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한 법적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f Act Improve of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7-160(44쪽)
KCI 피인용횟수
3
DOI식별코드
제공처
현행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은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한 운행기반 조성 등을 통해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를 촉진함으로써 국민의 생활환경 개선과 국가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에 있어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우선, 정부의 자율주행자동차 정책방향의 소극성과 국민적 수용성 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자율주행자동차의 구조적 불비나 결함에 따른 안전성이 문제되고 있다. 또한, 자율주행자동차의 연구개발에 대한 낮은 집약도 문제, 아울러, 자율주행차의 사고발생 시 원인 규명과 책임 부여의 어려움 등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위와 같은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에 따른 문제점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이 요구된다. 우선, 자율주행자동차 정책의 강화를 제고하기 위한 법·제도 개선, 첨단 교통인프라 구축, 안전관리체계 확립, 관학 협동을 통한 추진동력 확보와 정책적 지원이 요망된다. 그리고,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기준인 조향장치, 제동장치, 좌석 등의 완비와 충분한 시험운전이 필요하다. 또한, 자율주행차 산업의 경험 및 데이터 축적과 기술개발을 통한 완전한 상용화를 추구한다. 아울러, 자율주행자동차의 사고 시 신속한 원인규명과 사고책임을 부여하도록 한다.
이러한 개선방안의 구체적 실현을 위해서는 우선 자율주행자동차 정책의 적극적 추진과 정책의 결정에 대한 평가 시스템(피드백)을 통한 발전적 정책집행 및 적극적 지원이 요구된다. 그리고 자율주행자동차의 고도의 안전성 제고를 위해서는 첨단시스템을 도입한 사전점검 및 사후점검을 제도화 한다. 또한 자율주행자동차의 기술 고도화를 통한 자율주행자동차의 완전 상용화와 산업경쟁력 및 국가경쟁력에 기여하도록 한다. 아울러 자율주행자동차의 사고 시 신속한 원인규명과 분명한 책임을 제도화 한다.
결국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와 기술의 고도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법적·제도적 보완이 선행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The Act on the Promotion and Support of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aims to improve living environment of people and contribute to the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by promoting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through creation of safe operating system of autonomous vehicles, etc.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with such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First, the government’s policy toward autonomous vehicles is passive and public acceptance is inadequate. And safety according to structural deficiency of an autonomous vehicle is at issue. In addition, difficulties that arise when finding the cause and assigning responsibility in case of an auton-omous vehicle accident as well as low intensity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utonomous vehicles are being posed.
For remedying above problems due to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it requires to: Improve a law/system for enforcing an autonomous vehicle policy, establish an advanced traffic infrastructure, establish a safety control system, secure the driving force through government- school cooperation and have government’s supporting policy; Complete security devices in an autonomous vehicle such as steering wheel, braking system and seat and have adequate test-driving for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Pursue full commercialization with extensive experience and accumulated data in the autonomous vehicle industry and technical development, and; Promptly establish the cause and assign responsibility in case of an autonomous vehicle accident. For realizing such improvements specifically, it requires to: Actively promote a policy for autonomous vehicles, and implement and completely support a development policy through an assessment system (feedback) on the decision of policy; Institutionalize pre- and post-inspections with an advanced system so as to increase high-level safety of autonomous vehicles; Pursue full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through advanced techniques and contribute to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nstitutionalize a prompt inquest into cause and transparent responsibility in case of an autonomous vehicle accident.
As a resul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complement must take precedence in order for autonomous vehicles to commercialize and have refined technique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7-05-0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과학기술법연구소 -> 과학기술법연구원영문명 : Institute for Law of science & Technology -> Institute for Law of Science & Technology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1 | 0.51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2 | 0.66 | 0.2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