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오류유형 및 영향분석과 그레이 관계분석을 통한 HLA 조직형 검사의 위험도 분석 = Risk Analysis in HLA Typing Based on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and Grey Relational Analysis
저자
Cha Jae Hyun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Seoul, Korea) ; Shin Eunji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Seoul, Korea) ; Hur Mina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onku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 Kim Hanah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onku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 Yun Seung Gyu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Seoul, Korea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Nam Myung-Hyun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Seoul, Korea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Cho Yunjung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Seoul, Korea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 Nam Minjeong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Seoul, Korea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6-153(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배경: 고해상도 HLA 조직형은 국내에서 주로 직접염기서열분석과 NGS 검사로 확인하고 있다. 검사 결과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위해서 검사 과정에서 발생가능한 위험도를 예측하고 고찰할 필요가 있다.
방법: 위험도산정을 위해 리더 1명, 의사 2명, 병리사 3명, 통계 분 석 전문가 2명으로 팀을 구성하고 각각의 전문가들이 CLSI 가이드 라인(EP18)에서 제시하는 척도에 따라 중증도(severity), 빈도(oc- currence), 발견가능성(detectability)의 정도를 산출하고 각 요소의 곱으로 오류 유형 및 위험도 분석의 위험도 우선순위(risk priority number) 를 결정한다. 그레이 관계분석을 통해 그레이 관계등급 을 산출하여 객관적인 위험도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고찰한다. 결과: 직접염기서열분석에서 위험도 우선순위값은 각 검사 단계에 대해 4-72까지의 분포를 보이고 그레이 관계분석에서 관계등급은 0.44-0.76을 보였다. NGS 검사에서는 위험도 우선순위값은 12-102 까지의 분포를 보이고 그레이 관계분석에서 관계등급은 0.51-0.90 까지의 분포를 보였다. 전체 위험도 우선순위값은 NGS 검사가 더 높은 위험도를 나타내고 있다 (465 vs. 1,103). 오류유형 및 영향분 석과 그레이 관계 분석을 통해 직접염기서열분석은 PCR 튜브에 DNA 첨가, 플레이트(plate)에 PCR 산물 첨가, 결과해석 및 결과 입 력 단계에서 높은 위험도를 보였다. NGS 검사에서는 반응 혼합액 (reaction mix)에 DNA 첨가 및 결과 해석 단계가 높은 위험도를 보 였다.
결론: 본 연구는 직접염기서열분석과 NGS 검사에 대한 위험도 평 가를 위해 오류유형 및 영향 분석과 그레이 관계 분석을 적용한 첫번째 연구이다. NGS 검사는 직접염기서열분석보다 높은 위험도 를 보였다. 고해상도 HLA 형별 검사는 튜브나 플레이트에 시약을 첨가하는 과정과 결과 해석 및 입력의 오류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업무흐름 (workflow)의 개선이나 자동화 도입으로 업무의 위험도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Background: High-resolution HLA typing is predominantly performed using sequence-based typing (SBT) and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Risk analysis is necessary to predict and evaluate potential risks in the testing process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test results. Methods: The risks were assessed by specialized experts, including a leader, doctors, technicians, and statistical analysts. Each expert calculat- ed the severity, occurrence, and detectability of potential failures according to the Clinical Laboratory & Standards Institutes (CLSI) guidelines (EP18). For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FMEA), the risk priority number (RPN) was calculated as the product of these factors. Grey relational analysis (GRA) was used to derive the grey relational grade (GRG).
Results: For SBT, RPN values ranged from 4–72, with GRG from 0.44–0.76, while for NGS, RPN values ranged from 12–102, with GRG from 0.51 – 0.90. The total RPN indicated a higher risk for NGS (465 vs. 1,103). For SBT, FMEA, and GRA identified high risks in adding DNA to PCR tubes or PCR products to plates, and in interpreting and inputting the results. For NGS, high risks were found in adding DNA to the reaction mix and result interpretation.
Conclusions: This is the first study to apply FMEA and GRA to risk assessment in SBT and NGS for high-resolution HLA typing. NGS presented higher risks compared to SBT. It is necessary to improve workflows or introduce automated processes to reduce risk when adding reagents or mixtures and interpreting and inputting result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