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慶熙五十年 . 上, 下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volume. vol.1]----------
    • 목차
    • 제1편 창학 정신
    • 제1장 경희의 창학 정신
    • 1. 교육입국의 확고한 의지 = 137
    • 2. 문화세계의 창조 = 138
    • 3. 경희의 교육이념 = 143
    • 제2장 경희정신
    • 1. 경희정신의 요체 = 150
    • 1) 영·정조(英·正祖)시대의 문화와 경희정신 = 150
    • 2) 인류 평화의 이상과 네오 르네상스 시대 창조 = 152
    • 3) 경희정신의 상징 = 155
    • 2. 시대정신으로서의 경희정신 = 159
    • 3. 경희 정신의 구현 = 162
    • 1) 정신운동의 요람으로서 경희 = 162
    • 2) 대학의 기능과 정신운동 = 163
    • 제2편 경희정신의 실천적 전개
    • 제1장 경희정신의 실천
    • 1. 경희정신의 생활화 = 169
    • 2. 경희정신운동의 사회화 = 170
    • 제2장 경희가족운동
    • 1. 가족운동 전개의 필요성 = 172
    • 2. 경희가족운동의 실천 = 173
    • 3. 가족운동의 사회화 = 175
    • 제3장 잘살기운동
    • 1. 잘살기운동의 선구적 주창 = 177
    • 1) '우리도 잘 살 수 있다'는 자주·자립정신 = 177
    • 2) 새마을운동의 효시 = 183
    • 3) '새 한국민 상의 모색' = 185
    • 2. 범국민적 잘살기운동 = 188
    • 1) 후진사회문제연구소의 출발 = 188
    • 2) 대학의 사회봉사활동 = 190
    • 3) 고운말쓰기 운동과 이웃돕기 운동 = 191
    • 3. 자연 및 환경보호운동 = 192
    • 1) 금수강산 재현운동 = 192
    • 2) 꽃길·꽃동리 가꾸기 운동 = 193
    • 3) 세 캠퍼스의 공원화 = 196
    • 제4장 밝은사회운동
    • 1. 인간성 회복과 인간중심주의 = 204
    • 2. 밝은사회운동의 실천 = 209
    • 1) 밝은사회문제연구소 확대 개편 = 209
    • 2) 밝은사회운동의 조직화와 세계화 = 210
    • 제5장 인류사회재건운동
    • 1. 이론확립 = 218
    • 1) 명저『인류사회의 재건』 = 218
    • 2) 인류사회의 신선언 = 220
    • 2. 실천운동 = 222
    • 1) 인류사회재건연구원 발족 = 222
    • 2) 학술적 업적과「세계시민교과서」편찬 = 223
    • (1) 학술업적 = 223
    • (2) 『세계시민교과서』편찬 = 225
    • 3. 인류사회 재건의 세계화와 『오토피아』출간 = 227
    • 제6장 국제평화운동
    • 1. 평화의 철학적 기반 = 232
    • 1) 『민주주의자유론』속의 평화론 = 232
    • 2) 『문화세계의 창조』속의 평화론 = 233
    • 2. 평화구현의 방법 모색 = 239
    • 3. 세계대학총장회 창설 주도 = 244
    • 4. IAUP 서울대회 개최 = 246
    • 5. IAUP 부설 연구기관 - 국제평화연구소 설립 = 249
    • 6. 국제평화운동 주도 = 251
    • 1) '세계평화의 날', '세계평화의 해' 제정 = 251
    • 2) 세계평화 정착을 위한 제반사업 = 261
    • Pax UN 정책
    • 레이건 대통령의 'Strong America Policy'
    • 전쟁의 인도화를 위한 제2 적십자 운동 발의
    • 안티 테러리즘
    • 총성없는 평화의 해
    • 부시 대통령에게 Pax America가 아닌 Pax UN정책 권유
    • 지역공동사회(RCS)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
    • 페레스트로이카의 방향 제시한 연설
    • 모스크바 국제평화회의 세계 영구평화정착 결의안
    • 3) 세계 모의 유엔회의 = 267
    • (1) 회의 대주제 : Pax UN = 268
    • (2) 분과별 주제 = 268
    • 4) '세계평화대상' '함마슐트상' '유엔특별평화공로상' 수상 = 270
    • 7. 국제평화운동 실천 = 274
    • 1) 다채로운 기념행사 = 274
    • 2) 평화의 노래 제작 보급 = 277
    • 3) 평화의 횃불봉송 세계일주대회(First Earth Run) = 285
    • 4) 활발한 학술활동 = 287
    • (1) 국제학술회의 = 287
    • (2) 국내학술회의 = 290
    • (3) 주요간행물 = 291
    • 5) 최초의『세계평화대백과사전』(World Encyclopedia of Peace) 출간 = 292
    • 6) 『세계평화대백과사전』증보개정판 발간 = 296
    • 7) 아태지역연구원 설립 = 297
    • 제7장 네오 르네상스 운동의 전개
    • 1. 발의와 추진 = 300
    • 1) 철학적 배경 = 300
    • 2) 성격과 전개 = 304
    • 2. 네오 르네상스 운동의 실천적 노력과 성과 = 317
    • 1) 지속적 확산 = 317
    • 2) 유엔 창설 50주년과 네오 르네상스 운동 = 321
    • (1) 세계 청소년 대표자회의 = 321
    • (2) 관용, 도덕과 인간성 회복을 위한 국제회의 = 325
    • (3) 21세기 윤리도덕 확립을 위한 곡부(曲阜)선언문 = 328
    • (4) 도덕과 인간성 회복을 통한 네오 르네상스를 위한 서울 결의문 = 330
    • (5) 새로운 천년을 위한 지구공동사회 선언문 = 333
    • (6) 인류공동사회 선언문 = 335
    • 3. 새 밀레니엄 시대를 향한 구상과 비전 = 336
    • 1) 사색의 광장(Pensee Plaza) = 337
    • (1) '오 경희여 영원하라' 시편 = 338
    • (2) 인도의 시성 타고르의 시비(詩碑) = 340
    • (3) 사색의 광장 = 341
    • (4) 세계의 주요국가와 수도 = 342
    • (5) 우주와 별 = 343
    • 4. 1999 서울 NGO 세계대회 = 343
    • 1) 대회 개관 = 345
    • (1) 대회 개최 배경 = 345
    • GCS 국제 본부·경희대학교의 대회제안 배경
    • CONGO의 참여 배경
    • NGO·DPI의 참여 배경
    • (2) 삼자 공동운영위원회 활동 = 348
    • (3) 사무국 운영 : 서울 및 뉴욕 = 349
    • 한국조직위원회 활동
    • 뉴욕 TSC 연락사무소 활동
    • (4) 대회의 진행 = 351
    • 개회식
    • 전체회의
    • 주제별 종합·종결 회의
    • 분과토의·워크숍
    • 주요 부대행사
    • 전시 및 문화행사
    • 폐회식
    • (5) 대회선언문 = 359
    • (6) 대회의 성과 = 359
    • 2) 대회 전체 개요 = 361
    • (1) 대회개요 = 361
    • (2) 대회 일정표 = 362
    • 3) 조영식 공동대회장 기조연설문 = 363
    • 4) 대회참가 주요인사 = 367
    • 5) 서울밀레니엄 선언문 = 367
    • 제3편 창립에서 웅비로
    • 제1장 창학과 기반조성
    • 1. 역경과 싸운 경희 50년의 회고 = 375
    • 1) 역사적 위상 = 375
    • 2) 현재의 위상 = 377
    • 2. 대한민국 건국과 교육현실 = 380
    • 3. 재단과 대학 인수 - 대학의 출발 = 381
    • 1) 대학창설 - 신흥초급대학(가인가)의 재설립 = 381
    • 2) 폐교 직전의 학교와 재단 인수 = 383
    • 3) 신흥초급대학 설립 = 386
    • 4) 새로운 기획제도 도입 = 390
    • 5) 재단확충과 4년제 대학의 설립 = 392
    • 6) 임시교사 전소와 대학의 위기 = 394
    • 7) 신교사 재건과 청주 분교의 설립 = 395
    • 4. 서울 환도와 새로운 학원의 건설 = 399
    • 1) 고황산 아래 30만평의 교지 = 399
    • 2) 경희학원의 웅장한 청사진 = 403
    • (1) 본관 석조전 = 403
    • (2) 공원속의 학원건설 = 407
    • (3) 학원건설의 제1차 5개년 계획 = 408
    • 등용문
    • 교시탑
    • 체육대학관
    • 종합운동장
    • 녹원
    • 문리대대학관
    • 노천극장
    • 온실·임간교실
    • 본관 석조전
    • 본관 앞 정원과 분수대 공원
    • 5. 종합대학 승격과 불의의 시련 = 422
    • 1) 대망의 종합대학 승격 = 423
    • 2) 학풍진작과 학사행정의 제도화 = 425
    • (1) 학풍진작 = 425
    • (2) 교수방법 강화 = 426
    • (3) 중앙도서관 건립 = 427
    • (4) 장학제도 정비 = 429
    • (5) 전경희인의 축제로서의 대학제(大學祭) = 430
    • (6) 중앙박물관 개관 = 431
    • (7) 문화상제도 설치 = 433
    • (8) 대학언론의 시설확장 = 433
    • 대학신문 창간
    • 대학방송국 설치
    • 『고황(高凰)』창간
    • 3) 조 학원장의 저서와 불의의 시련 = 436
    • 6. 세계로 향하는 대학 = 440
    • 7. 학생들의 사회참여 = 442
    • 제2장 미래상의 정립
    • 1. 종합학원 체제 구축 = 446
    • 1) 학원체제 확대 = 446
    • 종합학원 지향
    • 각급학교 설립
    • 일관교육체제 정비
    • 학원가(學園歌) 제정과 학원제
    • 2) '경희'로의 개명 = 449
    • 우주의 대섭리 담아
    • 고황산 호랑이
    • 4·19혁명과 경희
    • ROTC제도 신설
    • 마이애미 대학과 자매결연
    • 전국 남녀고교생 학력경시대회의 성공적 개최
    • 우수 신입생 선발과 입시경쟁률의 상승
    • 지속된 건설과 발전
    • 2. 개교50주년 및 100주년 기념식에 보내는 메시지 = 456
    • 1) 5·16과 경희 = 456
    • 교육정책의 시행착오
    • 학원장 제도 도입
    • 「경희학원원칙」제정
    • 설립자 장학금 신설
    • 2) 개교 15주년과 재도약 = 461
    • 조영식 총장 재취임
    • 개교 15주년과 재도약
    • 한일국교수립회담과 6·3사태
    • 3. 학교시설 확충 및 기구개편 = 463
    • 1) 대학기구 확충 = 464
    • 대학 및 학과증설
    • 대학원 학과증설
    • 산업경영대학원 설립
    • 2) 동양의과대학 인수 = 467
    • 3) 주요 부설연구기관 = 470
    • 한국학술연구원
    • 국토종합개발연구소
    • 한국경영경제사연구소
    • 교육문제연구소
    • 후진사회문제연구소
    • 시장조사연구소
    • 한국식물자원연구소
    • 동양의학연구소
    • 산업경제연구소
    • 한국조류연구소
    • 4) 선구적 제도 개발 = 472
    • 새로운 대학제도
    • 학력경시대회
    • 장학금고 설치와 운영
    • 장학제도 결실
    • 민주시민특강
    • 대학제(학원제)
    • 대학장제도 신설
    • 연구 환경 조성을 위한 제반 조치
    • 5) 학교시설 확충 = 478
    • 중앙도서관
    • 중앙박물관
    • IAUP기념관
    • 정경대학관
    • 교수연구회관
    • 공관
    • 의학대학관
    • 경희의료원 개원 준비
    • 성지에서 온 교회
    • 선승문(善勝門)
    • 선동호(仙洞湖)
    • 경희인상(慶熙人像)
    • 4. 세계대학총장회 창설과 서울대회 개최 = 495
    • 1) IAUP 창설 = 495
    • 세계대학총장회 창설
    • 세계대학총장회 2차대회 서울 유치
    • 2) IAUP서울대회 개최 준비 = 496
    • 대회준비위원회 구성과 준비 작업
    • 의제 결정
    • 대표들의 입국과 축하메시지
    • 3) 제2차 세계대학총장회 서울대회 개최 = 499
    • 개회식
    • 조영식 총장 대회의장에 피선
    • 전체회의
    • 축하행사
    • 4) 서울 대회 의의와 성과 = 507
    • 세계에 심은 경희의 이름
    • 경희인의 사기충전
    • 5) 국회특감과 경희의 시련 = 510
    • 5. 성년을 맞은 경희 = 516
    • 1) 전환의 기점 = 516
    • 새 운영방침의 추진
    • 3선개헌반대운동
    • 2) 경희의 위상 = 519
    • 높아진 경희의 실력
    • 경희칸타타
    • 제3장 경희의 국제화
    • 1. 비약적 발전기 = 522
    • 1) 성년경희의 위용 = 522
    • 편제 및 시설
    • 선구적인 각종 운동과 제도
    • 2) 교시의 이념적 구체화 = 524
    • (1) 전승화 이론 = 524
    • (2) 오토피아론 = 526
    • 3) 국제적 위상 확립 = 527
    • 세계로 웅비하는 새 경희
    • 국제학술대회 개최
    • 선구적인 각종 운동의 전개
    • 4) 점철된 고난과 영광 = 529
    • (1) 국민의 당 대통령후보 추대 = 529
    • (2) 밝은사회운동 추진의 어려움 = 530
    • 2. 학풍진작과 학술활동 = 532
    • 1) 대학교육의 개혁 = 532
    • (1) 교육수준의 질적 제고를 위한 전환 = 532
    • (2) 교수세미나 개최 = 534
    • (3) 학원생활화운동 전개 = 539
    • (4) 교육대학원 설립 = 540
    • 2) 1970년대의 주요 사건과 발전 노력 = 541
    • 10월 유신과 대학가의 저항
    • 취업보도위원회 발족
    • 본관 증축공사 추진
    • 학도호국단 발족
    • 입학시험 전기로 전환
    • 교양학부 개폐
    • 실험대학 운영
    • 3) 대학기구 확장 = 548
    • (1) 편제확충의 어려움과 극복 노력 = 548
    • (2) 수원캠퍼스 설립 추진 = 550
    • 4) 활발한 학술활동과 면학열 고조 = 551
    • (1) 연구와 면학풍토 조성 = 551
    • (2) 학사행정 쇄신 = 553
    • (3) 교수연구기금 조성 = 553
    • 3. 국제학술대회 주도와 보스턴선언 = 554
    • 1) 국제학술대회 주도 = 554
    • (1) 교육을 통한 세계평화 구현 = 554
    • (2) 세계평화와 대학의 사명 = 555
    • (3) 교육을 통한 인류사회 재건 = 556
    • 2) 보스턴선언과 세계평화 = 557
    • (1) 고등교육에 있어서 인류의 미래지향 = 558
    • (2) 밝은사회운동과 인류사회재건운동 전개 = 561
    • 3) 개교 30주년과 국제학술회의 = 562
    • (1) 개교 30주년 기념행사 = 562
    • (2) 경희의 탑 건립 = 563
    • (3) 제1회 국제동서의학 심포지엄 = 564
    • (4) 제1차 국제자연보호연구 발표대회 = 565
    • (5) 로마클럽과 인류사회재건연구원과의 합동국제학술회의 = 566
    • (6) 연이은 국제학술대회 = 570
    • 4) 1970년대의 IAUP와 경희 = 572
    • 조영식 총장 IAUP회장에 피선
    • IAUP 서울이사회와 '서울결의문'
    • 제5차 IAUP연차대회
    • IAUP 방콕 이사회 및 동남아지역회의
    • 제4장 의약학체계 완성, 명문사학으로
    • 1. 의약학계 대학의 기초확립 = 576
    • 2. 경희의료원 개원 = 577
    • 1) 의료원 설계와 착공 = 577
    • 2) 의료원 개원 과정 = 578
    • 3) 개원식 : 온 국민에게 헌납 = 579
    • 4) 국제 수준의 최신 의료시설 = 580
    • 5) 의료원 기기 및 시설도입의 비화 = 581
    • 6) 의료원 경영의 쇄신 = 583
    • 7) 새 진료기술 개발 = 584
    • 8) 시설확충 및 최신 의료기기 도입 = 586
    • 9) 기구확장 및 연구소의 활동 = 587
    • 3. 제3의학 개발 = 588
    • 1) 동서의학의 총본산 경희 = 588
    • (1) 미래지향적 의학관 = 588
    • (2) 한의학의 현대화 추진 = 590
    • 2) 동서의학의 융합 = 592
    • (1) 동서의학 융합으로 이룬 종합시술의 개가 = 592
    • (2) 세계 침구학술대회 개최 = 594
    • 4. 명문사학으로 부상 = 597
    • 1) 각종 국가고시 석권 = 597
    • 2) 해외 자매대학과 교류 확대 = 600
    • 3) 경희칸타타 공연 = 602
    • 4) 시설 확장 및 환경미화 = 606
    • 고황학생회관과 크라운 콘서트홀
    • 본관 석조전 증축
    • 산업대학관
    • 삼의원
    • 평화의 전당 착공
    • 자연사박물관
    • 컴퓨터·원자로·CT스캐너 도입설치
    • 중앙기기센터 설치 운영
    • 도서관 및 실습시설 확충
    • 꽃동산과 푸른 숲 조성
    • 경희금강
    • 선도원
    • 화성대와 화성교
    • 제5장 시련 극복과 캠퍼스의 균형적 발전
    • 1. 시련속에 다져진 도약의 기틀 = 622
    • 1) 80년대 초의 시련 = 622
    • (1) 80년대의 격동과 기나긴 침체 = 623
    • (2) 또 하나의 재앙, 체육대학관 화재 = 630
    • (3) 1981년의 정부특감과 면죄부 = 631
    • (4) 1981년도 입시와 장학생 = 635
    • (5) 얼어붙은 동토 속에서의 갈등 = 636
    • 2) 안정 회복과 재도약을 위한 기반 조성 = 640
    • (1) 조영식 박사 다시 총장으로 = 642
    • (2) 드높은 경희의 기상 - 되찾은 월계관 = 645
    • 2. 경희의료원의 확장 = 649
    • 1) 시설확충 및 내실화 = 649
    • 2) 병상 증가 및 제2의료원 설립 추진 = 165
    • 3) 평화의 인술을 위하여 = 656
    • (1) 국내 의료봉사 활동 = 656
    • (2) 해외 의료봉사 활동 = 662
    • 3. 캠퍼스의 획기적 발전과 학문교류의 국제화 = 664
    • 1) 학과증설과 재조정 = 664
    • 2) 대학원 및 특수대학원 확대와 발전 = 668
    • 3) 외국대학과의 학문적 교류 가속화 = 671
    • 4) 국제교류부와 국제교류위원회 = 673
    • 〈부록〉
    • 1. 경희학원 연혁 = 679
    • 2. 해외자매대학교 = 755
    • 3. 캠퍼스 배치도 = 762
    • 4. 경희대학교 기구표 = 765
    • [volume. vol.2]----------
    • 목차
    • 제1편 서울캠퍼스
    • 제1장 다져진 내실화와 국제화
    • 1. 조영식 총장의 지도력 = 23
    • 1) 도전과 응전의 1980년대 = 23
    • 2) 조영식 총장의 복귀와 학내분위기 쇄신 = 26
    • 3) 대립을 극복한 교내 구성원의 노력 = 30
    • 4) 불안한 사회분위기속에서도 지속된 경희발전 = 32
    • 5) 학생을 위한 조영식 총장의 살신성인적 희생 정신 = 36
    • 2. 대학 간 경쟁의 심화와 개혁 추진 = 42
    • 1) 능동적인 개혁 시도 = 42
    • 2) 한의대사태 재발과 적극적 해결 = 48
    • 3) 수요자중심 교육과 학부제 도입 = 49
    • 4) 각종 대학평가에서 개가 = 50
    • 5) 국제화·정보화를 위한 대학의 노력 = 55
    • 3. 새로운 발전방향 모색 = 60
    • 1) 조정원 총장 취임 = 60
    • 2) 새로운 발전방향 모색 = 63
    • 3) 대학평가에서 최고점수 획득 = 68
    • 4) 김대중 동문 대통령 당선 = 71
    • 5) 조영식 학원장의 간디평화상 및 세계시민상 수상 = 79
    • 제2장 경희 재도약의 전환점 개교 50주년
    • 1. 모두가 참여한 준비작업 = 82
    • 1) 거교적 모금운동의 전개 = 85
    • 2) 뜨거운 감동 경희발전 후원의 밤 = 87
    • 3) '비전 2000' 경희발전 전략의 수립 = 89
    • 4) 경희인을 하나로 묶은 다채로운 기념행사 = 91
    • 5) 재학생 자원봉사단의 눈부신 활동 = 97
    • 2. 개교 100주년을 향한 힘찬 거보 = 98
    • 1) '99 서울 NGO 세계대회 유치 = 99
    • 2) 아시아 최대의 문화예술공간 '평화의 전당' 완공 = 101
    • 3) 종합강의동 = 105
    • 3. 교육수요 증가와 대학원 확대 발전 = 107
    • 대학원
    • 교육대학원
    • 경영대학원
    • 행정대학원
    • 언론정보대학원
    • 체육대학원
    • 국제법무대학원
    • 관광대학원
    • NGO 대학원
    • 4. 연구소의 활발한 연구 활동 = 124
    • 인류사회재건연구원
    • 밝은사회연구소
    • 국제평화연구소
    • 인문학연구소
    • 민속학연구소
    • 언어연구소
    • 사회과학연구원
    • 산업관계연구소
    • 정책개발연구소
    • 경희법학연구소
    • 호텔경영연구소
    • 산학협동연구소
    • 관광정보연구소
    • 생활과학연구소
    • 기초과학연구소
    • 한국조류연구소
    • 지구환경연구소
    • 동서의학연구소
    • 경희동서약학연구소
    • 동서간호학연구소
    • 동서신장병연구소
    • 한의학연구소
    • 고황의학연구소
    • 내분비연구소
    • 구강생물학연구소
    • 임상영양연구소
    • 현대미술연구소
    • 체육과학연구소
    • 교육문제연구소
    • 학생생활연구소
    • 5. 학문의 국제화와 교류 확대 = 167
    • 1) 국제교류센터 = 168
    • 자매결연 대학교와 지속적 협력
    • 교원의 국제교류 활성화
    • 직원의 국제교류
    • 학생의 국제교류 확대
    • 국제학술회의와 국제행사
    • 문화·스포츠 교류 활성화
    • 해외 출판 사업과 홈페이지 제작
    • 국제교육 프로그램 제작
    • 2) 국제교육원 = 173
    • 한국어 교육부
    • 외국어 교육부
    • 한국학 교육부
    • 부설 언어연구소
    • 6. 열린교육체제 도입과 활성화 = 177
    • 1) 사회교육원의 설립 = 177
    • 사회교육원 종합발표회
    • 독보적인 교육체계 성취
    • 2) 재취업과정 프로그램 도입 = 179
    • 3) 학점은행제 = 180
    • 제3장 경희의학 발전과 학원 민주화
    • 1. 세계적 연구성과와 제3의학 창출 = 182
    • 1) 세계의 주목을 받은 인간복제 가능성 연구 = 182
    • 2) 신의학 창출의 터전 동서협진센터 = 186
    • 3) 한국최초의『동양의학대사전』발간 = 188
    • 2. 경희의학 확장 = 191
    • 1) 경희동서신의학병원 설립 = 191
    • 2) 부속 치과병원 신축 = 193
    • 3) 강남경희한방병원 = 194
    • 3. 최첨단 기기도입과 열린 의료서비스 = 195
    • 감마나이프 도입
    • MRI 가동식
    • 자기공명 영상진단장치 도입
    • 선형가속기 도입
    • 엑시머레이저 도입
    • OCS(처방전달시스템)개발 완료
    • PC통신 진료상담
    • 주차빌딩 신축공사 완공
    • 호텔식 장례식장 신축
    • 4. 의료봉사를 통한 세계평화정신 구현 = 200
    • 1) 한국 곳곳에 심어진 경희인술 = 200
    • 2) 해외에 펼쳐진 경희의 인술 = 202
    • 인도네시아와 수단의 의료봉사
    • 네팔의료봉사와 경희 - 네팔 친선병원
    • 몽골 의료봉사
    • 광복 50주년 기념 카자흐스탄 의료봉사
    • 사할린 동포 무료 진료
    • 러시아 한방의료 봉사
    • 5. 민주화를 구현하는 교내단체 = 210
    • 1) 교수협의회 = 211
    • 2) 직원노동조합 = 214
    • 6. 다시 뜨는 경희 체육 = 218
    • 축구부
    • 야구부
    • 농구부
    • 체조부
    • 아이스하키부
    • 제2편 수원캠퍼스
    • 제1장 인류 미래를 제시하는 대학
    • 1. 새로운 캠퍼스 구상 = 227
    • 1) 학교터 물색과 설립인가 = 227
    • 2) 뉴 칼리지 시스템 도입 = 234
    • 3) 홀로서기와 성장 단계 = 237
    • 수원에서 수업시작
    • 첫 입학식
    • 1차 5개년 계획
    • 공대·산업대 수원캠퍼스로 이전 결정
    • 원자로 가동식
    • 2. 독립캠퍼스 체제로 = 245
    • 1) 첫 졸업생 배출 = 245
    • 2) 부총장제 신설 = 245
    • 3) 첨단 교육을 위한 노력 = 247
    • 컴퓨터센터 개관
    • 체육과학대학관 개관
    • 도약을 위한 진통
    • 4) 2차 5개년 계획의 가시화 = 253
    • 산업정보대학원 설치
    • 새로운 도약을 위한 준비
    • 5) 6개 학부의 단과대학 승격 = 258
    • 대학진입로 포장
    • 학과신설 및 행정체계보완
    • 두 대학관 착공과 이공대학 분리
    • 산업대학 이전과 사회과학대학관 개관
    • 도서관 기공식 및 환경개선
    • 제2장 내실화와 국제화를 통한 도약
    • 1. 종합캠퍼스로 발돋움 = 268
    • 자연과학대학관과 학생회관 준공식
    • 수요자 중심의 경희와 구성원 활동
    • 대폭적인 학과 신설 및 증원
    • 2. 도약과 새로운 위상 = 271
    • 1) 연구처 신설과 우주과학교육관 완공 = 271
    • 연구처 신설
    • 취업정보 전산프로그램개발
    • 우주과학교육관의 완공과 우주탐사
    • 경희인의 쾌거와 국선관 개관
    • 외국과의 문화교류
    • 연구발표 활성화와 산학연협동체계 구축
    • 독자적 입시전형과 경희의 위상
    • 사이언스파크 유치 추진
    • 2) 중앙도서관 개관 = 283
    • 3) 94년도 장단기 발전계획 = 288
    • 옴부즈맨제도 실시·국내최초의 원격수업 실시
    • 문화교류와 연구활동
    • 발전위원회와 교양과정심의위원회 출범
    • 제1회 통합예술제와 학술제
    • '95 경희 정보 페스티벌 개막
    • 경희의 위상을 국내외에 떨침
    • 3. 네오 르네상스의 발원 = 297
    • 4. 특성화된 캠퍼스 = 301
    • 1) 산학협력 활성화와 학부제 도입 = 301
    • 산학협력추진위 활동과 학부체제로의 전환
    • 사회봉사의 활성화
    • 2) 조직개편과 시설확충 = 304
    • 국내최초로 변광성(경희성) 발견
    • 도서·기자재 기증 운동 및 세계체육학술대회
    • 3) 정보화 교육 선도 = 308
    • 4) 대학평가사상 최고점수 획득 = 310
    • 대학발전을 위한 모임
    • 대학종합평가사상 최고 성적 획득
    • 지역사회와의 협력 및 학술대회
    • 5) 교육수요자 중심체제 확립 = 315
    • 학부제 확립
    • 다용도 기숙사 우정원 개관
    • 교육수요자 중심의 제도 및 교과과정 개선
    • 우수학생 유치, 열린캠프, 경시대회
    • 학회와 연구활동
    • 왕성한 창업 활동
    • 멀티미디어교육관 개관·기초과학교육위원회
    • 가상대학 선정·체육부 격려
    • 5. 새 천년을 선도하는 캠퍼스 = 328
    • 1) 전문화와 특성화 = 328
    • (1) 전문대학원 설립 = 328
    • 아태국제대학원
    • 동서의학대학원
    • 산업정보대학원
    • 정보통신대학원
    • 아트퓨전디자인 대학원
    • (2) 연구 중심대학으로의 발전과 연구원 설립 = 336
    • 아태지역연구원
    • 레이저공학연구소
    • 산학협력기술연구원
    • 비교문화연구소
    • 자연과학종합연구원
    • 사회과학정책연구원
    • 생명자연과학연구원
    • 디자인연구원
    • 국민생활체육연구소
    • 다반ASIC설계센터
    • 식물대사연구센터
    • 멀티미디어기술연구소
    • (3) 부속기관 = 346
    • 평생교육원
    • 산업대학 실습농장 및 연습림
    • (4) 지속적인 발전 = 348
    • 체육대와 사회계열의 캠퍼스 이동
    • 교육여건 조성
    • 우정원 증축과 노천극장
    • 산학연계 및 평가
    • 2) 새 천년의 문을 열며 = 353
    • (1) '새 천년 기념탑 - 네오 르네상스 문' = 353
    • (2) 대외로 뻗치는 경희의 기상 = 357
    • 제3편 평화복지대학원
    • 제1장 평화복지대학원 설립과 의의
    • 1. 평화복지대학원 설립 = 361
    • 1) 설립취지 = 361
    • 2) 광릉 숲 속의 평화복지대학원 부지 = 364
    • 3) 설립인가 = 367
    • 2. 현대적 시설 = 368
    • 1) 본관 준공 = 368
    • 2) 기숙사와 새 교사 준공 = 370
    • 3. 역사적 개원과 축하 메시지 = 371
    • 1) 개원식·첫 입학식 = 371
    • 2) 세계 지도자들의 축하메시지 = 372
    • 4. 국제적 수준의 교육과 혜택 = 374
    • 1) 편제 개선 = 375
    • 2) 원훈, 원가, 삼정서헌가 제정 = 376
    • 3) 엠블렘 제작 = 377
    • 4) 세계 수준급 저명교수 강의 = 379
    • 5) 세계적 안목 배양교육 = 383
    • 6) 제1회 졸업생 배출 = 384
    • 5. 평화는 개선보다 귀하다 = 385
    • 1) 평화의 탑 건립 = 385
    • 2) 명상대 건축 = 386
    • 3) 도서관 = 387
    • 제2장 평화복지대학원의 교육
    • 1. 교육목적과 내용 = 388
    • 인간과 사회에 대한 성찰적 탐구
    • 종합적 사고력 배양
    • 대안적 세계질서의 실천적 모색
    • 평화지향적 인성 함양
    • 2. 교과과정 및 학사운영 = 389
    • 1) 공통필수과목 = 390
    • 우주와 생명의 기원
    • 인류사회와 현대문명
    • 인간과 자연의 철학적 이해
    • 세계 평화와 사회평화
    • 지역 및 지구공동체
    • 2) 개설학과 = 392
    • 국제평화학과
    • 아태지역학과
    • 국제 공공정책학과
    • 국제경영학과
    • 사회복지학과
    • NGO학과
    • 3. 특성화된 교육 프로그램 = 395
    • 1) 리더십 프로그램 = 395
    • 인성과 지도자론 강의 시리즈
    • 학생지도자 연수
    • 각종 모의회의 개최
    • 해외지도자 연수
    • 2) 학술 프로그램 = 397
    • 스페셜 렉쳐 시리즈
    • 국제학술회의
    • 워크숍
    • 3) 국제화 프로그램 = 399
    • English Language Programs(ELP)
    • Penn - In - Seoul
    • 해외자매대학 학점 교류
    • 4) 스웨텍(Swetech) 프로그램 = 400
    • 5) 인턴십 프로그램 = 400
    • 단기인턴과정
    • 장기인턴과정
    • 4. 학생들의 자치 활동 = 401
    • 1) 모의 국무·국회·유엔총회 = 402
    • 2) 『Peace Forum』발간 = 402
    • 3) Home coming day = 403
    • 4) Youth Program = 403
    • 제3장 미래를 향한 정진
    • 1. 삼정서헌의 공동생활 = 405
    • 2. 평화연구 평화운동의 세계적 메카로서의 활동 = 406
    • 제4편 대학문화와 학생활동
    • 제1장 학생회 조직과 활동
    • 1. 학부 학생자치기구의 변화와 활동 = 411
    • 첫 학생회 구성
    • 직선제 학생회 탄생
    • 모범선거 풍토 확립
    • 학도호국단의 부활
    • 총학생회 체제 정립
    • 총학생회 조직
    • 자주경희 총학생회 출범
    • 민족자주경희 수원캠퍼스
    • 2. 대학원 학생자치기구의 변화와 활동 = 417
    • 매머드 대학원
    • 직선제 총학생회 구성
    • 학문중심 활동
    • 제2장 학과 학회의 활동
    • 1. 학과 학회의 발전과 변화 = 420
    • 2. 학회문고 설치·학회보 간행 = 421
    • 3. 학회별 학문 연마 = 423
    • 제3장 동아리 연합회 활동
    • 1. 대학문화 창출 = 429
    • 1) 서울캠퍼스 = 429
    • (1) 학술분과 = 430
    • TIME반
    • 경영시스템연구회(ABS)
    • 백단학회
    • 경희대학교 컴퓨터 연구회(COM.COM)
    • SELF
    • KALA(경희 AFKN 청취회)
    • 대배달 민족회
    • 여명의 눈동자
    • (2) 봉사분과 = 432
    • 상록회
    • 청우회
    • 소리빛
    • VINE
    • 백록회
    • 적십자회
    • 국제연합 학생회(UNSA)
    • 호우회
    • KUSA(한국 유네스코 학생회)
    • (3) 취미·교양분과 = 434
    • 고전음악 감상반(하모닉스)
    • 유스호스텔(Youth-Hostel)
    • HAM
    • 경희 서도회
    • 수지침
    • 경희 대학교 아마추어 천문회
    • 기우회
    • (4) 공연분과 = 436
    • 탈춤반(민속연구회)
    • 노래여울
    • 고전기타회(RAMIREZ)
    • 댓바람
    • MDOP orchestra
    • 경희대학교 합창단(GLEE)
    • 경희극장
    • 민요연구회(소리얼)
    • (5) 전시·창작분과 = 438
    • 문맥
    • 생활놀이 미술 공동체
    • 한그림
    • 경희대학교 사진연구회(KHPC)
    • 영화연구회(그림자 놀이)
    • 카피울림
    • (6) 종교분과 = 439
    • 한국기독학생연합
    • 경희 가톨릭학생회
    • 경희대학교 CCC
    • CBA(Campus Berea Academy)
    • 다락방
    • SFC(Student for Christ-학생신앙운동)
    • UBF(대학생 성경읽기 선교회)
    • Navigator
    • CAM
    • 증산도 학생회
    • JOY
    • 경불회
    • (7) 체육분과 = 442
    • 검도부
    • 행글라이딩(사랑할 때와 잠잘 때)
    • 민족 도장 백두
    • SAS(STRIKE AND SPARE)
    • 경희 태권도부
    • 산악부
    • 경희 아마추어 야구단(BRAVES)
    • 경희 테니스부(KUTA)
    • 2) 수원캠퍼스 = 443
    • 연행예술분과
    • 전시창작분과
    • 학술분과
    • 사회봉사분과
    • 체육분과
    • 종교분과
    • 취미교양분과
    • 제4장 학생회의 사회참여
    • 1. 진취적 기상과 '경희가족운동' = 446
    • 2. 적극적인 사회참여 = 447
    • 1) 4·19 학생 의거 시기 = 447
    • 불행한 이 땅의 젊은이들
    • 경희대생들의 시위
    • 조영식 총장의 길거리 훈화
    • 교수단 시위
    • 학생혁명 기념탑
    • 2) 6·3 한일 국교정상화 반대운동 시기 = 451
    • 대학생 연합 시위와 휴교령
    • 학생들의 연합성토대회
    • 이수병 동문
    • 학도호국단 부활
    • 3) 군부독재반대 민주화운동시기 = 455
    • 70년대 학생운동의 태동기
    • 80년대 학생운동의 전환기
    • 학생운동의 대중화 모색
    • 총학생회 부활
    • 삼민투 발족
    • 학생운동조직의 갈등
    • 6월 항쟁
    • 전대협 결성
    • 4) 노동·통일 운동 참여 시기 = 461
    • 노학연대와 통일문제
    • 90년대 노동·통일운동
    • 비대중성에 대한 반성
    • 각종 학내문제 개입
    • 한총련 출범
    • 대학발전위원회 구성
    • 제5장 학생복지 활동
    • 1. 장학제도 확립 = 465
    • 첫 장학제도
    • 장학제도 확대
    • 대내 장학금
    • 외국학생을 위한 장학금
    • 대외 장학금
    • 89년 이후 장학생 수
    • 2. 학생복지사업 전개 = 469
    • 학생 복지회관 건립
    • 우정원 건립
    • 원 스톱 시스템
    • 3. 취업정보실의 운영 = 471
    • 취업정보실 출범
    • 취업정보실 확충
    • 취업지도자문위원회 구성
    • 취업정보실의 활동
    • 각종 위원회 운영
    • 진로·취업 관련 도서열람실 운영
    • 취업스쿨 개설
    • 각종 모의 테스트 실시
    • 취업관련 행사
    • 특강 활성화
    • 취업률 제고
    • 제6장 학생 봉사활동
    • 1. 밝은사회운동 참여 = 477
    • 고운말쓰기 운동
    • 경희인의 행동강령
    • 학원정화운동
    • 잘살기 운동과 밝은사회운동 전개
    • 2. 농촌봉사활동 참여 = 479
    • 농어촌 계몽 봉사활동
    • 총학생회 농활
    • 3. 국제교육원 도우미 = 480
    • 경희인이 된 외국학생
    • 도우미 활동
    • 제7장 학·예술문화 활동
    • 1. 학술활동 = 483
    • 대학원 학술활동
    • 서울캠퍼스 연구회
    • 수원캠퍼스 연구회
    • 학술행사
    • 고황논집 간행
    • 2. 예술활동 = 485
    • 1) 문학활동 = 485
    • '문학사관학교'
    • 가장 오래된 고교 문예현상
    • 기성문단의 폭발적 진출
    • 문학회 결성
    • 동인저 간행
    • 필화사건
    • 민족문학의 밤
    • 한국문학의 메카
    • 2) 음악활동 = 492
    • 경희음악 50년
    • 안익태 명예교수 연주
    • 정기 음악발표회
    • 경희칸타타
    • 경희오페라단
    • 음악콩쿠르의 쾌거
    • 3) 미술활동 = 495
    • 4) 무용활동 = 496
    • 5) 연극활동 = 498
    • 연극부의 탄생
    • 경희극장의 활약
    • 경희극예술연구회
    • 기타 연극 활동
    • 민속극과 민족극
    • 3. 언론활동 = 501
    • 1) 대학주보 = 502
    • 2) 대학의 소리 방송국 = 505
    • 3) The University Life = 505
    • 4) 대학원보 = 506
    • 4. 체육활동 = 507
    • 축구부
    • 농구부
    • 야구부
    • 체조부
    • 아이스하키부
    • 배구부
    • 기타 운동부
    • 5. 산악 활동 = 514
    • 자연애호와 호연지기
    • 히말라야 정복
    • 브로드피크 도전
    • 활발한 해외 원정
    • 브로드피크 재도전
    • 제5편 병설학교
    • 제1장 경희유치원
    • 1. 어린이의 터전, 기초를 세우다 = 523
    • 2. 전인교육의 산실 = 524
    • 원훈
    • 교육목표
    • 3. 유치원 확장기 = 526
    • 4. 새 발전의 도약 = 528
    • 교육목표
    • 특색교육
    • 5. 주요 활동 = 531
    • 6. 연혁 = 536
    • 제2장 경희초등학교
    • 1. 발전의 역사 = 539
    • 1) 학교연혁 = 539
    • 2) 학교설립 = 541
    • 3) 기초 수립기 = 541
    • 아동 모집
    • 개교식(입학식)
    • 학교 체제 갖추기
    • 교육과정 운영과 교과지도
    • 본교에 대한 관심의 제고
    • 교표·교기의 제정
    • 4) 교세 확장기 = 543
    • 학급 수와 정원의 증설 증원
    • 교육과정의 운영
    • 시설
    • 5) 우백호(右白虎)의 정기 속에서 = 545
    • 신축 교사로
    • 학교 면모 갖추기 노력
    • 6) 명성 높이다 = 547
    • 완전한 세대 갖추기
    • 경쟁 속으로
    • 교육과정의 충실화
    • 7) 특색 발휘 = 548
    • 중학 입시의 폐지
    • 특색 있는 교육
    • 8) 내용 충실기 = 550
    • 학습지도 충실화
    • 교사 연구 학습
    • 교육 추진에 기여함
    • 9) 도약기 = 551
    • 학습내용(학습대상) 다양화
    • 각종 활동 활성화
    • 교육여건, 시설확충
    • 2. 분야별 발자취 = 554
    • 1) 밝은사회운동 = 554
    • 2) 교육발전 공헌 = 554
    • 3) 교육구조(교과와 특활) = 556
    • 4) 국제친선 상호교류 = 557
    • 5) 자매결연 = 557
    • 3. 교육 목표와 현황 = 558
    • 1) 교육목표 = 558
    • 2) 교훈(어린이 생활지표) = 558
    • 3) 학교장의 경영관 = 558
    • 4) 교육운영 기구 = 559
    • 5) 교육구조 = 560
    • 6) 클럽활동 및 특활 부서 = 560
    • 7) 아동편제 = 560
    • 8) 특색운영 = 561
    • 9) 교지 및 건물 = 562
    • 10) 각종 시설 = 562
    • 11) 주요 기재 = 563
    • 4. 교육 선진화 구축기 = 563
    • 1) 미래지향 교육과정으로 개편 = 563
    • 인성교육 분야
    • 선의의 경쟁력 있는 어린이 육성
    • 본교 10대 과제 특색교육 추진
    • 각종 교육활동 급수제 도입
    • 기초 건강생활
    • 2) 교육여건 개선·확충 = 565
    • (1) 특별교실 확충 = 565
    • (2) 교수 학습 기자재의 첨단화 = 565
    • (3) 교육 환경 개선 = 566
    • 제2장 경희여자중학교
    • 1. 여성교육의 여명기 = 567
    • 2. 여성교육의 요람, 그 일보 = 568
    • 3. 약진 경희를 위한 새로운 초석 = 570
    • 4. 웅비하는 새 경희와 더불어 = 572
    • 5. 학교중흥의 새로운 바람 = 574
    • 6. 2000년대를 내다보며 = 576
    • 7. 21세기를 향한 초석 = 581
    • 8. 새로운 전진을 위하여 = 582
    • 9. 제2의 르네상스를 향한 일보 = 584
    • 10. 제2의 르네상스, 그 빛나는 구현 = 588
    • 11. 연혁 = 594
    • 제4장 경희중학교
    • 1. 경희중학교의 문을 열다 = 599
    • 2. 경희중학의 기쁨 = 600
    • 3. 교육목표 운영방침 = 601
    • 4. 교세확장 = 602
    • 5. 새 학풍 조성 = 603
    • 6. 새 발전의 전기 = 604
    • 7. 교위선양 = 605
    • 8. 경희의 자랑 = 613
    • 1) 민주시민 : 인간성 회복을 위한 도덕교육 = 614
    • 2) 밝은사회운동에 앞장 = 615
    • 3) 교지『경황』발간 = 616
    • 4) 주요 환경개선 사업 = 616
    • 9. 연혁 = 617
    • 제5장 경희여자고등학교
    • 1. 새 보람을 안고 = 624
    • 1) 창설의 배경 = 624
    • 2) 교사(校舍) = 625
    • 2. 발전의 상징 = 626
    • 3. 여성교육의 전당 = 627
    • 1) 기반 조성기 = 628
    • 2) 학력 발양기(發揚期) = 629
    • 3) 교육내실의 성숙기 = 630
    • 4) 새 도약의 전기 = 632
    • 4. 전인교육의 요람 = 635
    • 1) 학력제고 = 635
    • (1) 장학제도의 확장 운영 = 636
    • (2) 각종 컨테스트의 효과적 운용 = 636
    • 2) 덕성교육 제도화 = 636
    • 3) 정서교육 제도화 = 637
    • 5. 밝은사회의 구현 = 640
    • 6. 연혁 = 643
    • 제6장 경희고등학교
    • 1. 종합학원의 여명기 = 646
    • 1) 일관교육의 태동 = 646
    • 2) 굳건한 반석 구축 = 648
    • 3) 경희인의 육성 = 650
    • 2. 웅비하는 경희 = 653
    • 1) 약진을 위한 재정비 = 653
    • 2) 중·고교로 분리 = 654
    • 3) 정상으로 발돋움 = 657
    • 3. 일신우일신 = 659
    • 1) 경희인의 자부심과 자아 발견 = 659
    • 2) 바람직한 민주교육 = 661
    • 4. 약동 경희의 발자취 = 662
    • 학생 자치활동
    • 자매결연
    • 외국어 중점교육
    • 교지 발간
    • 의부자결연과 애정교실 운영
    • 밝은사회운동의 기수들
    • 밝은사회운동 수련과정 개설
    • 교육위원회 지정 실험학교 역할 수행
    • 전국 초등학교 아동 실기대회 개최
    • 동문회 활동
    • 학교 장학금의 운영
    • 5. 새로운 천년을 여는 경희 = 673
    • 1) 전인교육 강조 = 673
    • 2) 실천적인 도덕교육 강화 = 674
    • 6. 교위 선양한 모습들 = 676
    • 1) 음악부 = 676
    • 관현악부
    • 합창부
    • 2) 미술부 = 677
    • 3) 체육부 = 677
    • 축구부
    • 빙상부
    • 아이스하키부
    • 체조부
    • 야구부
    • 연식정구부
    • 사이클부
    • 펜싱부
    • 사격부
    • 기타
    • 7. 연혁 = 682
    • 제7장 경희초급대학
    • 1. 경희초급대학 설립배경과 교육 목적 = 686
    • 설립배경
    • 교육목적
    • 2. 초급대학으로 출발 = 687
    • 개교식
    • 학과편제
    • 교사와 교수진
    • 교기
    • 3. 경희여자초급대학으로 개칭 = 688
    • 윤영춘 학장의 취임과 교육신념
    • 교명변경과 학과편제
    • 제3대학장 주성완 교수 취임
    • 제4대학장 최덕휴 교수 취임과 제5대학장 장진호 교수 취임
    • 4. 실무와 기술위주 여성을 위한 교육내용 = 690
    • 가정과
    • 관광과
    • 보육과
    • 비서과
    • 5. 보람된 학생회 활동 = 692
    • 6. 4년제 대학정원으로 병합 = 693
    • 7. 연혁 = 694
    • 제8장 경희간호대학
    • 1. 간호학교 시절 = 696
    • 인류사회의 반려자
    • 발전의 여러 모습
    • 2. 경희간호전문학교로 개편 = 700
    • 새 학풍조성
    • 실력의 과시
    • 자매결연
    • 밝은사회운동의 역군
    • 3. 간호전문대학으로 승격 = 706
    • 전문성 높이는 대학건설
    • 교육력 증진
    • 개교 20주년 기념행사
    • 4. 간호전문대학 교육의 선봉장 = 713
    • 롱 아일랜드 대학과 학사 편입학 협정 체결
    • 노스 파크 대학과 RMIT대학과의 국제교류
    • 5. 대학 특성화와 한방간호 개발사업 = 718
    • 6. 교수 해외연수와 학술활동 = 719
    • 7. 교육개혁에 따른 변화와 발전 = 720
    • 전문학사 학위수여
    • 보육교사 자격획득
    • 산학협동 기능 강화
    • 8. 개교 30주년 = 722
    • 9. 4년제 통합개편 추진 = 725
    • 10. 우수대학 평가 = 726
    • 11. 교명변경 = 727
    • 12. 간호과학부로 통합인가 = 728
    • 13. 개교 35년의 역사 마감 = 729
    • 14. 연혁 = 730
    • 제9장 경희호텔경영전문대학
    • 1. 한국 최초의 UNDP 호텔학교 태동 = 733
    • 설립추진 배경
    • 설립 승인까지의 추진경위
    • 설립을 둘러싼 정보기관의 내사
    • 설립사업 수정 요구서
    • 2. UNDP경희호텔경영전문학교 탄생 = 740
    • 문교부 설립승인 통보와 학생모집
    • 개교식
    • 설립목적과 창학이념
    • 교육편제와 특색있는 교육내용
    • 국내외 전문직 교수진 확보
    • 학생활동
    • 장족의 발전과 교육의 성과
    • 3. 관광호텔 2급지배인양성 특별과정 개설 = 752
    • 설립취지와 설립경위
    • UNDP추가원조자금 경위
    • 2급지배인양성 특별과정
    • 4. 경희호텔경영전문대학의 학제개편과 발전 과정 = 756
    • 학제 개편 배경
    • 교육목적과 교육목표
    • 초대학장 김병운 교수 취임
    • 제2대 학장 서성한 박사 취임
    • 제3대 학장 김병일 박사 취임
    • 제4대 학장 유공조 박사 취임
    • 5. 4년제 관광대학 승격 = 768
    • 6. 총학생회 조직과 활동 = 770
    • 7. 연혁 = 776
    • 8. 21세기 한국 관광학 이끄는 관광대학으로 웅비 = 777
    • 호텔관광대학으로 명칭 변경
    • 4년제 개편 후 중점교육 및 성과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