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내재적 초월의 사회철학: 하버마스와 호네트의 경우 = On the Social Philosophy of Immanent Transcendence: In Case of Habermas and Honneth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3-62(30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meaning of immanent transcendence in social philosophy can be found in the idea of inner-worldly transcendence of Left Hegelianism. It means the realization of the rational or the normative within the real world. For this, the real world must be pathological, but this pathology must be derived from the normative structure of social practices in the real world. That is, the criticism of the distortion and damage of the rational or the normative and the overcoming of it in the real world are the contents of the idea of immanent transcendence of social philosophy. In this paper, I examine how this idea of immanent transcendence is being embodied in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and Honneth’s theory of recognition, since the paradigm shift of criticism carried out by Harbermas. First, it is mentioned that the normative foundation that enables transcendence in modern society should be found in the realm of social practice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 of Left Hegelianism, and that since the paradigm shift undertaken by Habermas, communicatively rational actions in case of himself and the actions of social recognition in case of Honneth have emerged as such normative practices. Next, it is pointed out that in justifying this normative foundation, Habermas’ concept of communicative rationality and Honneth’s concept of recognition is reasonable for the condition of postmetaphysical modernity. Finally, the idea of immanent transcendence of Harbermas’ and Honneth's critical theory is to deviate from subjectivism while following the structure of the theory of alienation in the traditional Left Hegelianism. To sum up, it is the core idea of social philosophy today that the immanent transcendence of modern times is able to be made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normative potential of modern times itself.
더보기사회철학에서 내재적 초월의 의미는 좌파헤겔주의의 내세계적 초월 이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즉 이성적인 것, 규범적인 것을 현실 세계 내에서 실현한다는 뜻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실 세계가 병리적인 것이되 이러한 병리는 현실 세계의 사회적 실천의 규범 구조에서 발생하는 것이라야 한다. 현실에서의 규범적인 것, 이성적인 것의 왜곡과 훼손에 대한 비판 및 이의 극복이 바로 사회철학의 내재적 초월 이념의 내용인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내재적 초월 이념이 하버마스에 의해 수행된 비판 패러다임의 전환 이래, 그러니까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행위 이론과 호네트의 인정 이론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우선, 좌파헤겔주의의 전통에 따라 근대 사회에서의 초월을 가능하게 하는 규범적 토대는 사회적 실천 영역에서 찾아야 한다는 점, 그리고 하버마스에 의해 수행된 패러다임 전환 이후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합리적 행위 및 호네트의 사회적 인정 행위가 그러한 규범적인 실천 행위로 부상하게 되었다는 점이 언급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규범적 토대를 정당화함에 있어서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합리성 개념과 호네트의 인정 개념이 탈형이상학적 근대성이라는 조건에 합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하버마스와 호네트의 비판 이론의 내재적 초월 이념이 전통적인 좌파헤겔주의의 소외 이론의 구도를 따르면서도 주체 중심주의에서 벗어나려고 한다는 점이 지적된다. 총괄하자면, 근대의 내재적 초월은 근대 자체의 규범적 잠재력의 실현으로 가능하다는 것이 오늘날 사회철학의 핵심 이념이라 하겠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4-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tudies in Urban Humanities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8-10-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도시인문학연구소영문명 : The Institute for Humanities -> Institute for Urban Humanities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7 | 0.59 | 1.018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