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박동진창 단가 <광대가>의 음악적 연구 = A Study of Dong-Jin Park’s Pansori Danga “Gwangdaega”: Focusing on Musical Characteristics
저자
정수인 (서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07-444(38쪽)
제공처
“Gwangdaega,” a Pansori danga (短歌), is a short song written by Jae-Hyo Shi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the only lyric that suggests an aesthetic theory about Gwangdaega Pansori. Danga acts as a short prelude that helps the singer relieve his throat and warm up his voice before singing Pansori with a long narrative structure. “Gwangdaega,” a short song translated as “The Song of Clowns,” was handed down only as an editorial; however, Pansori singers began to compose and sing it. The source on which master singer Dong-Jin Park relied when singing “Gwangdaega” in the early 1990s is extant. Dong-Jin Park’s danga “Gwangdaega” presents the four virtues of a clown, the law of the clown’s voice, and a comparison of the eight master singers with writer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of China.
The major musical characteristic of “Gwangdaega” is that it utilizes Ujo, Pyeongjo, and Gyemeonjo. The lower vocal range is expanded to a wide range of two octaves and a temporary transposition and modulation four notes higher are also used. In addition, there are cases where the do sound is shed without breaking it and the re sound is floated. An analysis of the cadences employed reveals that the ascending and homophonic cadences are more frequently used than the descending cadence. In all the cadences, mainly do and sol are used as ending sounds, and in the ascending cadence, sounds from re to mi are used. For the Buchimsae, Daemadi-Daejangdan and various Buchimsae were used.
Dong-Jin Park’s danga “Gwangdaega” has a musical composition where various tones, melodies, rhythms, and Jagndan Buchimsae are used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editorial. This musical change shows a melodic progression with repetitions of tension and relaxation. Most of the original danga sori consists of Pyeongjo or Ujo; therefore, it is a melody resembling those that is sung with a sunny or calm feeling or a strong and energetic musical motif. Dong-Jin Park later performed “Gwangdaega” with various melodies and Buchimsae. He expresses his artistry through various techniques of Pansori music.
판소리 단가(短歌) 중 하나인 <광대가>는 조선 말기에 신재효가 지은 단편가사로 광대 판소리에 대한 미학적 이론을 제시한 유일한 가사이다. 단가는 판소리를 부르기에 앞서 목을 풀기 위하여 짧게 부르는 토막소리이다.
단가 <광대가>는 과거에 사설로만 전승되다가 판소리 창자들이 작창을 하여 부르기 시작했는데, 박동진 명창이 1990년대 초 <광대가>를 부른 음원이 남아있다.
박동진의 단가 <광대가>는 광대가 갖추어야할 네 가지 덕목과 광대의 소리하는 법례와 당대 8명창들을 중국 당송(唐宋) 문인들과 비교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음악적인 면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우조, 평조, 계면조 악조를 활용하고 있다. 아래 음역이 확장 되어 2옥타브의 넓은 음역대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시적인 4도 위 변조변청도 활용되고 있다. 또한 ‘도’음을 꺾지 않고 흘리는 경우와 ‘레’ 음을 요성하는 경우도 나타났다. 종지선율 분석에서, 종지선율은 상행종지형과 동음종지형의 형태가 하행종지형보다 많이 나타나고 있다. 종지음은 모든 종지형에서 도와 솔이 종지음으로 주로 사용되며, 상행종지형은 ‘레’ 음에서 ‘미’ 음으로 종지한다. 붙임새는 ‘대마디대장단’과 당겨붙임・밀붙임・잉어걸이・합장단밟기・교대죽・주서붙임 등 다양한 붙임새를 사용했다.
박동진의 단가 <광대가>는 사설의 내용에 따라 다양한 악조와 선율과 장단 붙임새가 사용되는 등 음악적 구성력도 함께 갖추고 있다. 이러한 음악적 변화는 긴장과 이완이 반복되는 선율진행을 보이며, 원래 단가 소리의 대부분이 평조나 우조로 짜여 져서 화창하거나 평온한 느낌 또는 꿋꿋하고 기개 있는 악상으로 노래했던 것과 유사한 선율이다.
후에 박동진은 여러 차례 녹음에서 다양한 선율ㆍ붙임새 등 변모를 이루며 <광대가>를 연행을 하게 되는데 이는 박동진이 판소리 음악의 다양한 기법을 통하여 예술성을 표출하고 있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