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독일 장사법 체계에서 수목장 (樹木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6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89-518(30쪽)
KCI 피인용횟수
7
제공처
한국과 독일의 장사법을 비교함으로 한국 장사법의 발전을 도모한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장사법은 효율적 토지이용, 환경 및 역사적 문화재보호, 사후의 인격권, 공중위생질서의 보장을 위한 법체계이다. 전 5편으로 구성된 이 연구는, 제1편 (I)에서 한국 장사법에 대한 문제제기와 수목장의 정의를 언급하였다. 제2편 (II)은 독일 기본법을 중심으로 장사의 기본원리를 연구하였다. 제3편 (III)에서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장사법과 뮌스터 시 장사조례의 기본구조, 내용, 특징 등을 살폈다. 제4편 (IV)에서는 한국의 장사법률ㆍ명령과 서울시 장사조례의 기본구조와 특징을 살피고 평가하였다. 제5편 (V)에는 미래형 분묘로서 수목장을 권장하고, 한국장사법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장사법규는 장사의 기본원리에 대한 인식이 약하다. 이는 사태나 사망한 어린이에 관한 장사규정들, 이들과 관련한 부모의 인격권과 양육권의 보장을 위한 규정들의 부재에서 증명된다. 장사의 기본원리가 장사법규에 좀 더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규정되어야 한다. 현행 장사법규는 사설묘지의 설치를 무제한적으로 방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무연분묘의 효율적 정리뿐만 아니라 가족, 종중 및 문중, 종교단체에 의한 묘지의 설치를 엄격하게 제한할 필요가 있다. 한국 장사법 체계는 법규 상호간에 있어서 체계성과 차별성이 결여되어 있다. 장사등에관한법률은 장사조례의 성격을 띠는 반면, 서울특별시 장사등에관한조례는 마치 장사조직법으로 인식될 수 있을 정도이다. 이 장사조례는 또한 자치법으로서의 고유성도 상실하고 있다. 장사조례의 제정에 있어 지방의회는 의회법률에 대해 통일성과 차별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의 장사법 질서는 글로벌 시대가 요구하는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외국인의 국내묘지 이용권 보장, 재외 한국인 혹은 한국거주 외국인의 시체 및 유골의 본국귀환과 관련된 절차 등에 관한 규정들이 신설되어야 한다.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친환경적 장사를 촉진시키기 위해 수목장이 한국에 도입됨이 시기적절하다 사료된다. 이를 위해 의회입법자와 지방의회는 법적근거를 먼저 마련해야 한다. 수목장 묘역을 산림의 일부 혹은 문화공간으로 이해하기에 앞서 장사시설로 간주해야 한다. 따라서 예외 (예를 들면, 국가나 사회에 현저한 공을 끼친자가 본인의 유언에 따라 수목장을 희망한 경우에는 수목장 묘역 외에 이를 허용함)는 엄격하게 심사하여 허용하되, 수목장의 설치는 일정한 산림지역 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으로 원칙을 정해야 한다. “산골장”에 대한 합헌적 경계설정이 요구되며, 수장ㆍ우주장ㆍ냉동장ㆍ바위 혹은 암석장 등, 특수한 자연장에 대한 대강규정을 관련 법률과 더불어 마련해야 한다. 앞으로 개인, 종중 및 문중, 종교단체가 소유하고 있는 묘지의 공설묘지화 방안, 수목장 외의 자연장에 대한 종합법제, 사회부조장의 경우 국가 및 지자체의 비용부담범위 등이 연구과제로 남는다.
This study is directed towards improving Korean burial laws by comparing German and Korean burial laws. The burial laws describe a complex legal system for the guarantee of effective ground use, of environmental as well as historical monument protection, of postmortem personality rights, and of request of public health order. In section I, the problem of Korean burial laws is presented. Section II investigates the basic principle of burial with regard to legal tradition and art. Section III focuses on the basic structure, material contents, and features of burial laws within the State of Northrhine-Westphalia, and investigates the burial statutes of the City of Munster for cemetery use and installation. Under section IV, the basic structures and the features of Korean burial law and the burial statutes of the City of Seoul are searched and judged. Finally, section V suggests the tree urn grave as a future burial option for the Korean community moreover, reformatory measures for Korean burial laws are described.
Korean burial laws are limited with respect to the basic principle of burial. The laws have no burial regulations regarding dead embryos and dead children, and they have no regulations about parents right of personality. The basic principle of burial must be more clearly and concretely standardized. In practice the current burial laws permit the unrestricted establishment of private graves. There is a strong demand to limit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graves.
The Korean burial law system is also lacking with respect to systematical logic, an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se burial laws and the burial statutes of the community. The burial laws of parliament have characteristics of burial statutes of the community, while the burial statutes of community can be seen as more of an organization law for burial. During the establishment of burial statutes of the community, local councils should refer to burial laws for uniformity and differences.
The current Korean burial law system must posses the regulations for globalization. For the guarantee of effective ground use and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t is the right time to introduce the tree urn grave system into Korea. For this system, the legislator and local councils must prepare the legal foundation. Tree urn graves must first be understood to represent burial facilities that are not recreational, woodland, or cultural areas.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tree urn grave must be done only in fixed woodlands. Future research tasks will establish public burial areas of the private graves and will determine the costs of burial on social welfare for the state and local community.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7 | 1.07 | 1.0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8 | 1.07 | 1.097 | 0.4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