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공간 디자인 기획을 위한 가치 속성 요소의 체계화 = Systematization of Value Attribute Element for Space Design Planni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3-242(10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Space planning is a work of determining the character thatis expected from a space or the space must have. Thisis an important and early step in the project, but recognitionof importance is not enough. However, from few yearsago, the object of the space design project expand to publicareas, and contact with architecture, landscape, andenvironment, importance of the space design planning isgrowing. Experts from various fields have been put intothe planning to demonstrate their capabilities includingdesigners. Space has the characteristic that it should beplanned considering the many complex attributes of space.
One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that designers face whenplanning a space is the question of which of the variousand complex elements and attributes of space should beapplied to the scope of planning.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items, elements, andattributes that a designer must consider when planninga space and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itemsin order to maximize the capability of the designer. Forthis, the following were considered. First, the excess ofelements to consider among the problems that arise duringthe planning process and the problems generated by thecomplex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were examined.
Second, classifications were made and applied such aswhether a term is an element, the attributes of an element,and th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between elements asa measure to cope with the excess and complexity of spatialelement. Finally,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value ofthe space were derived for space planning to clarify therelationship with other elements and the spatial valueelements were systematized. This study has implicationsfor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great number ofterms, elements, attributes, and objects related with spaceplanning.
공간 디자인 기획은 프로젝트의 가장 초기에 다루어지며 공간의 성격과 기대되는 가치를 규정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하지만 설계 단계에 비하여 그 중요성의 인지가 부족하고 체계화된 시스템의 적용이 이루어지지 않아 왔다.
수년전부터 공간 디자인 프로젝트의 대상이 실외 및 공공 등으로 확대, 건축 및 조경, 환경 분야 등과의 접점으로 확장됨에 따라 기획 단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가 점점 커지고 있으며, 디자이너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기획단계에투입되어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공간 디자인 기획은 공간의수많은 복잡한 속성들을 배려하여 기획되어야 하는 특성을 가지는데, 이 때 디자이너가 가지게 되는 수많은 어려운 점들 중한 가지는 공간이 가지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소와 속성들중 어떠한 항목을 어떠한 형식으로 기획의 범위에 적용시켜야하는지에 대한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는 디자이너가 그 해결영역의 모호함과 복잡함 등으로 인하여 지엽적인 가치에 치중된 불완전한 기획안을 만들거나 또는 전문지식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시공 같은 심화된 전문영역을 포함하는 기획안을 만드는 경우를 야기한다.
본 연구는 디자이너가 공간을 기획할 때 배려해야하는 항목,요소, 속성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고, 이러한 항목들의 관계성을 명확히 하여, 공간 디자인 기획자, 또는 디자이너의 역량을최대화하기 위함에 있다. 공간 디자인 기획에 포함되는 공간요소들을 체계화 하려면 우선 공간 전체에 포함되는 요소들을고찰하고, 그 중 공간 디자인 기획은 어떠한 요소들을 다루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 기획 시 발생하는 문제 중 고려해야할, 요소의 과량과 그 요소들간의 복잡한 관계에 의하여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두 번째, 공간요소의 과량과 복잡성에 대응 방안으로 용어가 요소인지, 요소가 가지는 속성인지, 요소들 간의 관계인지, 요소들 간의 작용인지 등으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간 기획을 위한 공간의 가치를 형성하는 요소들을추출하여 타 요소들과의 관계를 명확히 하여 공간 가치요소들을 체계화 하였다. 본 연구는 수 많은 공간기획과 관련한 용어, 요소, 속성, 개체 등의 관계를 명확히 했다는 데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20-01-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Industrial design -> JOURNAL OF INDUSTRIAL DESIGN STUDIES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09 | 0.09 | 0.0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08 | 0.06 | 0.21 | 0.0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