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순천기독면려청년회 활동과 순천청년회 = Activities of Suncheon Gidok Myeonrye Cheongnyeonhoe and Suncheon Cheongnyeonho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9-194(26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paper looked into the youth movement in Suncheon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20s, focusing on organizing Suncheon Gidok Myeonrye Cheongnyeonhoe (Young People’s Society of Christian Endeavor in Suncheon) and its activities and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uncheon Gidok Myeonrye Cheongnyeonhoe and Suncheon Cheongnyeonhoe (Young People’s Society in Suncheon).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how persons who were active in the above organizations engaged in political and social movements in the conflict between the left and right wing after Korean liberation. The Suncheon Gidok Myeonrye Cheongnyeonhoe was organized on October 15, 1918 during the growth of Suncheon Eup Church (Church in the town of Suncheon). It was created in the considerably early period on the national level and stayed in existence during the beginning stage. In the early 1920s, the Suncheon Gidok Myeonrye Cheongnyeonhoe renewed its organization and unfolded activities around evangelism and an enlightenment campaign. Suncheon Cheongnyeonhoe led the youth movement in Suncheon with the Suncheon Gidok Myeonrye Cheongnyeonhoe. These organizations were a social movement in the Suncheon area, having close ties to each other in terms of personal organization or activities. However, their relationship began to collapse around the year 1923. The Suncheon Cheongnyeonhoe changed its organizational line embracing socialism and it triggered rearrangement of both organizations’ relationship.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youth movement in the Suncheon area in the 1920s emerged as leading figures of each camp during the conflict of the left and right wings after the liberation. Kim Yang Soo, Park Yeong Jin, Han Tae Seon and other members joined in the right wing camp. Lee Chang Soo, who moved his activity base to the Yeosoo area,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gures in the left wing. Lee Yeong Min or Kim Gi Soo, who did not join the staff of Suncheon Gidok Myeonrye Cheongnyeonhoe - active in Suncheon Cheongnyeonhoe, took part in the Suncheon People’s Committee.
더보기1920년대 전반기 순천지역의 청년운동을 순천기독면려청년회의 결성과 활동, 그리 고 순천기독면려청년회와 순천청년회와의 인적관계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 이 연구 는 순천기독면려청년회와 순천청년회에서 활동했던 인물들이 해방 후 순천지역사회, 더 나아가 전남동부지역사회 전면에 등장하여 좌우대립의 갈등구조 속에서 정치·사회운동 을 전개한 면모를 파악하는데도 기여할 수가 있다. 순천기독면려청년회는 순천읍교회가 성장을 거듭하는 과정에서 1918년 10월 15일 에 결성된 청년조직이다. 전국적인 차원에서 상당히 빠른 시기에 결성되었으며, 결성 초기에는 명맥만을 유지하다가 1920년대 초에 이르러 조직을 일신하고 전도와 계몽활 동에 중점을 두어 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순천기독면려청년회와 더불어 순천지역 청년운 동을 이끌어간 조직은 순천청년회였다. 두 조직은 인적구성이나 활동상으로 볼 때 서로 관계를 두텁게 유지하면서 지역사회운동을 전개해 나갔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는 1923년을 전후한 시기에 무너지기 시작하였다. 순천청년회가 사회주의사상을 수용하면서 조직 노선을 변화시켜 나간 것이 관계 재정립의 계기가 되었다. 1920년대 순천지역에서 청년운동을 전개한 세력은 해방 이후 좌우대립의 상황 속에 서 각기 양대 진영의 중심인물로 부상했다. 김양수, 박영진, 한태선 등은 우익진영에 가담하였으며, 1930년대 여수지역으로 활동기반을 옮겨갔던 이창수는 좌익계 대표 중 한 사람이었다. 순천기독면려청년회 임원으로 참여하지 않았지만 순천청년회에서 활동 한 이영민이나 김기수는 순천인민위원회에 참여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9 | 0.42 | 0.641 | 0.1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