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권력구조 및 사법개혁과 관련된 헌법개정안 검토― ‘대통령 4년 1차연임제 개헌안’의 내용과 특징을 중심으로 ― = A Review on President Moon Jae-in’s Proposal for Constitutional Revision — With focus on Four-Year Two Term Presidential System and Judicial Reform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9-64(36쪽)
KCI 피인용횟수
8
제공처
소장기관
On 26 March, 2018, President Moon Jae-in submitted a proposal for constitutional revision. The essential part of his proposal is centered on the change of five-year single term presidency to four-year two term presidential system together with the enhancement of checks and balances among governmental powers. However, this proposal was not passed in the National Assembly until 24 May, the constitutional deadline of the legislature’s resolution on constitutional revision. Although the presidential proposal failed to be passed, it will be a starting point for, if any, future discussion on constitutional revision at least during President Moon’s term which will end on 9 May 2022 so that it deserves an academic review.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President Moon’s constitutional reform proposals in the field of governmental structure including judicial reform. The focus of this reform lies in the enhancement of checks and balances among governmental powers. Although it retains the presidential system, the president’s and executive branch’s powers in the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processes are curtailed while the legislature’s power to control the executive is strengthened. The author basically supports this proposal though he is still unsatisfied with some insufficient reforms, e.g. the remaining power of the Chief Justice of the Supreme Court in judicial appointment and a failed attempt to increase control over the composition of the executive branch. In particular, the author rebuts the main challenges against President Moon’s proposals based upon four-year two term presidential system, especially those supporting a semi-presidential system or dualist executiv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system on the ground that this mutated form of government pertains to the endemic instability and ungovernability as well as the danger of what may be called “elective dictatorship”.
The author concludes that since the political parties in the National Assembly have failed to produce any constructive agreement on the desirable governmental structure, it is the peoples themselves who can decide the preferable form of government by way of deliberative democracy, e.g. deliberative polling or conference.
2018.3.26. 발의된 문재인 대통령의 헌법개정안이 2018.5.24. 국회에서 투표불성립을 이유로 사실상 폐기되었다. 아직 국회에 헌법개정 및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구성되어 있지만 임기가 2018.6.까지로 얼마 남아 있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대통령의 헌법개정안에 대한 심의조차 하지 못하는 등 1년이 넘는 기간 동안 제대로 된 활동실적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 공식적 개헌논의는 새로운 동력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이로써 87년 헌법체제의 성립이후 30여년만에 구축된 개헌의 소중한 계기가 무산될 위기에 처해있다.
이렇듯 향후 개헌논의가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는 불투명하지만 최소한 문재인 대통령 임기 내의 개헌논의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의 헌법개정안이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문재인 헌법개정안 중에서 사법부를 포함하는 권력구조 영역의 내용을 정리하고 그 동안의 개헌공론과정에서 제기된 핵심쟁점별로 비교ㆍ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재인 대통령의 헌법개정안은 대통령 4년 1차연임제를 골간으로 하면서 권력구조내에서 대통령과 정부의 권력을 일정부분 축소조정하는 한편 국회의 국정통제권을 강화하는 한편 감사제도개혁과 사법개혁을 도모하여 전반적으로 국가권력간 견제와 균형의 원리가 실질적으로 구현되는 안으로 평가된다. 일각에서는 소위 ‘분권형 대통령제’로 명명된 이원정부제를 대안으로 제시하는 관점에서 대통령 4년 1차연임제와 그와 결합된 사법개혁안이 현행 대통령제의 문제점을 해소하는데 역부족이라고 평가한다. 사법개혁안에서 대법원장의 인사관여권이 완전히 해소되지 못한 점, 정부의 법률안제출권이 실질적으로 유지된 점, 국무위원 및 행정각부의 장을 임명할 때 국회의 통제권을 효과적으로 강화하지 못한 점 등 보다 완벽한 견제와 균형의 메카니즘을 구축하는데 미흡한 점이 없지 않지만 국회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 높은 점, 경쟁관계에 있는 대안으로서의 이원정부제가 권력집중의 위험성과 정부의 불안정성과 비효율성의 위험성이 동시에 야기되는 구조적 한계를 가진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다수 국민이 지지를 받을 만한 개혁의 질을 확보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그 외 세부적인 쟁점들에 대해서도 비판론은 개헌논의를 무산시킬 정도의 논거를 제시하는데 실패하고 있다. 이런 점진적 개혁을 위한 개헌안이 국회에서 논의조차 되지 못하고 폐기된 것은 향후 개헌공론화에 헌법제정권자인 국민의 직접적인 참여가 더욱 요청되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8 | 1.08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4 | 0.96 | 1.025 | 0.3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