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어 내포문의 중국어 대응문장 고찰
저자
동연 (중국 山東理工大學 韓國語系 講師)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9-132(24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소장기관
한국어 내포문은 상위문 안에 하위문을 포함하는 복합문에 속한다. 한 국어 내포문은 문장 성분이 비교적 복잡하므로 중국어 대응문장을 어떻 게 구사해야하는지 학습자에게 어려울 수 있고, 어색한 중국어 문장이 나 오기 쉽다. 현재까지의 선행연구들은 모두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내포 문을 배울 때 모국어로 인해 발생되는 간섭 오류를 분석하면서 한국어 내 포문과 중국어 대응 문장의 개별적인 차이에 주목하였기에 한국어 내포문이 중국어 문장과 대응할 때의 일반 적인 특성에 대한 연구가 없다. 본 고는 내포문의 유형에 따라 중국어 대응문장의 특성을 밝혀 한국어를 공 부하는 중국인과 중국어를 공부하는 한국인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각 종류의 한국어 내포문을 중국어로 번역해 보면 내포문과 중국어 대응문 장의 구조가 비슷하고 일정한 규칙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부사절 내포문과 서술절 내포문은 형식이 비교적 복잡하고 다양하여 중국어 대 응문장과 차이가 많은 것도 있다. 후속 연구로 서술절 내포문과 부사절 내포문에서 중국어 대응문장과의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이 요구된다.
더보기Korean embedded sentences are a kind of sentences with embedded clauses. Because the sentence constituents are relatively complex, so it may be a little hard for the Korean learners to organize the language when the Korean is translated into Chinese and therefore awkward sentences are easy to be made. So far, all the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analyzing the mistakes the Chinese make when they are learning Korean embedded sentences due to the influence of their mother tongue, but no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embedded sentences and their corresponding Chinese sentences. This paper expound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mbedded sentences and their corresponding Chinese sentences separately according to the types of Korean embedded sentences and it is hoped to be helpful for both the Chinese and Korean who learn Korean and Chinese respectively. It’s found from the process in which various types of Korean embedded sentences are translated into Chinese that the Korean embedded sentences are similar to their corresponding Chinese sentences in the structure and they also have certain regularity. However, the forms of the embedded sentences with adverb clauses and those with predicate clauses are relatively complicated and diversified, so some of the Korean sentences are greatly different from their corresponding Chinese sentences in the structure, which needs to make further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types of Korean embedded sentences and their corresponding Chinese sentences in the follow-up stud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