuroinflammatory markers (HMGB1, S100B, NLRP3, TNF-α, and IL-1β) were measured in hippocampal tissue using Western blotting. Corticosterone-treated mice exhibited depression-like be- haviors, evidenced by increased immobility in the FST (p=0.068) and TST (p=0.019), as well as decreased sucrose intake in the SPT (p<0.001). These mice also showed anxiety-like behaviors, characterized by reduced center entries (p=0.046) and prolonged starting latency (p=0.043) in the OFT. Corticosterone reduced the expression of neuroplasticity markers, including BDNF (p=0.036), PSD-95 (p=0.002), and synapsin 1 (p=0.005), in the hippocampus. Conversely, sterile inflammation-related markers such as HMGB1 (p=0.001), S100B (p=0.026), and NLRP3 (p=0.007) were elevated. Additionally, IL-1β levels increased (p=0.035), while TNF-α level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ronic corticosterone induces hippocampal dys- function by reducing neuroplasticity and enhancing sterile inflammation. These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the corticosterone-induced depression model is a useful tool for investigating antidepressant candidates that target neuroplasticity and neuroinflammatory pathway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