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OPUS
KCI등재
선천성 비후성 유문 협착증의 진단에 있어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술의 역할 = Esophagus, Stomach & Intestine;The Role of an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in the Diagnosis of Congenital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저자
박희주 (부산대학교의과대학소아과학교실,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박재홍 (부산대학교의과대학소아과학교실,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김수영 (부산대학교의과대학소아과학교실,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김선영 (부산대학교의과대학소아과학교실,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임영탁 (부산대학교의과대학소아과학교실,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김건일 (부산대학교의과대학소아과학교실, 진단방사선과학교실)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8
작성언어
Korean
KDC
513.3
등재정보
SCOPUS,KCI등재,ESCI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19-323(5쪽)
제공처
중단사유
※ 발행기관의 정책으로 인하여 개인 판매가 중단된 논문입니다. 구독기관 이용자는 [
소장기관
Background/Aims: In 1977, Teele and Smith reported their positive experience using an ultrasonographic in the evaluation of Congenital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CHPS). Since that time, ultrasonography has been advocated by some as the diagnostic procedure of choice, although a number of false-negative cases have been encountered at any rate, in 1994, Becker reported that an endoscopy was far more accurate than an ultrasonography, the diagnosis being made in 97% and 81% of the cases. Therefore, we performed a prospective study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an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in CHPS patients. Methods: We reviewed the clinical records of 12 pediatric patients experiencing vomiting, who had visited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3 to March 1997. We performed on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and abdominal ultrasonography simultaneously in order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an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in CHPS patients. Result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 1. In 7 of 12 patients, 58%, vomited within 4 weeks after birth. Diagnostic sensitivity by abdominal ultrasonography was about 75%, and by upper GI endoscopy, almost 100%. Associated lesions were discovered in 5 cases, 3 esophagitis and 2 gastritis in the upper GI endoscopy. Conclusions: The upper GI endoscopy was more accurate in the diagnosis of CHPS than the ultrasonography, and was more effective in the diagnosis of associated lesion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