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초등학생의 의생활 관리행동 필요도와 학습요구도에 관한 조사 연구 = A Parents Survey on Need to Study and Learning Needs of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3-92(20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parents' preference of clothing management, students' needs of clothing management, parents' perception of clothing section and their learning needs, based upon random sampling of 451 parents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ross country. Following is the results.
First of all, a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the needs to study and learning needs of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well as clothing life preference among parents. As a result, three different group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level (high, medium, and low) by the cluster analysis, and the students' need and learning needs were found to have four factors (purchase & usage, organization & storage, disposal and planning) and two factors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and clothing life culture and functional knowledge) respectively.
Second, parents tended to perceive independence level of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among children as average or negative. Also, when it comes to children's needs on clothing management, 'purchases and usages' ranked the first, followed by 'organization and storage', 'disposal' and 'planning'. The average factor scores, over 3.67, show a consistent high demands of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despite substantial differences across clusters.
Third, 'average' was the parents' perception level of clothing education, based upon their own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days, while only 'highly interested' cohort showed rather 'positive'.
Fourth, both learning needs and needs to study, although slightly different across cohorts, were very high among children. And learning needs of clothing education appeared high through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and 'clothing culture and functional knowledge', while 'how to store clothing in an appropriate way' appeared highly necessary compared to 'making a simple clothing item'. As the latter may grow needs of 'activity to practice of sharing and services', nevertheless, the making activity may be designed to focus on humanity development rather than functional knowledge.
Those research outcomes imply that parents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strong needs and demands for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that is clothing education itself too. Future research may include survey on teachers an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which were not covered in this research focusing on parents.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의생활 관리행동 필요도와 실과 의생활 교육에서의 학습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전국 초등학생 학부모 총 4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의생활 관리행동 관심도에 대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낮은 관심집단’, ‘보통 관심집단’, ‘높은 관심집단’의 3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의 의생활 관리행동에 대한 필요도는 ‘구입과 사용’, ‘정리와 보관’, ‘처분’, ‘계획’의 4개의 요인으로, 의생활교육에 대한 학습요구도는 ‘의생활 관리행동 학습’과 ‘의생활문화와 기능습득 학습’의 2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학부모들은 '초등학생 자녀의 의생활 관리행동인식과 자립도’에 대해서는 보통, 혹은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초등학생 의생활 관리행동의 필요도에 대해 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구입과 사용’이 가장 높고 ‘정리와 보관’, ‘처분’, ‘계획’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모든 요인에서 의생활 관리행동에 대해 필요도가 높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학부모들이 초등학교 재학당시 ‘실과의생활 교육에 대한 인식’은 ‘보통이다’로 다소 부정적인 응답을 보였으며, 군집별로 보면 ‘높은 관심집단’만이 다소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넷째, 자녀들의 실과의생활교육에 대한 학습필요도(3.81)와 요구도(3.84)는 집단 간 차이는 있었으나 모두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과 의생활교육의 학습요구도는 ‘의생활 관리행동 학습’(3.94), ‘의생활문화와 기능습득 학습’(3.82)의 두 영역 모두 요구도가 높았다. 특히, ‘간단한 의생활소품 만들기’의 학습요구도에 비해 '나눔과 봉사를 실천할 수 있는 만들기' 활동에서 학습요구도가 높게 나타나 만들기 활동을 기능중심이 아닌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초등학생 학부모들은 자녀의 의생활 관리행동에 대한 필요도와 학습요구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자신의 자녀들이 학교 교육을 통해 의생활 관리행동에 대한 전반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기를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15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0.97 | 1.367 | 0.3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