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한국 음반제작시스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music record production systems in korean recording indust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4
작성언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32(32쪽)
KCI 피인용횟수
8
제공처
소장기관
Based on network theory perspective, this research examines musical record production systems of Korean recording industry. It is found that in Korean recording industry musical records are typically produced by two different systems. First production system is the integrated system in which a single record company is responsible for the creation of musical content as well as the distribution of recorded music. Second production system, so called 'the PD contract system', is relying on the network in which an independent production is responsible for the creation of musical content whereas a record company is responsible for the distribution of recorded music. In a typical PD contract system, a record company not only distributes recorded music but also invests content creation cost in the form of advance royalty payment to an independent production. Network theory suggests that as the competition in Korean recording industry has become severe the PD contract system has been developed as a way for record companies to effectively maintain flexibility and manage risk by accessing to a variety of musicians and creative productions without costly long-term committment.
Analysis of recent data indicates that over 75% of hit records in Korean recordings industry were produced by the PD contract system, suggests that networking has been a widespread phenomenon in the industry. Moreover, it is also found that on average the records produced by PD contract system outsells the records produced by the integrated system. It may suggest that networking has been a very effective strategy in Korean recordings industry.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이론의 관점에서 국내 음반산업에서 나타나는 두 가지 제작시스템인 전속 제작시스템과 PD 제작시스템을 이해해보고 두 제작시스템의 성과를 음반판매량을 통해 비교해봄으로써 국내 음반산업에서 나타나는 네트워킹 현상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국내 음반산업은 제도와 기술의 변화에 따라 기업간의 경쟁이 가속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중소기업 수준의 규모를 가지고 있는 국내 음반사들은 점차 음반제작을 위해 필요한 모든 자원, 특히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자원(가수, 작사자, 작곡자, 프로듀서 등)들을 내부적으로 보유하는 것이 어려워짐에 따라, 음반제작의 가치사슬을 구성하고 있는 기획, 제작, 유통의 부문에 전문화된 기업들간의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인 수직적 통합에 의한 음반제작방식인 전속 제작시스템에 더해 기획, 제작, 유통의 기능이 분리되어 수행됨으로써 외부환경의 변화에 보다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내부자원의 한계를 극복하며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는 제작방식인 PD 제작시스템이 자생적으로 등장하고 확산되었다. 이러한 PD 제작시스템은 음반기획사, 음반사와 유통사간의 네트워크로 이루어져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관련된 비용과 위험을 어느 한 기업이 전적으로 부담하지 않고 비용과 위험을 분산할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음반기획사와 음반사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협력으로 더 높은 효율성을 얻을 수 있는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네트워크 이론과 음반산업의 구조적 특성을 토대로 1999년 2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한국음반산업협회에서 발표하는 가요음반판매량 순위차트에 오른 음반을 대상으로 국내 음반제작 시스템의 실태와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PD 제작시스템은 현재 국내 음반산업에서 히트음반 판매량의 80% 이상을 담당하고 있으며 히트음반 수의 3/4 정도가 PD 제작시스템에 의해 제작된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음반의 제작에 있어서 광범위한 네트워크 현상이 발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평균 음반판매량의 비교에 있어서도 PD 제작시스템이 전속 제작시스템을 능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 음반산업에서 네트워크가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신인가수 음반의 제작시스템 비교를 통해 PD 제작시스템이 신인가수에 대한 진입장벽을 완화시킴으로써 음반 발매에 대한 기회를 증가시키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또한 메이저 음반사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도 PD 제작시스템이 전속 제작시스템보다 더 널리 사용되고 있음을 발견하였고 PD 제작시스템에 의한 음반의 평균 판매량이 전속 제작시스템을 능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2 | 1.22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3 | 1.04 | 2.139 | 0.0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