統一新羅 王陵의 編年과 被葬者 比定 = The Chronological Order and Estimation about Tomb's Owner of Unified Silla Royal Tombs
The Unified Silla’s royal tombs have frame-structured(架構形) retaining stones, which are formed of twelve zodiac guardian god relievos(十二支神將像). Right beside of each individual tomb lies floor stones(薄石) and guard-rail stones(欄干石). Various sorts of stone-tomb sculptures(陵園石刻) are arranged inside the tomb area. King Seong-deok’s tomb, King Won-seong’s tomb, and King Heung-deok’s tomb are considered to be representative examples. They have received great attention throughout various academic fields of record-history, art-history, and archaeology. However, each researchers have different opinions on two domains of ‘Chronological order’ and ‘Estimation about tomb’s owner’.
The problem is that topics of ‘Chronological order’ and ‘Estimation about tomb’s owner’ ar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ly important in Unified Silla’s royal tomb studies. If chronological order and buried person’s identity of some tombs which have been inferred to be royal’s(傳稱王陵) are not commonly established,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each researchers will also be differently made in various ways. This problem will be an obstacle to the expansion of research fields of Unified Silla’s royal tomb.
Therefore, this dissertation first summarized former research status and excavation survey status related to chronological order and identification, then examined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m, and analyzed following shortcomings. Research methods of this paper set up in that way can be organized into five following ways.
Firstly, Seriation method will be used to chronologically sequence the royal tombs. Tombs that have textual data about the tomb’s owner, and place where historical record on burial site(葬地記事) can be specifically matched to current toponyms, will only be used as an absolute chronological data.
Secondly in seriation, not only those that have been mention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but attributes that have not been analyzed so far will also be examined in various ways. However, the case of twelve zodiac relievos will be excluded from the process even though there has been many former researches, since opinion differences between each researchers remain widely. They will be approached after chronological order is made, and then transitions on their appearance will be explained inside the chronology’s form.
Thirdly, data that has relatively stable chronological systems, such as excavated relics, burial chamber’s structure and etc, will be actively used.
Fourthly, there has been a suggestion that “some of the tombs which have been inferred to be royal’s” could actually be “high-noble’s grav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hierarchy of ancient tumulus in archaeology, are ‘the size of mound’, and ‘the composition of stone-tomb sculpture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chronological order, tombs that have previously considered to be royal’s will be examined hierarchically. Also they will be distinguished to royal tombs and high-noble’s grave.
Lastly, royal tombs of Unified Silla which is formed of twelve zodiac relievo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carvings in armor(武服), and carvings in plain clothes(平服). This has been previously understood in the scholarly circle as the result of different sculptor’s(畫工) work. However, garment differences of twelve zodiac relievo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 worshipers’ impression on the overall relievo. Therefore, this difference may represent the character of the tomb’s owner. This article will deduce the meaning of twelve zodiac relievos’ garment differences to uncover tomb’s buried person’s characters.
Based on the factors written above, this article attempts to chronologically order a total of 28 tombs that have been inferred to be royal’s. The result in time order is as follows.
Royal tomb of Queen Seondeok(善德女王陵, 632) → Royal tomb of King Muyeol(武烈王陵, 661) → Tomb in Yonggang-dong(龙江洞 古坟, constructed around 670-680, reconstructed in the mid-late 8th century), Tomb known as King Jinpyeong’s(传真平王陵), Tomb known as Kim In-mun’s(傳金仁問墓), Tomb known as Kim Yang’s(傳金阳墓), Tomb known as King Gyeongmyeong’s(傳景明王陵), Tomb known as King Sindeok’s(傳神德王陵), Tomb known as King Adala’s(傳阿達羅王陵), Tomb known as King Naemul’s(傳奈勿王陵), Tomb known as King Hyogong’s(傳孝恭王陵)(mid-late 7th century) → Stone chamber tomb in Sohyeon-ri(小見里 石室墳)(constructed in late 7th-early 8th centuries, complemented twelve zodiac statues 十二支神像 in the mid 8th century) → Tomb known as King Sinmun’s(傳神文王陵, Royal tomb of King Hyoso 孝昭王陵, 702) → Stone chamber tomb in Shindang-ri(神堂里 石室墳), Tomb known as King Minae’s(傳閔哀王陵), Tomb known aw King Heongang’s(傳憲康王陵), Tomb known aw King Jeongang’s(傳定康王陵), Tomb known aw King Hyoso’s(傳孝昭王陵)(early 8th century) → Royal tomb of King Seongdeok(聖德王陵, constructed around 737, complemented stone sculptures in the mid 8th century) → Square Tomb in Gujung-dong(九政洞 方形墳), twelve zodiacs in temple relic known as Hwangbok-sa(傳皇福寺址 十二支)(constructed in the mid-late 8th century) → Tomb of King Wonsung(元聖王陵, 798) → Tomb known as King Heondeok’s(傳憲德王陵)(early 8th century) → Tomb of King Heungdeok(興德王陵, constructed in the 826, additional buried in the 836) → Tomb known as Kim Yu-sin(傳金庾信墓), Incomplete Royal tomb in Guhwang-dong(九黃洞 未完成 王陵)(constructed in the early-mid 9th century) → Tomb known as King Gyeongdeok’s(傳景德王陵, constructed in the mid 9th century) → Tomb Known as Queen Jindeok’s(傳眞德女王陵, mid-9th century or later).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mb owner based on chronological order, the article will define 9 tombs’ buried persons’ identity, through comprehensive review on historical record, archaeological data and comparison with the tombs of Tang Dynasty’s emperors and their families. The result in time order is as follows.
1. Tomb known as King Heondeok’s(傳憲德王陵): King Jinpyeong(眞平王, constructed in the 632, reconstructed in the early 8th century), 2. Tomb known as Kim Yu-sin(傳金庾信墓): Kim Yu-sin(constructed in the 673, reconstructed in the early-mid 9th century), 3. Tomb known as King Jinpyeong’s(传真平王陵): King Sinmun(692), 4. Tomb known as Kim In-mun’s(傳金仁問墓): Kim In-mun(695), 5. Tomb known aw King Hyoso’s(傳孝昭王陵): King Seongdeok's(聖德王) Crown prince Kim Joong-kyung(金重慶, Crown prince Hyosang 孝殤太子, 717) or Queen Soduck(Second wife of King Seongdeok, 炤德王后, 724), 6. Square Tomb in Gujung-dong(九政洞 方形墳): King Wonsung's(元聖王) Crown prince Kim In-gyeom(金仁謙, Crown pince Hyechung 惠忠太子, 791) or Kim Eui-young(金義英, Crown pince Heonpyeong 憲平太子, 794), 7. Incomplete Royal tomb in Guhwang-dong(九黃洞 未完成 王陵): Provisional tomb(壽陵) of King Heungdeok(興德王, 836), 8. Tomb known as King Gyeongdeok’s(傳景德王陵): King Sindeok(神武王, 839), 9. Tomb Known as Queen Jindeok’s(傳眞德女王陵): King Munsung's(文聖王) Crown prince(Name unknown, 852).
On the other hand, research on the royal tombs of Unified Silla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ransition process and the background itself. This research subject has many tasks that are yet to be solved, such as its position in the East Asian royal mausoleum system and its aspect of influence on the Goryeo’s royal tombs. Therefore this article could be described as a basic introduction to my further research on Unified Silla’s royal tombs, and I intend to develop the level of research in the future afterwards.
통일신라 왕릉은 가구형(架構形) 호석 구조에 십이지신장상(十二支神將像)이 조성되며, 그 외연에는 박석(薄石)과 난간석(欄干石)이, 능역에는 각종 능원석각이 배치된 성덕왕릉, 원성왕릉, 흥덕왕릉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그간 문헌사, 미술사, 고고학의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지대한 관심을 받아 왔다. 그러나 ‘편년’과 ‘피장자 비정’과 관련해서는 연구자마다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하지만 편년 및 피장자 비정은 통일신라 왕릉 연구에 있어 반드시 선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특정 전칭왕릉(傳稱王陵)에 대한 연구자별 편년 및 피장자 비정 결과가 엇갈린다면 그 왕릉에 대한 역사적 해석 역시 연구자마다 크게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또 이러한 문제가 가중된다면 통일신라 왕릉에 대한 논의가 편년 및 피장자 비정 내에서만 맴돌 뿐, 다양한 연구로의 확장에 있어 걸림돌로 작용하게 될 것임이 자명해 보인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우선 편년 및 피장자 비정에 관련된 그간의 연구현황 및 발굴조사현황을 정리한 뒤, 이에서 도출되는 문제점과 그에 따른 보완점을 살펴보았다. 그렇게 설정된 본고의 연구방법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편년에 있어 순서배열법을 활용한다. 이때 절대연대 자료로써 인식되는 ‘피장자가 명확한 왕릉’은 피장자와 관련된 문자 자료가 확보되거나 장지기사(葬地記事)의 현 위치를 특정 가능한 것만으로 한정한다.
둘째, 순서배열에 있어 기존부터 언급되어 온 것들은 물론이며 그간 분석이 시도되지 않았던 속성들 또한 다양하게 살펴본다. 다만 십이지신장상의 경우 그간 상당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여전히 견해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으므로 편년 작업에서 일단 제외한다. 이들은 편년 이후 그에 따른 변천상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접근한다.
셋째, 비교적 안정적인 편년체계가 마련되어 있는 출토유물, 매장주체부 구조 등의 발굴조사 자료를 편년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넷째, 전칭왕릉 중 일부가 ‘왕릉’이 아닌 ‘고위 귀족묘’일 가능성은 이전부터 꾸준히 제시되어왔다. 한편 고고학에서 고분의 위계를 결정짓는 요소는 ‘봉분 규모’와 ‘능원석각의 구성’이다. 따라서 편년 결과를 바탕으로 각 전칭왕릉의 위계를 살펴봄으로써 왕릉과 고위 귀족묘를 구분한다.
다섯째, 십이지신장상이 조성된 통일신라 왕릉은 십이지신장상의 복식을 통해 ‘무복(武服)’과 ‘평복(平服)’으로 구분된다. 이는 기존에 ‘조각에 참여한 화공(畫工)이 달랐던 결과’로 파악되어왔다. 그러나 십이지신장상의 복식 차이는 참배객들로 하여금 도상 전반에 대한 인상을 좌우하게 하는 요소이다. 그러므로 이는 피장자가 지니는 성격을 대변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십이지신장상의 복식 차이가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를 추론해 봄으로써 그 피장자의 성격에 접근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총 28기의 전칭왕릉에 대한 편년을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를 시간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선덕여왕릉(632년경) → 무열왕릉(661년경) → 용강동 고분(670∼680년경 초축, 8세기 중∼후엽 개축), 傳진평왕릉, 傳김인문묘, 傳김양묘, 傳경명왕릉, 傳신덕왕릉, 傳아달라왕릉, 傳내물왕릉, 傳효공왕릉(7세기 중∼후엽) → 소현리 석실분(7세기 말∼8세기 초 초축, 8세기 중엽 십이지신상 후보) → 傳신문왕릉(효소왕릉, 702년경) → 신당리 석실분, 傳민애왕릉, 傳헌강왕릉, 傳정강왕릉, 傳효소왕릉(8세기 전엽) → 성덕왕릉(737년경 초축, 8세기 중∼후엽 능원석각 후보) → 구정동 방형분, 傳황복사지 십이지(8세기 중∼후엽) → 원성왕릉(798년경) → 傳헌덕왕릉(9세기 전엽) → 흥덕왕릉(826년 초축, 836년 합장) → 傳김유신묘, 구황동 미완성 왕릉(9세기 전엽의 늦은 시점∼9세기 중엽의 이른 시점) → 傳경덕왕릉(9세기 중엽의 이른 시점) → 傳진덕여왕릉(9세기 중엽 또는 그 이후)
이후 편년 결과를 바탕으로 피장자의 성격을 살펴본 뒤, 관련 문헌 및 고고 자료에 대한 검토, 당 황제릉·황족묘와의 비교를 통하여 9기의 전칭왕릉에 대하여 그 피장자를 비정해 보았다. 그 결과를 시간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 傳헌덕왕릉:진평왕(632년경 초축, 9세기 전엽 개축), 2. 傳김유신묘:김유신(673년경 초축, 835년경 개축), 3. 傳진평왕릉:신문왕(692년경), 4. 傳김인문묘:김인문(695년경), 5. 傳효소왕릉:성덕왕대 태자 김중경(金重慶, 효상태자孝殤太子, 717년경) 또는 소덕왕후(炤德王后, 724년경), 6. 구정동 방형분:원성왕대 태자 김인겸(金仁謙, 혜충태자惠忠太子, 791년경) 또는 김의영(金義英, 헌평태자憲平太子, 794년경), 7. 구황동 미완성 왕릉:흥덕왕의 수릉(壽陵, 836년경), 8. 傳경덕왕릉:신무왕(839년경), 9. 傳진덕여왕릉:문성왕대 태자(성명 미상, 852년경)
한편 통일신라 왕릉 연구는 변천과 그 배경에 대한 파악이 요구됨은 물론이며, 당대 동아시아 능원제도 상에서 이들이 어떠한 위치를 점하는지, 또 이들이 고려왕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등 아직 풀어내지 못한 숙제가 많다. 따라서 본고는 필자의 통일신라 왕릉 연구에 대한 시론에 불과하며, 향후 그 수준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고자 한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