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가야 멸망 과정에 대한 새로운 이해 = ‘加耶叛’ 기사를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53-190(38쪽)
KCI 피인용횟수
9
제공처
이 글은 『삼국사기』 진흥왕 23년 ‘加耶叛’ 기사를 주목하여 대가야 멸망 과정을 재검토한 것이다. 신라의 주변국 복속 과정에서 나타나는 ‘叛’의 양상을 볼 때 ‘加耶叛’은 대가야의 멸망 시기만이 아니라 그 과정을 알려주는 하나의 실마리였다.
진한 소국으로부터 7세기의 보덕국에 이르기까지 신라는 주변국을 군사를 동원하여 한 번에 소멸시키기보다는 점진적인 복속 과정을 거쳐 통합하였다. 금관국을 비롯한 가야의 다른 소국들 역시 제각각의 과정을 거쳐 신라에 통합되었고 일시에 멸망되어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대가야 역시 점진적인 과정을 거쳐 멸망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가야는 오랜 기간 백제와 신라의 사이에서 독자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신라의 압박과 회유로 인하여 대가야의 지배세력은 신라의 영향력 하에 자신들의 기반을 유지할 수밖에 없었다. 이 무렵 일부 지배세력은 신라로 내투하였다. 551년 이전부터 대가야인이 국원에 옮겨 살고 있었던 것을 볼 때, 국원에 안치된 대가야인의 대부분은 대가야 소멸 이전부터 신라에 복속된 이들이라 생각된다.
대가야의 구체적인 멸망 과정은 알 수 없으나 신라의 보덕국 통합 과정과 가장 유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가야의 지배세력도 대규모로 사민되어 일시에 해체되었다기보다는 온존되었을 것이다. 562년 이전 우륵을 비롯한 강수의 선조 등 일부의 대가야 지배세력이 신라에 옮겨가 살고 있었던 것은 신라의 점진적인 대가야 복속 과정이 있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런 과정 끝에 일부 지배세력을 제외한 대가야의 최상위 지배층은 562년 ‘加耶叛’이 일어나기 이전에 신라로 옮겨졌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신라에 옮겨온 대가야 지배세력을 부에 편적시키고 골품과 관등을 내려주는 일련의 조치가 이루어졌을 것이다.
대가야는 ‘叛’을 계기로 끝내 신라에 통합되면서 멸망하였다. 대가야가 최종 멸망한 것은 562년이지만 이미 그 이전부터 신라의 복속 과정에 따라 이미 독자성을 상실하였다고 이해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reviewed the process of the collapse of Daegaya, focusing on records of ‘Gayaban(加耶叛)’, occurred in the 23th year of the Jinheungwang era. Considering the aspect of ‘ban(叛)’, when Silla conquered other countries, ‘Gayaban’ is a clue that implies not only when Daegaya fell, but also how it happened.
From Jinhan confederacy to Bodeokguk in 7th century, Silla gradually merged the surrounding countries, rather than conquering them at once by using military force. Polities of Gaya confederacy including Geumgwanguk had been slowly unified into Silla respectively as well, not had been ruined all at once. Daegaya also had undergone the same process till its fall.
For a long time, Daegaya had made efforts to keep the identity between Baekje and Silla. However, due to the threatening and placation of Silla, governing groups of Daegaya had to secure their positions under the control of it. Furthermore, some of them were admitted to Silla around this time. Seeing that there were immigrants from Daegaya in Gugwon even before year 551, it is thought that most people, emigrated from Daegaya, had already belonged to Silla before its fall.
Although specific process of collapse was not immediately revealed, it is assumed that the process was probably similar to that of Bodeokguk absorbed by Silla. And governing classes of Daegaya were conserved rather than dispersed. Based on the fact that certain of those governing classes, including Ureuk and ancestors of Gangsu, were moved to Silla before year 562, it can be said that Silla steadily subjugated Daegaya. As a result, the greater part of the top-level classes in Daegaya had migrated to Silla before ‘Gayaban’ occurred in year 562. After that, for the top-level class immigrants from Daegaya, Silla implemented a series of measures, such as offering the resident registration in ‘bu(部)’ and granting Golpum(骨品) and gwandeung(官等).
At last, ‘ban’ brought on the fall of Daegaya and made it unified into Silla. In conclusion,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Daegaya had already lost their identity under the rule of Silla, even before they completely collapsed.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7-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9 | 1.69 | 1.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57 | 3.463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