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의 방향성 고찰 - 전문가 FGI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Housing Services for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 Focused on Expert FGI (Focus Group Interview)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7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4-61(8쪽)
제공처
. Objective: The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stat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in order for the housing services for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to properly serve and prove option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parties.
. Methods: The use of FGI on a group of mental health professions was considered suitable as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direction of the housing services for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Thus, in September 2018, 7 mental health-related academics and field experts were recruited. There were 3 sessions held in total, each of which lasted for 2 hours.
. Results: As a result, we were able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and the future direction of the housing services according to problem, role, direction and the system building of the housing services. In detail, the problems with housing contained service segmentation, provider-centered service provisions, and the sub-category of the role of housing services consisted of the habituation of daily life skill. Also, as for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service, sub-categories were set by providing services tailored to the needs of the parties, the necessity of dividing the roles of the housing services, and the supplementation of the types of supportive housing. Moreover,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ystem has been suggested for the efficient and effective operation of housing services.
. Conclusion: The study focuses on the segmentation of the current housing services and the problem of the provider-centered service provision. As a countermeasure to the problem, providing service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parties, supplementing other options for supportive housing, and establishing a system for the housing services have been suggested. In other word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housing service system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vider for the housing services. Also,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cipient of the service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ystem that provides the unified division of roles in between the diversification of the types of the housing service and the housing service itself.
․Keywords: Parallel housing service, Service segmentation, Supportive housing, System
building of housing servic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가 당사자 욕구에 맞춘 서비스 제공과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현주소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현주소와 앞으로의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이기에 정신건강 관련 전문가 집단 FGI가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2018년 9월 7명의 정신건강 관련 학계 및 현장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각 회기별로 2시간씩 총 3회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 주거서비스의 현주소와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크게 주거서비스의 문제점, 역할, 방향성, 체계구축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세부적인 내용으로 주거서비스의 문제점에는 서비스의 분절성, 공급자 위주의 서비스 제공이 있었고, 주거서비스 역할은 일상생활기술의 습관화로 하위범주를 구성하였다. 또한, 주거서비스의 방향성으로는 당사자 욕구에 맞춘 서비스 제공, 주거서비스 역할 구분의 필요성, 지원주택 유형 추가로 하위범주를 구성하였다. 이와 함께 주거서비스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체계구축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주거서비스의 분절성, 공급자 위주의 서비스 제공의 문제를 중심으로 보았으며, 이에 대한 방안으로 당사자 욕구에 맞춘 서비스 제공과 지원주택이라는 선택지 추가, 주거서비스 체계 구축이 제시된 바 있었다. 즉, 주거서비스 공급자 관점에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주거서비스 체계구축의 필요성을 볼 수 있다. 또한, 당사자 관점에서의 효과성을 위해 주거서비스 유형의 다양화와 주거서비스 간의 역할 구분이 체계 구축을 통해 일원화 되어 제공될 필요가 있겠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