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몽골의 비변호사들의 소송상 대리행위에 관한 논의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3-62(30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민사소송절차에서의 대리인 제도는 당사자를 대신하여 당사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또는 소송절차의 명확하고 신속한 처리를 위한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나라들은 이러 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조금 더 안전적인 제도적 방향을 법에 정하려고 노력한다. 따라서 전문 변호사가 소송절차에 도입되면서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더 안전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국가에서 인정한 특별한 자격(예: 변호사 자격증 등)을 통해 변호사임을 입증함과 동시 이에 따라 해당 법에 정하고 있는 의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책임을 물을 수 있는 법률적 환경이 만들 어지게 된다. 하지만 몽골에서 지금까지 민사소송상 대리인제도에 관한 규정에 비변호사가 자발 적 대리행위를 할 수 있게 정하는 것은 사실상 사회에서 큰 문제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또한 변호사자격증이 없는 법률전공자 수가 너무나 많아 이들이 전공을 살려서 일할 수 있게 해주기 위해 실행되어 왔다. 하지만 자발적 대리인제도로 인해 당사자 누군가는 실질적으로 피해를 받아 온 경우가 사실은 많이 있었다. 그 이유는 자발적 대리인이란 존재는 소송절차에서 대리인 으로서 권리를 수행하여 왔지만 당사자를 대신하여 소송행위를 함에 있어 반드시 있어야 할 의무나 책임에 관한 구체적인 법률 근거가 없다는 것이다. 즉, 만약에 비변호사인 자발적 대리인 의 잘못으로 인해 당사자가 소송에서 패소하게 된 경우 자발적 대리인은 변호사가 아니므로 그의 책임문제를 해결해줄 방도가 별로 없다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당사자가 처음부터 비변 호사라는 사실을 모르고 대리인으로 수임하였지만 소송절차 중에 비변호사인 자발적 대리인의 무책임한 행동으로 인해 시간적⋅경제적 피해를 입고 나서 다시 대리인을 변호사로 변경하는 일이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민 사이에 법원과 법조인에 대한 신뢰를 훼손시키며, 소송절차 진행을 지연시키며, 법조인의 법조시장에서 활동법위를 줄이기 등의 실질적 폐해가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민사소송에서 변호사의 활동을 늘리고 반대로 비변호사인 자발적 대리 인들의 활동을 줄이는 것이 당사자의 법률 효과의 리스크뿐만 아니라 소송절차의 원활한 진행과 불필요한 소송방지 등 사법절차의 효율적인 운용에도 반드시 도움을 준다고 본다. 요즘 들어 몽골에서도 민사소송에서 변호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지만 국민들의 요구에 맞는 법률제도가 만들어지지 못하였을 뿐이다. 따라서 법률 환경의 변화가 상당히 진행되고 있는 지금 변호사대리제도의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해 보아야 된다고 본다. 변호사대리제도 도입의 가장 중요한 것은 충분한 변호사 수이고 몽골의 지금의 상황으로는 이것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변호사대리제도의 도입을 어떤 방향으로 하는가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단계적 도입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변호사대리제도의 시행 가능성은 충분히 인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인다
더보기Until now, it has not been a big problem in society to allow non-lawyers to voluntarily act as agents in Mongolian civil lawsuits. Because the number of legal majors without lawyer certificates is so large that it has been implemented to enable them to work by utilizing their majors.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cases in which someone in the party has been substantially damaged by the voluntary agency system.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existence of a voluntary agent(non-lawyers) has performed its rights as an agent in litigation proceedings, but there is no specific legal basis for the obligations or responsibilities that must be held due to litigation on behalf of the party. In other words, if the party wins or loses the lawsuit due to the fault of the voluntary agent, who is a non-lawyer, there is not much way to solve the problem of responsibility because the voluntary agent is not an attorney. What is more serious is that the party took over as an agent without knowing that he was a non-lawyer from the beginning, but often changed his agent back to an attorney after suffering temporal and economic damage due to the irresponsible behavior of a non-lawyer. Therefore, substantial harm such as damaging trust in courts and legal professionals among the people, delaying the proceedings of litigation, and reducing the law of activities in the legal market of legal professionals is seriously occurring. Therefore, increasing the activities of lawyers in civil lawsuits and reducing the activities of voluntary agents who are non-lawyers must help efficiently operate judicial procedures, such as smooth proceedings and unnecessary litigation prevention. Nowadays, even in Mongolia, awareness of the need for lawyers in civil lawsuits is increasing, but a legal system that meets the needs of the people has not been crea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ositively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the lawyer representation system now that the legal environment is changing considerably. The most important thing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lawyer representation system is the sufficient number of lawyers, and this is not a problem under the current situation in Mongolia. It is also very important in what direction the lawyer representation system is introduced. In terms of step-by-step introduction, it seems that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he lawyer representation system can be fully recognized.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4 | 0.34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1 | 0.31 | 0.412 | 0.2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