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ODA 농촌개발사업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영향 : 필리핀 파나이섬 농촌개발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ODA Rural Development Project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국제사회에서 지속가능한 농업과 농촌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는 원조를 제공하는 공여국들이 지원하는 개발도상국 대부분이 농업에 의존하는 농업국가이며, 전 세계 빈곤인구의 약 70%가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므로 빈곤퇴치를 위해서는 농촌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농업분야 공적원조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09년 OECD/DAC 가입을 계기로 규모뿐만 아니라 성과 면에서도 많은 발전이 있었다. 국내 많은 공적개발원조(ODA) 수행기관들이 유사한 농촌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농업분야 ODA의 양적·질적 향상에도 불구하고, 사업성과가 높은 모델사업에 대한 연구 및 성과공유 확산 노력이 부족했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험상 개발도상국에서 지속가능한 농촌개발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주민참여가 중요하며, 사회적 자본과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한 사업기획 및 성과제고 노력이 필요하나, 이에 대한 지역연구 사례도 부족했다.
    이 연구는 그간 우리나라 농촌개발사업 선행연구에서 결과로 도출된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사회적 자본의 역할과 사업성과 간의 상관관계 증명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증명에서 그치지 않고 한국국제협력단에서 2015년에서 2019년까지 ODA 사업으로 수행한 필리핀 파나이섬 농촌개발사업 대상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의 효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한 ODA 농촌개발사업의 사례를 통해 실증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자본은 사람들 사이의 협력을 가능케 하는 구성원들의 공유된 제도, 규범, 네트워크, 신뢰 등 일체의 사회적 자산을 포괄하는 것으로 물질적 자본, 인적자본과 함께 경제성장의 중요한 요소이다. 사회적 자본이 잘 확충된 나라일수록 국민 간의 신뢰가 높고 이를 보장하는 법제도가 잘 구축돼 있다. 이처럼 사회적 자본은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호 협력할 수 있는 근간이 되는 것으로, 농촌개발에서 다뤄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기에 그간 개발도상국의 빈곤감소와 지속 가능한 발전의 맥락에서 사회적 자본과 측정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농촌마을 내 구성원의 상호이익과 마을의 발전을 위해 협력과 주민참여, 그리고 개발사업 성과를 이끌어 내기 위한 개인별 사회적 자원의 총합으로 사회적 자본을 정의하고 선행연구에서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로 규정되고 측정에 활용된 개념 중에서 연구대상지인 필리핀 파나이섬 농촌개발사업 시행마을에서 사업기간 동안 형성과 축적 그리고 작동이 관찰된 신뢰, 규범, 참여, 네트워크 4가지 개념 요소들로 사회적 자본을 범주화하여, 연구대상지의 사회적 자본을 개인의 인식 수준에서 측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5년 기초선 조사에 참여한 마을지도자 및 주민 2,326명을 대상으로 한 개발인식 및 사회적 자본 조사내용과 동일하게 사업종료 이후2019년 9월6일부터 9월17일까지 층화추출법으로 표집된 주민 302명을 선정하여 동일한 사회적 자본 인식조사와 사업성과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인 필리핀 파나이섬에는 그들 고유의 사회적 자본인 바야니한(Bayanihan)이 있어 마을 주민의 협력이 필요할 땐 마을 지도자를 중심으로 주민들이 전략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마을공동체 중심의 협의 관행은 어느 사회에서나 볼 수 있는 형태로 농촌개발 원조사업 수행 시 마을 공동체의 오래된 관습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논문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ODA 농촌개발사업은 사회적 자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시행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신뢰, 참여, 네트워크 모두 증가했으며, 마을 리더 보다 주민의 사회적 자본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주민참여 기반 농촌개발사업에서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개발사업에 대한 관심도, 필요성, 유용성, 효과성으로 표현되는 개발인식은 신뢰, 규범, 참여, 네트워크로 정의한 사회적 자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민들의 개발사업에 대한 관심도와 유용성은 사회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ODA 사업기획단계에서 마을주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개발인식 조사가 중요하며, 사회적 자본에 연계된 사업성과 도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셋째, 신뢰, 규범, 참여, 네트워크 요소로 측정한 사회적 자본은 사업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으며, 신뢰는 소득, 건강, 사업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사업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는 사업성과에 비교적 낮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민들의 역량강화와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촌개발사업에서 주민, 행정기관, 원조기관 간 상호신뢰를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며 신뢰를 증대시키기 위해 사업기획 단계부터 주민과 함께하는 참여적 개발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주민의 네트워크 형성 및 외부와의 연계, 확대를 위한 계획도 포함되어야 한다.
    넷째, 주인의식으로 대표될 수 있는 개발인식은 ODA 사업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역량강화와 사업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사업초기 단계에서 주민의 개발인식을 증대시켜 사업을 추진해야만 주민들의 역량강화와 사업만족도가 증가함을 시사한다.
    다섯째, 개발인식은 사회적 자본을 매개하여 ODA 사업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신뢰는 소득에 완전매개하고 건강과 사업만족도에도 부분매개 하는 바, 신뢰가 가장 중요한 사회적 자본으로 입증되었다. 반면 참여와 규범은 개발인식을 매개하여 소득으로 연계되지는 못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ODA 농촌개발사업에서는 사회적 자본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사업기획 단계부터 주민과 유대관계를 쌓고 신뢰를 기반으로 사업이 추진되어야 한다. 단기간 동안 소수 전문가에 의해 수행된 기초선 조사로는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둘 수 없다. 필리핀 사례처럼 장기간에 걸쳐 현지 전문가를 포함한 분야별 전문가들이 방문을 통해 사업의 수혜자이자 마을사업 행동 주체인 주민들과의 신뢰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 자본 중 특히 신뢰는 사업성과 중 소득에 완전매개 하는 바, 신뢰를 통해 경제적 성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신뢰를 포함한 사회적 자본이 축적되고 증가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사업초기 마을 내 존재하던 사회적 자본이 축소되지 않고 사업 중간단계, 종료단계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져 증가되도록 다양한 사업요소가 포함되고 이를 모니터링 해야 할 것이다. 사업요소에는 개별 개발수요 외에 마을발전을 위한 공동사업 발굴, 체계적이며 장기적인 주민들의 역량강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원조사업은 사업종료 이후에도 모니터링을 통해 마을발전을 관찰하고 주민의 사회적 자본 변화과정을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해야 한다. 사업종료 이후 마을 주민들은 사업 이전으로 돌아갈 가능성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지원이 필요한 바, 사업기간 만큼 사후관리 기간이 포함되도록 사업계획 단계부터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핵심단어 : 개발인식, 사회적 자본, ODA 농촌개발사업, 사업성과, 삶의 질, 필리핀

    더보기
    • 목 차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 1. 연구의 범위 5
    • 2. 연구의 방법 7
    • 3.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8
    • 제3절 연구의 구성 10
    • 제2장 이론적 배경 12
    • 제1절 ODA 사업성과 평가 접근 12
    • 1. ODA 사업성과 평가체계 12
    • 2. 성과평가 접근 틀로서의 사회적 자본 19
    • 제2절 ODA 농촌개발사업 특성 및 성과 22
    • 1. ODA 농촌개발사업의 특성 22
    • 2. ODA 농촌개발사업의 성과 25
    • 제3절 사회적 자본 이론 35
    • 1.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측정방법 35
    • 2. 사회적 자본의 특성 49
    • 제4절 선행연구 결과 51
    • 1. 선행연구 결과 51
    • 2. 본 연구를 위한 시사점 62
    • 제3장 필리핀 파나이섬 농촌개발사업 특성과 성과 66
    • 제1절 연구대상지의 특성 66
    • 1. 필리핀 ODA 지원 현황 66
    • 2. 사업지역 일반현황 68
    • 제2절 사업특성 및 성과 75
    • 1. 사업특성 75
    • 2. 사업성과 77
    • 제4장 분석모형의 구축 84
    • 제1절 분석모형 및 가설 84
    • 1. 분석모형의 설정 84
    • 2. 가설의 설정 87
    • 제2절 변수의 설정 88
    • 1. 자료의 구축 88
    • 2. 변수의 설정 89
    • 제5장 분석결과 93
    • 제1절 기술통계 분석 결과 93
    • 제2절 분석의 내용 99
    • 1. 사회적 자본 사업전·후 비교분석 결과 99
    • 2. 상관관계 분석 결과 107
    • 3. 사회적 자본 매개효과 분석 109
    • 제3절 분석결과의 함의 119
    • 제6장 결론 및 제언 123
    • 제1절 요약 123
    • 제2절 결론 및 제언 125
    • 제3절 연구의 한계 127
    • 참고문헌 130
    • Abstract 142
    • 설문지 146
    더보기
    • 1 노화준, "정책평가론", 파주: 법문사, 2015
    • 2 김수암, 조한범, 이금순, "국제 개발이론 현황", 통일연구원, 2008
    • 3 노화준, "새마을운동의 세계화", 파주: 법문사, 2018
    • 4 소진광, "지역발전 패러다임 연구", 지방행정연구, 30(1): 3-39, 2016
    • 5 소진광, "지역사회와 사회적 자본", 서울: 도서출판 푸른솔, 2004
    • 6 류석춘, "사회적 자본 이론과 쟁점", 서울: 도서출판 그린, 2003
    • 7 최양실, "농촌공업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78
    • 8 임형백, "국제개발협력평가방법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1(4) 115-150, 2019
    • 9 정기환, "농촌개발협력프로그램 연구", 한국국제렵력단, 2011
    • 10 채재은, "베트남 교육과 공적개발원조", 동남아시아연구, 25(4): 77-124, 2015
    • 11 소진광, "삶이 질 개념과 도시정책적 함의", 지역사회개발연구, 23(1): 65-84, 1998
    • 12 강경재, "KOICA기관 성과관리 개선방안 연구", 한국국제협력단, 2012
    • 13 김길용, "사회자본과 건강만족 및 건강행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 14 이동원,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정책과제",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9
    • 15 장영식, "한국인의 삶의 질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 16 소진광, "국제개발협력의 명분과 진화의 맥락",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1(4): 1-38, 2019
    • 17 강은숙, 이달곤, "정책사례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논의", 행정논총, 43(4): 95-121, 2005
    • 18 김현호, "지역발전을 위한 지역공동체 활성화", 지방행정, 66(759): 38-41, 2017
    • 19 소진광, "베트남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3(2): 71-93, 2011
    • 20 소진광, "사회적 자본의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6(1): 89-117, 2004
    • 21 강용배, "농촌마을공동체의 역량강화 사례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8(4): 5-26, 2004
    • 22 소진광, "지역개발사업의 평가체계 개선방안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5(4): 153-182, 2013
    • 23 소진광, "지역사회 거버넌스와 한국의 새마을운동",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9(3): 93-113, 2007
    • 24 소진광, "새마을운동 ODA 시범사업의 추진방안 연구", 행정안전부, 2011
    • 25 김창현, "지역특성을 고려한 농촌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보고서, 2006
    • 26 박시현, 송미령, "주민자율적 마을 가꾸기 현황과 성과 분석", 국토계획, 37(1): 169-179, 2002
    • 27 김윤두, 채수호, 이상덕, "농업분야 ODA 효율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산업경 제연구, 29(3): 1069-1088, 2016
    • 28 소진광, "사회적 자본형성을 위한 지역사회개발논리", 지역사회개발연구, 24(1): 29-47, 1999
    • 29 김종선, 최용욱, 최민정, 지성태, "농업분야 ODA 기술협력사업의 성과제고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7
    • 30 정정숙, "문화영역 ODA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4
    • 31 김태준, 홍영란, 현영섭, 이승희, 소진광, "사회적 자본 지표 개발 및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 32 이숙이, "산촌개발사업 운영실태 및 주민만족도 분석", 전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 33 소진광, "새마을운동 세계화의 접근논리. 행정포커스", 통권 제106호: 32-36, 2013
    • 34 원동재, "지역사회특성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 35 소진광, 임경수, 윤두섭, 안혁근, 송태수, "지역특성에 따른 사회적 자본 측정지표 개발", 서울: 도서출판 푸른솔, 2006
    • 36 임형백, "국제개발협력과 한국농촌개발의 근원적 기원",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8(4): 27-62, 2016
    • 37 김진모, 주대진,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주민참여 방법론 탐색", 한국농촌지도 학회지, 11(2): 303-320, 2004
    • 38 성주인, 송미령, "마을개발사업의 성과와 주민참여의 관계 분석", 한국지역개발 학회지, 17(4): 293-319, 2005
    • 39 안종철, 이성호, "마을개발사업의 성과와 주민참여의 관계 분석", 관광단지개발에 있어서 주민참여방안에 관한 연구-동부산권, 2003
    • 40 성주인, 송미령, "주민참여형 마을개발사업의 평가와 모형 정립", 한국농 촌경제연구원, 2004
    • 41 고경훈, 안영훈, 김건위,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 자본 측정 및 증진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 42 송양훈, "A Mechanism Design for Participatory Rural Development Projects", 국제개발협력연구, 9(3): 31-64, 2017
    • 43 안중호,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주민만족도 영향 분석",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 44 박희봉, "사회 자본: 불신에서 신뢰로, 갈등에서 협력으로", 서울: 조명 문화사, 2009
    • 45 김상춘, "부르디외, 콜만, 퍼트남의 사회적 자본 개념 비판", 한국사회학, 38(6): 63-95, 2004
    • 46 박태정,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본 자활사업의 발전방안", 경북대학교 박사학 위 논문, 2007
    • 47 김승현,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와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42(2): 67-88, 2008
    • 48 이상호, "우리나라 농업분야 공정개발사업 실태와 개선방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9
    • 49 이현정, "에티오피아의 참여적 개발: 농촌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4(1): 115-144, 2015
    • 50 채종훈,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경제적 성과와 파급효과 분석",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 51 박종남, 정무권, 전미양, "사회적 자본과 소득 관계: 네팔 Tikapur 지역을 중심 으로", 아시아연구, 21(2): 89-114, 2018
    • 52 정하용, "지방자치시대의 지역사회개발과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한국지역개 발학회지, 19(3): 1-30, 2007
    • 53 기정훈, "새마을운동 시범마을 사업으로서 스마트빌리지 추진전략", 한국 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104-109, 2018
    • 54 소진광, "아시아 개발도상국에서의 새마을운동 시범사업 성과평가", 한국지역 개발학회지, 19(4): 179-202, 2007
    • 55 조록환, "농촌관광사업 지역의 사회자본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3
    • 56 안상유, "농촌지역 마을만들기의 주민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 교 박사학위 논문, 2013
    • 57 고진영, 양민호, 김지용, 김명일, 김기성, "농촌주민의 역량이 농촌개발의 참여 확대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농공학회논문집, 60(1): 37-45, 2018
    • 58 이상문, 이재준, "지속가능한 농촌발전을 위한 주민참여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8(3): 39-55, 2003
    • 59 도종원,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지원시설 유형별 지역주민만족도 분석", 서울 시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 60 임형백, "농촌개발이론: 국제농촌지도에서 지역과 지역사회 주도개발까지", 한 국지역개발학회지, 29(4): 27-56, 2017
    • 61 강형기, "청주지 주민조직의 커뮤니티성과 주민지도자의 행태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연구, 2(1): 75-134, 1990
    • 62 홍종규,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농촌관광개발의 주민참여에 관한 연 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63 정영윤, 최길수, "지역단위의 사회적 자본 측정에 관한 연구, 대전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정책연구, 25(1): 1-22, 2014
    • 64 박용순, "사회적 자본이 농촌관광마을에서 주민통합과 삶의 질 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 65 이일권, "주민의 사회적자본 인식과 농촌개발협력사업 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 66 강기호, "농촌관광마을의 주민참여와 관광사업 성과 간 매개요인 변화 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67 소진광, "새마을운동 세계화사업 성과평가 모듈개발에 관한 연구. 새마을운동중앙회", 가천대학교 공적개발원조연구소, 2013
    • 68 남원석, "지방정부와의 협력을 통한 주민운동조직의 권능강화(empowerment) 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 69 이양수, "새마을운동의 베트남 적용 한계 및 보완점: 베트남 신농촌개발운동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18(3): 81-100, 2014
    • 70 김명룡, "농촌전통테마마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완주 디지털 산 내골을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15: 499-531, 2008
    • 71 박종남, 임정희, "우즈베키스탄 도스틀릭 마을에서 사회적 자본이 사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아시아연구, 22(3): 107-134, 2019
    • 72 조현구, 허완,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주민참여 효과분석, 사업집행 변수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정치정보연구, 21(3): 147-180, 2018
    • 73 김지현,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과 주민만족도와의 관계: 자생적 클러스터의 시론적 접근", 건국대학교 행정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7
    • 74 임근식, "“지역주민의 삶의 질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강원도 시・군을 중심으로”",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10(1): 47-89, 2012
    • 75 성기호, "공동체마을의 사회자본과 환경요인이 주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5
    • 76 이한석, "신중년의 인적자본 및 사회적자본이 은퇴 후 재취업의지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 77 김명환, 박희봉,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사회자본 증진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 측정과 분석을 위한 시도", 한국정치학회보, 34(4), 219-237, 2001
    • 78 구예원, 박인권, "이주자의 사회적 자본 인지와 지역사회 적응의 관계: 국내 중 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8(4): 53-76, 2015
    • 79 윤주, 최승담, "사회적 자본이 지역사회 관광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 녹색농 촌체험마을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7(4): 77-96, 2013
    • 80 김승근, "제천시 용두산권역의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따른 개발수요 및 의 식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8(3), 9-16, 2006
    • 81 김영일, "공적개발원조(ODA)의 개발효과성에 관한 실증분석 연구: 새천년개발 목표(MDGs)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 82 김재원,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있어 주민참여 실태와 성과에 관한 연 구-전남농촌마을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9(1), 11-22, 2017
    • 83 지성태, "농촌종합개발 ODA 모델의 효과적 추진방안 연구-베트남 새마 을운동 시범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연구, 16(3): 217-246, 2013
    • 84 이상범,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 분석을 통한 권역단위종합정비사업의 주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영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 85 전미리, "농촌지역개발사업에서 사회적 자본(통합성, 연계성) 인식수준이 주민 의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 86 이양수, 최외출, "1970 년대 상향식 지역사회발전 전략으로서 새마을운동의 추 진동력-신뢰와 공동체의식을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보, 21(1): 125-146, 2013
    • 87 이성근, 허주열,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주민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경상북 도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지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3): 45-70, 2009
    • 88 김성규, "사회자본과 개도국 농촌종합개발사업의 효과성: 미얀마 농촌종합개 발 공적개발원조(ODA) 사례를 중심으로", 농업경영정책연구 43(1): 86-111, 2016
    • 89 김혜연, "사회적 자본이 지역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민간자원 연계사업 참여 주민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3(3): 1-29,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