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新羅 五廟制 受容의 意味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7-142(36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三國史記』에는 新羅의 宗廟制를 크게 始祖廟祭祀, 神宮祭祀, 五廟制의 세 가지 종류로 전한다. 신라는 건국 초기 세 집단이 왕위를 교대로 차지하였고, 이 시기의 三姓 集團은 각자 始祖를 위해 제사를 지냈던 것으로 추정된다. 동시에 赫居世는 國祖로서 인식되어 성씨에 상관없이 新王은 즉위 후에 시조묘에서 제사지냈음이 확인된다. 그러다가 마립간시기에 이르러 신라 왕위를 金氏 집단이 독점하게 되면서 炤知麻立干代에 신궁제사라는 새로운 제사가 등장하게 되었다. 신궁은 김씨 시조를 主神으로 모셔 설치한 것이며, 신궁제사는 시조묘제사를 대신하여 新王의 卽位儀禮的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시조묘제사나 신궁제사가 유지되는 한편, 중대에 이르러 왕실의 가계가 聖骨에서 武烈王系의 眞骨로 변하게 되면서 무열왕계 왕실은 기존 왕실과의 차별성을 위해 儒敎的 禮制인 오묘제에 주목하였다. 결국 문무왕대에 이르러 신라에 오묘제가 수용되었고, 오묘제의 수용은 이제 유교적 관념이 본격적으로 신라에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을 의미한다. 특히 신라 중대의 왕들은 초기 오묘 구성은 太祖大王과 直系 4대조로 구성함으로써 유교적 예제인 오묘제를 통하여 왕실을 김씨 집단과 차별·분리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다가 惠恭王代에 이르러 중대 왕실의 중시조격인 太宗大王이 毁撤될 상황이 되자, 태종대왕과 文武大王의 공덕을 인정하여 ‘世世不毁之宗’으로 삼았다. 동시에 태조대왕 대신 최초의 김씨 왕이자 庾信의 혼령을 위로한 공덕 등이 있는 미추를 始祖大王으로서 오묘에 봉안하였다. 결국 신라의 오묘제 수용은 기존의 시조묘와 신궁제사를 통하여 하늘로부터 내려온 왕권의 신성성을 강조함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오묘제를 통해 직계 조상에게 제사함으로써 왕위의 정통성과 정당성을 보다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Thrones in the Silla were shared among a few families in the early days of the kingdom. It was revealed that the Three Families(三姓) performed their respective ancestral rites during this period. HyeokGeoSae(赫居世), the progenitor of the Family Park(朴氏 集團), was recognized as the founder of the nation, and thus every king of the Silla performed the rites for him at the Sijomyo. Since the time of Ma-lip-gan(麻立干), the thrones of the Silla had been monopolized by the Family Kim(金氏 集團), and new rites termed Singung Ancestral rites had emerged during the time of King Soji(炤知王). Singung had been built for the progenitor of Kim, and Singung Ancestral rites had played a role of the new enthronement ceremony.
Then, the King Muyeol(武烈)’s family line paid attention to the more Confucian rite system, Omyoje. Eventually, in the time of King Munmu(文武王), the Silla adopted Omyoje, and its adoption meant that the Confucian idea at last affected the Silla in earnest. In particular, kings in the middle period of the Silla made effort to differentiate and separate the royal family from the Kim family through Omyoje, a Confucian ritual system.
Then, in the time of King Heygong(惠恭王), as King Taejong the great(太宗大王), the founder of the middle period of the kingdom, was about to be moved out of the Omyo, the achievements of King Taejong the great and King Munmu the great(文武大王) were recognized and thus accepted as ‘Sesebulhwijijong(世世不毁之宗)’. At the same time, King Michu(味鄒王) who had been the first king from the family Kim was enshrined as one of the founder kings in the Omyo. Eventuall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adoption of Omyoje meant that the royal family emphasized the legitimacy and justification of the throne by performing the rites for direct ancestors through the new rites, Omyoje while emphasizing the sacredness of the royal authority descended from God through the Sijomyo and Singung Ancestral rite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7-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9 | 1.69 | 1.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57 | 3.463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