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동아시아 고대 신발 명칭의 통시적(通時的) 연구 = The Diachronic Study of Footwear’s Name in Ancient East Asi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85-323(39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ootwear culture of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in a diachronic perspective by focusing on the ancient footwear names in Chinese characters. The spatial range of the study is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of Korea, Japan and China. The time range is set as far back as the 10th century. The study was conducted by first defining the literal and etymological concepts and definitions of the footwear names of the three countries. Next I identifi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images such as relics, murals and paintings. After studying the names according to their definitions and identifying their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Chinese characters related to footwear are mostly determinative-phonetic characters and allowed to infer what the footwear was made of. In addition, there were a number of footwear names in Chinese characters from the three countries. These shared similar definitions and concepts. Records of their concepts from China (the place of origin of the characters) were relatively more specific and detailed in comparison to the other two countries. In order to identify the types of footwear that match with the names in Chinese characters that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ootwear were analyzed by studying footwear from each country through ancient records, relics and images. Ancient Chinese records showed that ‘Seok(舃)’ and ‘Ku(屨)’ were used in the ancient times, and ‘Li(履)’ was used during the Han(漢) dynasty, then was replaced by ‘Hye(鞵)’ in the Sui(隨) and the Tang(唐) dynasties. ‘Seok(舃)’ and ‘Ku(屨)’ from the ancient times were different because of the manufacturing methods of the sole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Hye(鞵)’ and ‘Li’ was shown to be ambiguous. The definitions of the two types from the three countries showed to have meaningful differences. ‘Hwa(靴)’, which was commonly found in all three countries, was worn and defined as a type of footwear that is high-cut and comes up to the ankle or above. However, it was found that ‘Hwa’ varied in manufacturing methods or structure depending on the time of origin.
더보기본 연구는 동아시아 삼국의 고대 신발 ‘한자’ 명칭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 삼국의 신발 문화를 이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한국·중국·일본의 동아시아 3국으로 하고, 시간적 범위는 10세기를 하한연대로 설정하 였다. 연구의 내용은 3국에서 나타나는 신발 명칭의 사전적·어원적인 개념과 의미를 파악하고, 유물 및 벽화, 회화 등의 이미지 자료를 통한 조형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먼저 각각의 의미에 따른 명칭들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고찰한 결과, 신발과 관련된 한자 명칭은 대부분 형성자(形聲字)의 양식을 가지고 있으며, 신발에 사용된 소재를 유추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또한 3국에서 유사한 의미와 개념으로 사용된 신발 한자 명칭이 많으며, 한자의 발생지인 중국에서의 인식이 다른 두 국가에 비해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기록되어 남아있었다.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는 한자 신발 명칭에 대응하는 신발의 유형 을 살펴보고자 고대의 기록과 유물 및 이미지 자료를 활용하여 각국의 신발 자료들을 확인하고 그 조형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먼저 중국의 고대 기록을 통해 고대에는 ‘석 (舃)’과 ‘구(屨)’가, ‘리(履)’는 한(漢)대 이후부터 사용되었으며, 수(隨)·당(唐) 시기에 ‘혜(鞵)’로 대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대의 ‘석’과 ‘구’는 각각 밑창 부분의 제작 방법에 따라 구분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한편 ‘혜(鞋)’와 ‘리’에 대한 유형 구분은 다소 모호한 부분이 있으며, 3국에서 사용하는 이 명칭들의 의미도 유의미한 차이점이 나타났 다. 마지막으로 3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화(靴)’는 운두가 높고 발목 이상까지 올라오는 신발류로 인식되어져 착용되었다. 그러나 화의 형태는 유입된 시기나 통로에 따라 제작 방법이나 구조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9 | 0.42 | 0.641 | 0.1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