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IE
SCOPUS
혈소판 감소증의 감별진단에 유용한 망상혈소판 백분율의 측정법 = Quantitation of the Percentage of Reticulated Platelets to Diagnose the Cause of Thrombocytopeni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5
작성언어
-등재정보
KCI등재,SCIE,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65-372(8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Background : Since reticulated platelets (RP), known to be newly released from megakaryocytes in the bone marrow into the blood, contain RNA in their cytoplasm, we can detect them by staining RNA remnants with fluorescent dyes and performing flow cytometric analysis. We attempted to search for the best conditions in quantitating the percentage of RP (RP%) to identify causes of thrombocytopenia. Methods : The RP% were measured on venous blood samples collected in EDTA from 63 normal controls and 48 thrombocytopenic patients. The thrombocytopenic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causes: hypoplastic and destructive. The RP% was determined by a flow cytometric analysis with anti-CD41a and thiazole orange (TO) as a fluorochrome. Results : In patients with their platelet count less than 50×109/L, the RP% of two patient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RP% and platelet count were correlated directly in the hypoplastic group, but inversely in the destructive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OC curve, the best conditions in quantitating RP% to identify the cause of thrombocytopenia was to apply a 2% threshold of TO positivity among gated platelets; its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93.3% and 83.3%, respectively. w Conclusions : The RP% is considered to be a good marker for differentiating destructive from hypoplastic thrombocytopenia and monitoring of the destructive thrombocytopenic patient having normal bone marrow such as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For the accurate measurement of the RP%, the condition of 2% TO threshold i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더보기배경 : 망상혈소판은 골수 거핵세포에서 생산되어 혈중으로 유리되는 가장 미성숙한 혈소판으로 세포질 내에 RNA를 함유하고있으며, 세포내의 RNA를 염색할 수 있는 TO로 혈소판을 염색하여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그 수를 측정할 수 있다. 저자들은정상인과 혈소판 감소증 환자를 대상으로 망상혈소판을 측정하고,유세포 분석 조건에 따른 망상혈소판 백분율을 구하여, 혈소판 감소의 원인을 감별진단하는데 있어서 적합한 유세포 분석 조건을찾고자 하였다. 대 상 및 방 법 : 혈액질환이 없고 혈액검사상 혈소판수가 정상인63명을 대조군으로 하고, 혈소판수가 100×109/L 이하로 감소된 환자 48명을 환자군으로 하여 EDTA 혈액 3 mL를 채혈하고, 혈소판수와 망상혈소판을 측정하였다. 환자군은 생성저하군과 파괴증가군으로 나누었다. 망상혈소판은 전혈을 PE로 표지된 항-GPIIb/
IIIa 단클론항체와 형광색소인 TO로 염색한 후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RP%는 혈소판수에 대한 TO 양성 혈소판수의 백분율로 정의하였다.
결과 : 혈소판수가 50×109/L 미만으로 감소된 환자들에서 두환자군의 평균 망상혈소판 백분율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각 환자군에서 혈소판 감소 정도에 따른 망상혈소판 백분율은 생성저하군의 경우 혈소판수가 커질수록 증가되었고, 파괴증가군은 혈소판수가 커질수록 감소되었다. ROC 곡선을 이용하여 혈소판 감소
증 환자에서 원인을 감별진단 하기 위한 망상혈소판 백분율의 기준치를 계산해 본 결과, R1과 R2 영역을 함께 취하여 2%의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진단목적의 망상혈소판 백분율의 적용에 합당하였고, 이때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93.3%와 83.3%이었다.
결론 : 망상혈소판 백분율은 골수의 혈소판 회전율을 반영하는 좋은 지표로 생각되며, 골수기능이 정상이면서 혈소판 감소가 심할수록 월등하게 증가되므로 혈소판 회전율이 증가된 혈소판 감소증의 진단 및 추적 감시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며,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 유세포 분석시 거대혈소판을 배제하면서 2% 정도의
TO 양성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합당하리라 생각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2-05-2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Laboratory Medicine ->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Laboratory Medicine ->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학술지 분리 (기타) | KCI등재 |
2010-06-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진단검사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Laboratory Medicine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1 | 0.18 | 1.1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1 | 0.81 | 0.458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