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후기-근대 “전문엄마”의 자리에서 읽는 크리스테바의 “아브젝트” 모성 = A Critical Reflection on Kristeva’s “Abject” Motherhood in Comparison with the “Professional Mother” Position of the Late-modern Korean Socie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9-179(31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이 논문은 1997년 이후 신자유주의적 경쟁 체제로 진행된 한국 사회에서 점차 전문화된 모성 실천의 의미화 과정을 사회학적으로 성찰하고 이를 크리스테바의 ‘아브젝트(abject)’ 모성 개념으로 비판적 평가를 시도한 연구이다. 논자는 근현대 관료제(bureaucracy)가 요구하는 지식 노동자의 특성을 자녀들에게 교육하는 양육자로서 전문화된 후기-근대 사회의 모성 집단을 “전문 엄마”라고 칭하는데, 이 집단은 대한민국 산업 자본주의의 호황기(1960년대~80년대)에 형성된 다수의 중산층 전업주부 범주가 한 세대를 거치는 동안 사회변동과 맞물리며 진화된 형태의 동질 집단이다. 고용불안정성, 안정된 일자리의 감소 등으로 요약되는 ‘1997년 이후 체제’는 산업사회의 구조 개편으로 생산 노동 영역에서 자유로워진 집단인 전업주부들로 하여금 가사보다는 육아, 특히 현 시스템에서 안정적이고 높은 자리에 오를 수 있는 지식 획득에 집중하도록 만들었는데, 그 과정에서 모성 실천을 전문화한 “전문엄마”들은 자녀들의 개인적 의미화나 주체화를 방해하는 가장 강력한 타자로 존재하게 되었다는 것이 본 논문의 문제 제기이다.
이에 크리스테바가 주장하는바 ‘차이를 인정하는 공존 가능성’의 기반이 되는 ‘아브젝트’한 모성 개념을 고찰함으로써, 본 연구는 유사 이래 가장 강력한 의미화 집단으로 자리 잡은 후기-근대형 ‘전문엄마’의 동력을 건강한 상호주체성(inter-subjectivity) 형성의 에너지로 전환하는 데 유의미한 공헌을 하기 위한 담론 형성을 시도한다. 가부장적 정신분석학 담론에서 대상화, 타자화된 수동적 몸으로 응시되어온 모성의 자리를 비판하고, 유아의 생애 초기부터 처음 그리고 지속적으로 공존하며 강력한 영향을 주고 받아온 어머니에 주목하며, 크리스테바는 유아의 의미화 구성에 끊임없는 위협이 되는 존재로서의 ‘아브젝트’한 어머니와의 관계적 경험이 가진 창조적 승화의 역량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더구나 가부장제 안에 온전히 포섭되지 않은 어머니의 의미들, 아직 가부장적 상징계 안의 구조와 언어를 습득하지 않은 자녀들의 상호 교류 속에서 갖게 되는 ‘아브젝트’한 경험들은 서로의 주체적 경계를 만들어가는 에너지가 되며 나아가 그것이 상징계 안에서 표현 가능한 언어로 승화될 때 기존의 상징계를 재구성하는 자원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아브젝트 모성이 제시하는 기호계와 상징계 사이의 갈등, 어머니의 의미화와 자녀의 의미화 사이의 투쟁 등을 창조적 주체 형성의 중요한 과정과 에너지로 평가하면서, 본 논문은 후기-근대형 ‘전문 엄마’ 집단이 현재 결여하고 있는 ‘아브젝트’한 상호주체성을 4차 산업혁명 이후 급격하게 변화해갈 사회의 새로운 구조와 언어를 만들어갈 주체적 인간 역량으로 제안한다. 나아가 기독교 신학적 인간 이해에 근거한 본회퍼의 “형성의 윤리”와 만나는 지점을 향후 연구과제로 제시한다.
This is a sociological study about “professional mother,” which is a typological motherhood institutionalized by the neo-liberal societal orders of the 21st late-modern Korea, followed by a critical evaluation on the performativity of the “professional mother” in a comparative reflection with Julia Kristeva’s theoretical concept of “abject” motherhood. Influenced by the rapidly changing social institutions of the late-modern Korea since the year of 1997, such as the flexibility of employment and instability of the bureaucratic position, housewives who have been placed in the private home have started to concentrate their meaningful works on professional and effective management of their children’s knowledge education. In spite of their sincere and furious devotion, however, the strong engagement of the “professional mother” in the growth of their children prevents them from establishing subjectivity not only of their children’s but also theirs own.
In use of the concept of “abject” motherhood, for that reason, this study aims to invite the powerful energy of the professional mothers to the formation of inter-subjectivity between the mother and her children. Criticizing patriarchal interpretation of mother as a passive object in the traditional psychoanalysis, Kristeva insists that a child’s experience of being with his/her mother as ‘abject’ is the first and most significant rel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subjectivity. In the process of struggling with his or her mother’s meanings which constantly invade the existential boundary of the child, the child acquires his/her subjectivity by placing them “abject” in the marginal line of his/her being. It is also the mother’s life-going task to establish her own subjective and meaningful boundary while encountering the “abject” coexistence with her children. According to Kristeva, such process of positioning “abject” and symbolizing one’s own meaning into a language leads both a mother and her children to accomplish the subjectivity and also provides the possibility of creative languages and symbols, which could be the resources of re-constructing the given social orders and systems and also of preparing the new world and human relations which the fourth-industrial revolution would change. This article in a concluding mark suggests a further study of Christian theological reflection of Bonhoeffer’s “ethic of formation” in relation with the task of new ways of being ‘mother.’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5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46 | 0.558 | 0.4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