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전쟁기 대중소설의 서사 전략과 젠더 정치 : 이무영의 『사랑의 화첩』과 정비석의 『애정무한』을 중심으로 = A Study on Gender Politics in Popular Novels during the Korean War
저자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Korean Women's institute Ewha Womans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37.10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24(2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한국전쟁기에 씌어진 이무영의 『사랑의 화첩』(1952)과 정비석의 『애정무한』(1951)은 전쟁이 창출한 국민국가-남한의 윤리 의식과 감정 구조를 파악하는 데 유효한 텍스트이다. 『사랑의 화첩』은 타락한 반민족주의자로 지목된 여성을 통해 전쟁기의 젠더화된 인식 체계를 재현한다. 가톨릭 사제와 수녀의 길을 걷고 있던 한 남녀는 사랑에 빠져 세속의 삶으로 돌아온다. 남편은 국가라는 이름의 신을 새로이 맞이하여 전재민 구호 사업에 투신하며, 이와 같은 민족적 대의 앞에서 아내의 개인적 욕망은 부정되고 처단 되어야 할 것으로 그려진다. 그러나 아내가 처절하게 전락하게 되는 결정적 이유는 그의 섹슈얼리티가 공산주의자를 향해 발현되었기 때문이다. 아내는 월북 후에야 북한이 지상의 지옥이라는 깨닫게 되는 한편, 중요한 것은 육체가 아니라 정신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뒤늦은 반성은 그를 성적, 이념적 타락이라는 혐의에서 구해내지 못한다. 다시금 조우한 남편이 죽기 직전에 내뱉는 “추한 계집”이라는 말은 이 소설의 주제이자 아내의 고백에 대한 최종 선고라 할 수 있다.
반면 『애정무한』에서 여성의 섹슈얼리티는 긍정되는 것처럼 보인다. 신분을 위장하고 북측 선전실에서 근무하는 주인공은 동료 여성에게 애정을 느끼지만 갈등한다. 결코 공산주의자를 사랑할 수 없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따라서 여성은 자신이 공산주의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증명한 후 남성과의 정신적, 육체적 결합을 주도한다. 그러나 이는 주체적인 것이 아니라 남성이 욕망하는 대로 움직이는 것에 불과하다. 이 소설에서 그려지는 사랑은 전쟁이라는 폭력적 현실 속에서 자기분열과 실존적 상실을 경험하고 있는 남성적 자아의 판타지에 불과하다. 그는 자신의 환멸을 이상화된 여성을 통해 위안 받고 해소하고자 하며, 여성이 죽음을 맞이한 이후에는 낭만적인 노스탤지어를 통해 영원한 사랑을 기약한다. 이는 역사의 주인공에게만 허용되는 감정적 특권이다.
이처럼 두 소설은 각각 타락한 여성과 이상화된 여성이라는 타자를 매개로 남성-반공주의자의 주체성을 완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된 특징을 지닌다.
As full-length novels written during the Korean War, Sa-rang-eui-hawcheop(1952) by Lee, Moo-Young and Ae-jeong-moo-han(1951) by Jeong, Bi-Seok convey ethics and value reasonable for the period of war, through romantic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Firstly, Sa-rang-eui-haw-cheop describes a married couple who have the shape of a virtuous nationalist and a corrupt anti-nationalist. As a Catholic priest and a nun, they fall in love and come back to the earthly life. However, for the nation and the people that the husband decided to newly serve as Gods, he devotes himself to relief work.
In the presence of this cause, the wife's personal desire is regarded as trifling. In the end, the wife defects to North Korea along with her husband who is a communist. But here, North Korea is almost like hell. The wife realizes that the important things are a mind, not a body, and the people, not individuals, after being punished to fall into hell. The wife's repeated confession makes her degrade to the perfect status of a sinner, rather than save her. Therefore, the novel ends, under the assumption that she would die or get lost.
On the other hand, a female desire in Ae-jeong-moo-han seems to be thought, positively. One man feels affection for a woman who is his co-worker, while working in the propaganda division of North Korea, hiding his status. This woman takes the lead in mental and physical combination with him, proving the fact she isn't a communist. However, in fact, this woman does nothing but moves as the man desires, not being independent.
In this novel, the Korean War is described as violence brought about by communism which is an absolute evil, and disillusions the male character. He tries to relieve his disillusionment, by loving a dutiful woman. Thus, the female character here is merely an utopia created by the fantasy of a man experiencing self-splitting and a sense of loss. Besides, she becomes an object of romantic remembrance, by dying a death.
As explained above, each of these two novels shows a corrupt woman and an idealized woman, but they are both used as tools for supporting identities of the male characters, and stress the theme, anti-communism. In this respect, they have some characteristics in commo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6-1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Women's Studies Review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71 | 1.217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