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신라 王都 성립의 전후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3-173(31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본고에서는 ‘도시’라는 관점에서 신라 왕도의 형성 과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고고학에서는 궁성으로서의 토성과 왕묘로서의 고총이 등장하는 것을 도성의 형성으로 보기도 했지만, 그것을 본격적인 도성으로 규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지방에도 토성과 고총이라고 하는 동일한 구조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것을 초기 왕도로 규정하고, 당시 신라의 고총 체계를 단순한 간접 지배가 아닌 지배층이 분거하는 형태로 이해하였다. 즉 지방을 제압할 수 있는 힘이 부족해서 간접 지배를 한 것이 아니라, 지방의 산물을 중앙으로 가져올 수 있는 제반 시설과 체계가 미비했기 때문에 지배층이 지방에 분거하면서 경제적 기반을 확보했다는 것이다. 초기 왕도는 주변 지역을 배후지로 하는 중심지에 불과했고, 영역 내 그것을 모방한 여러 읍들 가운데 가장 우월한 공간이었지만 유일하거나 압도적인 곳은 아니었다. 마립간 역시 내외의 여러 干들 중에 으뜸이 되는 존재였는데, 여러 지방의 산물중 일부를 공납으로 받아들임으로써 그와 그의 왕도는 점차 초월적인 지위를 획득하게 되었던 것이다.
5세기 말에 이르면 마립간, 왕권의 성장과 함께 왕도의 공간이 정비되고, 또 지방 지배체계가 갖추어지게 되었다. 궁성의 정비와 함께 양부와 사량부의 경계 방면에 부정형 시가지가 형성되었으며, 주요 시설이 갖추어져 지방과는 구별되는 경관이 연출되었다. 또 지방을 연결하는 도로가 정비되고 도사가 파견되는 등 지방의 산물을 중앙으로 가져올 수 있는 제반 시설과 체계가 마련되었다. 지방 고총의 쇠퇴는 묘제의 변화와 함께 직접 지배의 진전에 따라 지방 세력이 몰락한 것으로 이해되었지만, 분거에서 집주로의 전환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기존에는 지배층이 지방의 근거지에 거주하는 것이 유리했다면, 왕권의 성장과 수취 체계의 확립에 따라 왕도에 거주하는 것이 유리해졌다는 것이다. 녹읍으로 상징되는 왕도 지배층 읍락 지배의 연원은 바로 5세기 이들의 지방 분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신라 왕도는 전 영역을 배후지로 하여 농업 생산물을 끌어들이면서 지배층이 전문 관료로서 거주하고 소비하는 도시가 되었다. 이것은 바로 본격적인 왕도의 성립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In this paper, the process of formation of Silla’s capital, Wangdo (王都) wa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city’. In archeological researches, the appearance of an earthen fortress as royal palace and high-mound tombs as royal tombs has been regarded as the formation of the city, but there is a problem to define it as a full-fledged city. It is because the same structure, an earthen fortress and high-mound tombs, also appeared in the provinces. There are complexes of high-mound tombs in Silla’s main local bases. It is called high-mound tombs system. It has been understood as the existence of local indigenous forces who were controlled indirectly by the central. This paper identifies it as the distributed residence of the ruling class. Because of the lack of infrastructure and system that could bring local products to the center, they resided in the main local bases of the country. The early Wangdo was merely the center of the surrounding area, and was the most superior of all the towns that imitated it, but not the only or overwhelming space. Maripgan (麻立干), the early king of Silla was also the foremost among the many chiefs inside and out, and by accepting some of the products of the provinces as tribute, he and his Wangdo gradually gained a transcendental status.
By the end of the 5th century, the space of Wangdo was reorganized, and the local governance system was established with the growth of royal authority. Along with the maintenance of the palace, an irregular street network wa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Yangbu (梁部) and Saryangbu (沙梁部), the two main districts of the central Silla, and the main facilities were provided to create a landscape that is distinct from the provinces. In addition, the roads to the provinces were installed and the officials called Dosa (道使) were dispatched. The infrastructures and systems established to bring local products to the center. The decline of high-mound tombs has been understood as the fall of the local forces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direct domination, but it is reasonable to see it as a transition from distributed residence to collective. In the past, the ruling class had the advantage of living in rural areas, but it became more advantageous to live in Wangdo as royal authority grew and the collecting system established. Then, Silla’s Wangdo became the city where the ruling class lives and consumes as a professional bureaucracy, attracting agricultural products with the whole territory as hinterland. This meant the establishment of the fullfledged Wangdo.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7-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9 | 1.69 | 1.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57 | 3.463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