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사이비 치료를 받지 않는 자폐성 장애아동의 부모는 무엇이 다른가?: 사이비 치료 보호요인에 대한 질적연구 = Parents of Autistic Children Who Avoid Pseudotherapies: A Qualitative Study of Protective Factors
저자
권정민 (서울교육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91-312(22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사이비 치료란 겉보기에는 과학적이고 근거가 있어보이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치료법을 의미한다. 사이비 치료는 아동에게 직접적으로 신체에 해를 입히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비 치료를 자폐성 장애 아동 부모가 시도하지 않거나 중도에 중단하게 되는 이유를탐색하고, 그 과정에서 작동하는 보호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모 25명을 대상으로 심층 반구조화 인터뷰를 실시하고, 근거이론적 개방⋅축⋅선택 코딩 절차를 거쳐 총 5개 상위 범주, 12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들을 보호하는 요인은 크게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비용⋅거리⋅ 치료의 질과 같은 구조적 요인이 현실적 제약으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사이비 치료를 방지하는 역할을 했다. 둘째, 장애 정도가 심하거나 자녀가 성장하면서 발달 단계가 바뀔 경우 부모는 현실적인 돌봄을 우선시하게되어 사이비 치료에 대한 기대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 개인의 비판적 사고와 정보 활용 능력이 높은 경우 사이비 치료에 대해 의심을 하게 만들어 사이비 치료를 피하거나 중단하게 만드는 것으로나타났다. 넷째, 가족의 지지, 건강한 부모 네트워크 및 제도적 지원과 같은 환경적 요인들이 부모의 불안을낮추고 현실적인 선택을 하도록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부모의 장애 수용과 심리적 불안을 감소시켰고 이는 결국 사이비 치료를 피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을 시사한다. 우선, 사이비 치료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제도적 지원부터 가족과 네트워크의 정서적 지지에 이르기까지 다층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아동의 성장과 발달 단계에따라 달라지는 부모의 요구를 반영하여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전략을 제공해야 한다. 동시에 사이비 치료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잘못된 광고나 과장된 치료법을 규제하는 제도적 장치와 공신력 있는 정보제공 사이트 구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부모 간의 건강한 자조 네트워크와 사회적 지지 체계를 활성화하여 부모들의 불안을 완화하고 현실적인 조언과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더보기In pediatric medicine and psychology, pseudotherapies pose significant risks as they may directly cause physical or psychological harm to the recipients, who lack the knowledge or means to avoid it. This study explored why parents of autistic children either choose not to pursue or discontinue their use of pseudotherapies, identifying the protective factors involved in this decision-making process.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5 parents,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grounded theory procedures involving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resulting in five main categories of protective factors against pseudotherapies. First, practical constraints like cost, distance, and quality deterred parents from such treatments. Second, greater disability severity or the children’s developmental needs encouraged realistic caregiving over pseudotherapies. Third, parents’ critical thinking and information-seeking skills fostered skepticism toward pseudotherapies, which prevented them from seeking or continuing the treatment. Fourth, support systems like family, parent networks, and institutions reduced parental anxiety and promoted informed decisions. Fifth, when combined, these factors increased parents’ acceptance of their children’s disabilities, which further discouraged pseudotherapy use. These findings have several implications. First, preventing pseudotherapies requires multi-layered support, including economic, institutional, familial, and social resources. Tailored strategies based on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are also crucial. Regulatory frameworks must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nd prevent misleading advertisements. Lastly, strengthening parental support networks helps reduce anxiety and encourages realistic advice sharing.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