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소셜커머스 기반 유휴공간이 상품화되는 기제 도출 -공유경제 플랫폼 사례를 중심으로- = Deriving a Mechanism for Commercializing Idle Spaces Based on Social Commerce -Focusing on the Case of Sharing Economy Platform-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11-426(16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chanism by which idle space is planned, commercialized and provided by suppliers on the sharing economy platform through the analysis of specific cases of the space sharing platform.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useful academic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value users and platform business models in various fields for space sharing.
The research method was a combination of literature study and empirical study. First, in the literature study, the basic definition of space sharing on the platform was understood and gathered by us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thesis data, statistical data, periodicals, and Internet data, and the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as a case study. Data collection for analysis took an in-depth interview and survey method from March 1, 2021 to July 30, 2021, and the scope was five space sharing platforms (Fast Five, WeWork, Justco, My Shop on Shop, Sweet Spot) was selected and conducted for 5 working manager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t is to provide various conveniences so that users can stay on the platform. In the case of Fast Five, Korea’s representative shared office, various information and services are provided through apps, and in the case of WeWork, a global co-working office company, information on services preferred by MZ generation workers reflecting user needs and standardized office interiors is provided. It can act as a factor to continuously increase user satisfaction by sharing it through the platform and providing it online and offline.
Second, it is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and technology provided through the platform. Fast Five, WeWork, and Justco upgrade their platforms from time to time by attracting large amounts of investment, so they have a level of technology and systems that share participants can feel at ease. By sharing real user reviews with each other, we are contributing to the building of continuous trust.
Third, economic value, that is, performance characteristics, must be recognized as a resource that can create value in the value creation space. Fast Five, WeWork, and Justco have high usage fees, but this can bring positive results through the use of various auxiliary services required in the office. In addition, My Shop on Shop and Sweet Spot show modeling faithful to the basics of the sharing economy like Airbnb and Uber in that they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dditional income between individuals through store sharing in the P2P service method.
Fourth, repeated and continuous interaction should be made through the user’s community and networking.
Sharing platforms differentiate their users’ communities and networking in a number of ways. In the case of Fast Five, periodic and short-term network services are provided for users, and WeWork actively provides opportunities for global human networking where one membership can use more than 500 WeWork branches around the world. By sharing information and entrepreneurship reviews, it creates a network effect through a continuous community.
Finally, it is required to practice value creation that simultaneously creates and shares economic profit and social value of a company. WeWork is participating in the veterans support program and improving the global environment through ‘Social Contribution Together’. In addition, My Shop on Shop and Sweet Spot continue to faithfully model the creation of shared value based on the maximum utilization of resources with the keywords of sharing,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This is expected to act as a major axis to ensure the continuity and continuity of the platform company by building a positive identity for the company.
본 연구의 목적은 공유경제 플랫폼의 구체적 사례분석을 통해 공간 공유 플랫폼상에서 유휴공간이 공급자로부터 기획되고 상품화되어 제공되는 기제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공간 공유를 위한 다양한분야의 가치 사용자 및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유용한 학문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기대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는 국내⋅외 문헌과 논문자료, 통계자료, 정기 간행물, 인터넷 자료를 활용하여 플랫폼 상의 공간 공유의 기초적인 정의를 이해 및 규합하였고, 실증연구는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2021년 3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심층 인터뷰및 설문조사 방식을 취하였으며, 그 범위는 공간 공유플랫폼 5곳(패스트파이브, 위워크, 저스트코, 마이샵온샵, 스위트스팟)을 선정하여 실무책임자 5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가 플랫폼에 머무를 수 있도록 다양한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국내 대표 공유 오피스인패스트파이브의 경우 앱을 통한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글로벌 코워킹 오피스 기업인 위워크의 경우에도 표준화된 사무실 인테리어와 사용자니즈를 반영한 MZ세대 직장인들이 선호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플랫폼을 통해서 공유하고 온⋅오프라인에서 제공하고 있다. 이는 이용자의 만족도를 지속적으로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와 기술력에 대한 신뢰성의 확보이다. 패스트파이브와 위워크, 저스트코는 거액의 투자 유치를 통해 플랫폼을 수시로 업그레이드함으로써 공유 참여자가 안심할만한 수준의기술과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마이샵온샵, 스위트스팟의 경우 P2P서비스 방식이 주 사업방식으로서 사용자의 리얼 후기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지속적인 신뢰형성에 일조하고 있다.
셋째, 불가치 창출 공간을 가치 창출이 가능한 자원으로서 경제적 가치 즉 성과성이 인정되어야 한다. 패스트파이브와 위워크, 저스트코는 높은 수준의 이용료가 책정되어 있으나 이는 오피스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부대 서비스 이용을 통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수 있다. 또한 마이샵온샵, 스위트스팟은 P2P 서비스방식의 매장공유를 통해 개인 간 부가소득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에어비엔비나 우버와 같이 공유경제의 기본에 충실한 모델링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이용자의 커뮤니티 및 네트워킹을 통해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공유플랫폼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자의 커뮤니티 및 네트워킹에 차별화를 두고 있다. 패스트파이브의 경우이용자를 위한 주기적, 단기적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위워크는 하나의 멤버쉽으로 전 세계500개 이상의 위워크 지점을 이용할 수 있는 글로벌인적 네트워킹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저스트코는 이용자의 커뮤니티 및 네트워크 향상을 위해 커뮤니티 스토리를 구성하고 정기적 이벤트를 제공하는등 네트워킹에 힘쓰고 있으며, 마이샵온샵과 스위트스팟 또한 팝업스토어, 이벤트를 활용한 이용자의 수를확보하여 아이템 정보 및 창업 후기를 공유함으로써지속적인 커뮤니티를 통한 네트워크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경제적 이윤과 사회적 가치를동시에 만들고 공유하는 가치 창출에 대한 실 ...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 | 0.732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