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에 탄 사람의 뼈는 법의학, 고고학 및 생물인류학적 맥락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즉 범죄 현장에서 발견된 불에 탄 시신은 사망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사망 원인을 밝히는 데 결정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고고학 유적에서 발견된 불에 탄 사람의 뼈는 옛 사람들이 행한 화장 의례의 방법과 그 과정을 유추할 수 있게 한다. 우리나라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확인되는 사례들을 볼 때 화장은 신석기 혹은 청동기시대 무렵부터 산발적으로 행해진 것으로 추정되고 이후 불교가 전래되면서 성행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지금까지 우리나라 유적에서 확인된 화장묘 출토 사람 뼈에 대한 보고는 주로 묘제의 고고학적 맥락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즉 화장묘의 구조와 형식 분류, 입지에 초점을 맞춘 분석들이 주류를 이루기 때문에 잔존하는 뼈 자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개체에 대한 정보를 얻고, 나아가 화장 환경과 그 과정을 복원하고자 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법의인류학 및 생물인류학적 방법론을 우리나라 고고학 유적에서 출토된 화장 인골에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화장이 이루어진 방법과 과정에 대해 보다 자연과학적 정보들을 얻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이용된 사람 뼈는 2015년 청주 오송지구의 고려시대 화장묘 유구에서 출토된 뼈 항아리 내에서 확인되었다. 뼈 항아리 안에서 나온 탄화물을 시료로 방사성 탄소연대 측정을 의뢰한 결과, 화장묘는 12세기(1110~1170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청주 오송지구 유적에서 출토된 사람 뼈는 수습 당시 모든 뼈대 부위가 수축되거나 파편화된 상태였다. 머리와 팔, 다리뼈는 뒤틀리면서 뼈바깥막(periosteum)이 탈락하거나 뼈대 전체가 심하게 갈라져 있었고 치아는 대부분 턱뼈에서 분리되어 낱개의 상태로 뿌리만 남아있었다. 다른 부위들도 대부분 어느 부위인지는 식별이 가능했지만 수축과 파편화, 뒤틀림 현상으로 인해 원래의 형태에서 심하게 변형되어 있었다. 형태뿐 아니라 색깔 또한 부위에 따라 흰색, 회색, 회청색, 갈색, 검정색을 띄고 있어서 불로 인해 뼈대의 색깔이 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온도에 따른 뼈 수축의 관계를 고려했을 때 오송 출토 사람 뼈는 모든 부위에서 수축이 확인되기 때문에 대략 700˚C 이상의 온도에서 화장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색깔과 치밀질의 강도로 보았을 때 일부의 부위는 800˚C가 넘는 온도에 노출되어 결정화가 일어나는 등의 조직상의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800˚C 이상의 고온은 일부의 부위에만 국한된 최고 온도를 의미하며 모든 부위가 이 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또 일부 사지뼈의 뼈끝 부위가 비교적 잘 남아있고 파편화된 사지뼈 부위의 크기가 비교적 큰 편이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열에 노출되지 않았을 가능성과 관 안에서 시신이 태워졌을 가능성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뼈에 남아있는 균열의 양상 역시 세로 방향보다는 가로 방향의 균열과 뒤틀림이 훨씬 심하기 때문에 육탈되지 않은 시신을 화장하였을 가능성도 함께 고려해보아야 하겠다.
더보기Burned human skeletal remains provide key information in the contexts of forensic anthropology, bioarchaeology and biological anthropology. Firstly, human identification through burned remains found at crime scenes is a common practice in forensic anthropology. Secondly, the interpretation of burned remains from archaeological sites can offer repositories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cremation practices of past societies, as well as biocultural information about the attitudes toward life and death held by those societies. Burned bone as evidence of cremains in Korea has been reported from the Neolithic and Bronze Ages. Later, cremation became common as a mortuary treatment in Korea during the Koryo period. However, to date, the study of cremated remains dating to ancient Korea has focused on the archaeological context rather than on burned bone itself. In this context, the study aims to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nature of cremated bone and attempts to identify any evidence pertaining to pyre technology and/or the cremation process.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an osteological analysis of cremated bone recovered from the Osong site in Cheongju, dated to the Koryo period. The cremated remai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tandards laid out in guidelines provided by biological anthropologists and forensic anthropologists. Radiocarbon dating of a carbonized material yielded a calibrated data range of 1110-1170 AD. The skeletal remains from the Osong site were fragmented and somewhat shrunken by the cremation process. Moreover, the majority of the long bones showed patterns of fracturing and distortion. Among the dental remains, the roots were only observed. There were no duplications in the remains. Thus, it is concluded that these remains belonged to a single individual. Judging from the epiphysis-diaphysis closure of the long bones and the cortical thickness of the cranial vault, this individual was at least a middle-aged adult. Forensic and experimental research on cremation can shed light on interpretations of cremated remains from the Osong site. Considerable warping as well as transverse and curvilinear fracture patterns are clear, typical signs of cremation. Regarding the duration and temperature of the original cremation event, most of the bones in the present case were calcined fragments which were white, grey, grey-blue, blown, and black in color. These colorations indicate that the temperature to which the bones had been subjected may have been as high as 700˚C. A majority of the cremated fragments recovered from the cremation burial at the Osong site exhibited patterns of fragmentation, fractures, fissures, transverse fracturing and warping consistent with the burning of fresh bone with the flesh still attached. It is clear that further research and the recovery of more materials for comparison would allow a deeper understanding and provide greater insight into the burial practices of ancient Korea.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 (사)한국문화유산협회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Archaeological Heritage ->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12-1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영문명 : Korea cultural properties investigation and research institute associ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Archaeological Heritage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5 | 1.229 | 0.4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