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주체형성 장치로서의 가상공간과 커뮤니케이션 모델 = Cyberspace for the Subjectification Dispositif and Communication Model : Focusing on the Discussions of Both Lefebvre and Foucaul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73-213(41쪽)
제공처
과연 가상공간의 정체성은 무엇이고, 가상공간에서의 사람들의 커뮤니케이션은 어떠한 특징이 있는가? 지금까지 가상공간은 미지의 공간이며 많은 사람이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자유의 공간으로 간주해 왔다. 한편으로는 사회에 내재한 권력 관계들에 의해 형성하고 있는 공간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르페브르와 푸코의 공간, 지식, 그리고 권력의 개념의 논의에 근거하여, 가상공간을 사람들이 자신들의 권력을 행사하는 사회 장치로 개념 규정하였다. 사회 장치로서의 가상공간을 통해 사람들은 자신들의 주체성을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추구하고 유지하고 있다. 또한, 가상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은 기존의 점과 점에서 관계, 즉, 선의 커뮤니케이션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보기Because of the digitization of communication media, each and separate communication media in the past has begun to converge. As some medium theorists such as Harold Innis, Marshall McLuhan had suggested, communication media have influenced the cognition of human being, furthermore,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epistemology. From these arguments, this report tries to describe the emerging phenomena, focusing on the mode of communication. What is the identity of cyberspace?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through cyberspace? For these research problems, this paper takes a look at the discussions of Lefebvre and Foucault regarding the social space, power, and knowledge.
To explain the identity of cyberspace, this report has taken a look at the arguments of both Henri Lefebvre and Michel Foucault. This report argues that digital space is a kind of emerging self-technology for the people to subjectify themselves. In the cyberspace, the peculiar characteristic of a changing communication mode is that network communication has begun to replace the point-to point communication. Employing the connectivity and mobility which are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people can add on the existing opinions as well as can express their opinions as free as they can.
This paper regards the identity of cyberspace as the social apparatus(dispositif) which refer to the various institutional, physical and administrative mechanisms and knowledge structures which enhance and maintain the exercise of power within the social body. Then mode of communication among people changes from people to people to people to space.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through cyberspace is kind of line-communication as Deleuze argues about the subjectifica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