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 환경교육 경험 및 요구 조사 = An Investigation on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 of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ssess their nee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o groups. First, the sample was prepared by select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all over the country. Nex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upport projec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etween 2017 and 2020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via online questionnaire survey between November and December 202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shown to be interested in various environmental issues as well as climate change/climate crisis. As for ‘how to obtain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issues’, ‘Internet’ and ‘school class or activity’ were found to be high in both groups. Second, ‘climate change/climate crises’ among environmental issues provided in schools got the overall highest rate of learning. Regarding pedagogi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lecture’ was the most popular, which was higher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ird, ‘environmental issues that they would like to learn from school in the future’ were not only ‘climate change/climate crisis’ but also ‘water crisis’, ‘ecosystem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city.’ In addition, they hop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would be conducted in various ways, and be ‘includ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festivals and events’ as well as ‘regular classes’ at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o continuously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systematically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through classes and school life. It was proposed to prepare an institutional plan to secure tim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curriculum, expand student-participatory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ntinuously implement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support projects as well.
더보기본 연구에서는 학교 환경교육의 주요 주체라고 할 수 있는 학생의 환경․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과 환경교육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은 두 집단이었다. 우선 전국의 초․중․고등학생을 모집단을 하여 표본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2017년∼2020년 사이 환경부의 환경교육 지원 사업에 참여한 초․중․고등학교 학생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는 2020년 11월∼12월 사이 온라인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주요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기후변화/기후위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 사안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 사안에 대해 정보를 얻는 방법’은 두 집단 모두에서 ‘인터넷’과 ‘학교 수업이나 활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에서 배운 적이 있는 환경 사안’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기후변화/기후위기’를 학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교에서 환경 사안을 학습한 방법’은 ‘강의’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중․고등학교에서 더 높았다.
셋째, ‘학교에서 앞으로 배우고 싶은 환경 사안’은 ‘기후변화/기후위기’뿐만 아니라, ‘물 위기’, ‘생태계 보전’, ‘지속가능한 도시’ 등 다양했다. 또한, 학교 ‘수업시간’뿐만 아니라, ‘창의적 체험활동에 환경교육 포함’, ‘환경축제, 행사 개최’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했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이 수업과 학교생활을 통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 환경 사안 상호 간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보다 통합적인 환경교육을 수행할 것, 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을 마련할 것, 학생 참여형 환경교육을 확대할 것, 학교 환경교육 지원 사업을 꾸준히 시행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5-1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8-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4-2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환경교육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4 | 0.94 | 0.9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2 | 0.94 | 0.3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