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어과 읽기 평가 맥락에서 과학 지문의 특성 연구 :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국어) 지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cientific Texts used in Korean Reading Assessment - Focused on Texts in CSAT(Language Ar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74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13-342(30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scientific texts used in Korean reading assessment. For this purpose, total 36 scientific texts used in 1994~2015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Language Art) were analysed and then categorized with its characteristics. Before analysing texts, theoretical tool was designed based on Wang(1998), which had analysed contents of scientific history texts in textbook. On the contents level, scientific concept, process, context, and on the expression level, mainly paragraph were selected as key items for analysing texts. Using this theoretical tool, scientific texts used in CSAT has finally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s follows. Type ① is the text which has included scientific concept, process, context, and these contents have fitted in with paragraph structure, so it would be appropriate texts in Korean reading assessment and scientific education also. Type ② is the text which has mainly included scientific concept without process and context, and these abstract concepts have expressed with very elaborate and detailed sentences. So it could not be read easily without content knowledges. For this reason, this type would be reconsidered as texts for reading assessment. Type ③ is the text which has included scientific concept and process. Depending on how much this process would be exposed on the text and how much this process would fitted in with writing strategies of developing content, appropriacy of this text would be differentiated. Type ④ is the text which has included scientific concept, process, context, however, these contents have not fitted in with paragraph structure. So it might be appropriate texts in science education, however, in Korean reading ssessment it would not.
더보기본 논문은 국어과 읽기 평가 맥락에 나타나는 비문학 텍스트의 특성을 탐구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특정 내용 분야의 텍스트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의 교육 관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입각점을 세우고, 1994년부터 2015년까지의 대학수학능력평가시험 언어영역(국어)의 총 36편이 과학 지문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과학자인 필자가 비전문가인 독자를 대상으로 쓴 과학 지문은 그 자체로 교육적 성격을 띤다는 점, 지식의 발생적 맥락에 주목한 역사발생적 원리에 의거하여 과학사가 과학교육의 핵심 내용이 자 방법으로 다뤄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과학사 지문의 내용 분석을 시도한 Wang(1998)의 논의를 토대로 과학 지문 분석을 위한 내용 요소(개념, 과정, 맥락)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들 내용 요소들이 국어과 문단 짜임 및 연성화 장치와 어떻게 부합하는지를 교차 분석하여, 읽기 평가 맥락에 나타난 과학 지문의 유형을 크게 4가지로 귀납하고 각각의 특성을 기술하였다. 유형 ①은 개념, 과정, 맥락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 발생적 맥락이 잘 복원되어 있고 이들 내용 범주가 국어과 문단 짜임에 잘 부합되는 유형으로서 국어과 읽기 평가를 위한 지문으로 손색이 없는 유형이다. 유형 ②는 과정 및 맥락 없이 개념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형으로서, 개념 이해를 돕는 내용요소도 없고 형식화된 개념의 속성상 상술과정이 정교하고 조밀한 까닭에 국어과 연성화 장치가 개입할 여지도 적다. 그 결과 배경 지식이 충분하지 않은 독자가 의미를 파악하기 쉽지 않은 지문으로서 국어과 읽기 평가 맥락에서 적절성이 재고되어야 하는 유형이다. 유형 ③은 맥락 없이 개념과 과정이 포함된 유형으로서, 과학적 사고가 국어과적 내용 전개 방식과 부합하는 정도에 따라 읽기 평가 지문으로서 적절성 판단이 갈릴 수 있다. 유형 ④는 개념, 과정, 맥락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나 국어과 문단 짜임과 부합되지 않아 내용 파악이 쉽지 않은 유형으로서, 과학교육의 맥락에서는 유의미한 지문일 수 있으나 국어 읽기 평가 맥락에서는 적절성 판단이 필요한 지문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12-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1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77 | 1.353 | 0.8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