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輿地圖書』 ‘姓氏’조의 검토 = A Study on the Item of 'Family Names' in Yeojidoseo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11-644(34쪽)
KCI 피인용횟수
10
제공처
『輿地圖書』의 ‘姓氏’조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며, 그들은 각각 두 가지씩의 세부 유형으로 세분된다. 첫 벤째 유형은 『東國輿地勝覽』과 같은 전통적 읍지의 형식과 내용에 크게 의존하는 유형이다. 그 가운데 『동국여지승람』과 내용과 형식이 완전히 일치하는 유형은 『여지도서』 편찬 당시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보기에 어려운 유형이었다. 기재양식은 비슷하지만 내용만 약간 바뀐 유형의 경우, 부분적으로 편찬 당시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지만, 그 기재대상은 그 지역을 本貫으로 하는 姓氏였다. 두 번째 유형은 『동국여지승람』을 증보하는 형식으로 작성된 읍지이다. 이 유형은 모두 당시 살고 있던 거주민을 기재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그 가운데 성씨만 확인되는 유형보다 본관까지 확인되는 유형이 훨씬 많은 정보를 전해주고 있다. 세 번째 유형은 『동국여지승람』의 형식과 무관하게, 당시 살고 있던 거주민을 기재대상으로 하고 있는 유형이다. 앞의 유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관이 확인되는 유형이 성씨만 소개하고 있는 유형보다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는데, 특히 본래의 本貫을 바꾸는 改貫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지역적으로도 이러한 유형 분포에 커다란 편차를 보인다. 京畿道 · 忠淸道에서는 첫 번째 유형이, 慶尙道에서는 두 번째 유형이, 平安道 · 咸鏡道 · 全羅道에서는 세 번째 유형이 집중적으로 나타나며, 江原道와 黃海道에서는 비교적 고루 분포되어있다. 또한 같은 유형이라도 지역에 따라 그 내용에 있어서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지만, 『여지』의 편찬이 일률적인 기준에 의해 통일적으로 수행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여지』의 편찬은 크게 보아 道를 단위로 일정한 기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원칙이었지만, 그것은 각 道의 사정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었다.
The item of 'family names' were divided into 3 type in Yeojidoseo, and each type was also divided into 2 subordinate types. The first type was usually to rely on the contents and types of Donggukyeojiseungnam. Among them, some were perfectly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s and formations of Donggukyeojiseungnam, but it doesn't seem that they reflected the realities of their days. The type, which had the similar formation of Donggukyeojiseungnam, but slightly modified contents, reflected the circumstances of their times, but the targets of recording was only family names that came from their towns. The second type was to enlarge Donggukyeojiseungnam. The type included all the people who were living in their towns, however the people who were found their family origin were recorded much more detailed than the people who were only found their family names. The final type had a goal to record all the people who were living in their town being absent from the formation of Donggukyeojiseungnam. It was the same as the second type to record the people who were found their family origin were recorded much more detailed than others. At this point, there was the new aspect of changing family origin.
Meanwhile, the distribution of types were very different from provinces. The first type was researched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the second type was researched in Gyeongsangdo, finally in Pyeongando, Hamgyeongdo and Jeonrado, the third type was searched. In Gangwondo and Hwanghaedo, 3 types were equally found. However even it was recorded as the same type, it also had some differences by provinces. This was to reflect the conditions of their towns, also, it shows Yeojidoseo not to be performed by one unified regularly. In spite that Yeojidoseo had a rule to be made by regular standards by each Do(province), the standards were applied to all the Do by variously changing itself to the states of Do.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2-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9-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8 | 1.28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89 | 2.254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