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메타버스 기반 버추얼 콘텐츠를 활용한 패션문화자본의 구축과 진화 = Construction and Evolution of Fashion Cultural Capital Using Virtual Contents Based on Metavers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99-318(20쪽)
제공처
본 연구는 이미 온라인을 중심축으로 재편된 패션계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전략으로서 메타버스 기술 기반의 버추얼 콘텐츠 연구에 대한 필요성에 주목하였으며, 문화자본과의 연계성을 분석하는 차별화된접근법을 통해 브랜드 문화자본 구축에 있어 패션 버추얼 콘텐츠의 가치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패션브랜드의 미래 대응과 진화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버추얼 테크가 패션에 구체적사례로 제시되기 시작한 2010년부터 2024년까지로 설정하였으며, 관련 선행연구 및 단행본, 국내 인터넷 신문기사, 경제연구소나 패션전문 기관의 보고서, 브랜드홈페이지, 유튜브, 버추얼 콘텐츠 관련 플랫폼이나 각브랜드의 앱, 인스타그램 등을 중심으로 한 문헌연구와 정성적 분석 및 실증연구로 진행하였다.
버추얼 패션 콘텐츠 매체의 유형화는 크게 버추얼패션 비즈니스, 버추얼 패션 엔터테인먼트, 버추얼 패션 아트로 분류하였고, 세부유형은 버추얼 패션쇼, 버추얼 패션 쇼룸, 버추얼 패션 게임, 버추얼 패션 필름, 버추얼 패션 전시, 버추얼 패션 룩북으로 분류하였다.
패션 버추얼 콘텐츠 매체의 활용 특성은 브랜드와관련된 경험을 중심적 요소로 놓고 메타버스의 구조와활동을 파악한 SPICE 모델을 토대로, 메타버스 공간에서 아바타에 입혀지는 브랜드 제품이나 서비스가 실제 현실에서도 소유 및 체험 가능한 형태로 연동되는연속성, AR과 VR 등의 실재감 기술을 통해 실존하는것처럼 느끼게 되는 실재감, 현실과 메타버스 플랫폼등의 다양한 매체가 서로 정보교환이 가능하도록 구호화되어진 것을 뜻하는 상호운영성, 여러 소비자가 동시에 같은 메타버스 패션 공간에서 활동할 수 있음을의미하는 동시성, 가상환경에서의 패션 아이템이 경제자산으로 활용되는 경제흐름의 5가지로 분석하였다.
패션 버추얼 콘텐츠와 브랜드 문화자본과의 연계성은 브르디외의 문화자본 분류인 체화된 문화자본, 객체화된 문화자본, 제도화된 문화자본, 상속된 문화자본, 획득된 문화자본을 바탕으로, 경제적 문화자본, 심미적 문화자본, 경험적 문화자본, 사회적 문화자본으로유형화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적 문화자본으로서의 브랜드 자산의 경계 확장, 심미적 문화자본으로서의 브랜드 정체성 표현 한계 확장, 경험적 문화자본으로서 현실과 가상 양방향 브랜드 경험 연계, 사회적 문화자본으로서 아바타를 통한 패션 자아의 참여성 증대로 구조화하였다.
브랜드 문화자본 구축을 위한 패션 버추얼 콘텐츠의가치는 홀브룩, 켈러, 파인 & 길모어, 벨크, 바고와 러쉬, 브르디외의 이론을 바탕으로, 실감형 기술을 통해시공간을 넘나드는 물리적 확장을 가능케 하는 다차원적 경험 가치, 아바타 패션을 통해 현실과는 다른 자아 정체성을 표현하는 복합적 자아표현의 가치, 엔터테인먼트적인 경험을 통해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는 유희적 가치, NFT와 같이 경제적 고유성을 가지는경제적 가치, 연결성을 가진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문화적 취향 공동체를 형성하면서 교류하게 되는 사회적상호작용의 가치로 분석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need for metaverse technology-based virtual content research as a strategy that can dominate the fashion world, which has already been reorganized online, and aims to identify the value of fashion virtual content in building brand cultural capital through a differentiated approach that analyzes the connection with cultural capital and examine the future response and evolution of fashion brands based on this.
The temporal range of the study was set from 2010 to 2024, when virtual tech began to be presented as a specific example of fashion, and related prior research and books, domestic Internet newspaper articles, reports from economic research institutes or fashion institutions, literature research centered on brand homepages, YouTube, virtual content-related platforms, apps of each brand, and Instagram, and qualitative analysis and empirical research were conducted.
The categorization of virtual fashion content media was largely classified into virtual fashion business, virtual fashion entertainment, and virtual fashion art, and the detailed types were classified into virtual fashion show, virtual showroom, virtual fashion game, virtual fashion film, virtual fashion exhibition, and virtual fashion look book.
Based on the SPICE model, which identifies the structure and activities of the metaverse with brandrelated experiences as a central fact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fashion virtual content media are analyzed into five categories: ‘seamlessness’, in which a brand’s products or services applied to avatars in the metaverse space are owned and linked in a form that can be experienced in real life, ‘presence’, in which various media such as reality and metaverse platforms can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interoperability’, which means that multiple consumers can work in the same metaverse fashion space at the same time, and ‘economy flow’ in which fashion items in a virtual environment are used as economic assets.
Based on Bourdieu’s cultural capital classification of embodied cultural capital, objectified cultural capital, institutionalized cultural capital, inherited cultural capital, and acquired cultural capital, the connection between fashion virtual content and brand cultural capital was categorized into economic cultural capital, aesthetic cultural capital, empirical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ultural capital. And based on this, it was structured by expanding the boundaries of brand assets as economic cultural capital, expanding the expression limits of brand identity as aesthetic cultural capital, linking real and virtual two-way brand experiences as empirical cultural capital, and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of fashion self through avatars as social cultural capital.
Based on Holbrook, Keller, Fine & Gilmour, Belk, Bago and Rush, Bourdieu, the values of fashion virtual contents for building brand cultural capital were analyzed as multidimensional experimental value, which enables physical expansion across time and space through realistic technology, complex self-expression value, which expresses self-identity different from reality through avatar fashion, hedonic value, which draws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entertainment experiences, economic value with economic uniqueness such as NFTs, and social interaction value, which interacts while forming a cultural taste community through digital media with economic value connectivit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