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점토질 논 토양의 심층화가 토지생산성 및 유면건조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e Development of Cracks into Deeper Zone on Productivity and Dryness of the Clayey Paddy Field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농공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권호사항
-
발행연도
1973
작성언어
Korean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059-3088(30쪽)
제공처
The Object of research was laid on the dry paddy field which had a low level of underground water, rather than on a paddy field with a high level of underground water. In the treatment of the clay paddy field before transplanting we employed 3 kinds of methods; deep plowing, development of cracks by drying the surface of the field under which pipe drain was built. This study was to find which one, among these three methods, is the most effective to let roots extend to deep zone and increase the yield of rice and at the same time, for trafficability of large scale machinery which will be introduced to the harvest, in the light of the earth bearing capacity in relation with underground drainage. In the treatments of plots, 1) the kyong plot was plowed 39 days before transplanting and dried, 2) the kyun plot was plowed again 2days before transplanting after plowing 39 days before transplanting, leveling field surface in the saturation with water and developing the cracks by drying, 3) the kyunam plot was plowed again 2 days before transplanting after setting the drainage pipe and at the same time plowing 39 days before transplanting, leveling field surface in the saturation with water and developing the cracks by drying. Also each plot above had three different levels of soil depth, respectively; that is 15cm, 25cm, 35cm. The kyong plot with 15cm-depth was he control.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kyunam plot showed a remarkably lager amount of water consumption by better underground drainage than the kyong and the kyun plot, and the kyong plot indicated a greater amount of water consumption than the kyun plot. Therefore the amount of available rainfall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kyunam>kyong>kyun. The net duty of water decreased in the order of kyunam>kyong>kyun and its showed about 105cm in depth at the kyunam plot, about 70cm in depth at the kyong plot and about 45cm in depth at kyun plot, regardless of soil depth. 2. According to the tendency that the weight of the total root was effected by the maximum depth of the crack, it seemed that the root development was more affected by the depth of the crack than by only the crack itself. The weight of the total roots tended to increase as the depth of the crack got deeper and deeper, and the weight of the total roots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kyun<kyunam<kyong. 3. In the growing of the plant height, the difference did not appear at the beginning of growing(peak period of tillering) of any plot, But for the mid period of growing(ending period of tillering) to the period of young panicle formation, the deeper the depth of plot is, the more the growing goes down. On the contrary at the late period of growing, growth was more vigorous in the plot with deep depth than in the plot with shallow depth. Since the midperiod of growing, in the light of experimental treatment, the kyun plot was not better in growing than the other two plots and no remarkable defference was shown between the kyunam and the kyong plot, but the kyunam plot had the tendency of superiority in growing plant height. 4. As the depth of plot went deeper, the decreasing tendency was shown in the number of tillers through a whole period of growingi. When the above results were observed concering each plot of experimental treatment, the kyun plot was always smaller in the number of tiilers than the kyunam and the kvong plot, and the kyong plot was slightly larger than the kyunam plot in the number of tillers. 5. When each plot of the different experimental treatments was compared with the control plot(15-kyong), yield(weight of grains) was increased by 17% for the 35-kyong plot, by 10% for the 35-kyunam and yields for the other plots were less or nomore than the control plot. On the whole, as the depth of plot went deeper, yields for plots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kyong>kyunam>kyun. 1% of significance between the levels of depths and 5% of significance between the treatm
더보기본연구(本硏究)에서는 연구(硏究)의 대상(對象)을 저습답(低濕畓)에 두기보다는 지하수위(地下水位)가 낮은 점질토(粘質土)의 건답(乾畓)에 두고 이 점질토(粘質土)논에 대(對)한 수잉전(移秧前)의 처리(處理)에 있어서 심경(深耕)을 한 것 답면(畓面)을 건조(乾燥)시켜 구열발달(龜裂發達)을 기(期)하게한 것 및 암거(暗渠)가 설치(設置)된 곳에서의 답면(畓面)을 건조(乾燥)시켜 구열발달(龜裂發達)을 기(期)하게 한 것 중에서 어떤 처리방법(處理方法)을 적용(適用)한 것이 뿌리신장(伸長)이 심층화(深層化)되여 벼의 수량(收量)을 높일 수 있고 동시(同時)에 지하배수기능(地下排水機能)이 제대로 발휘(發揮)되여 수확작업(收穫作業)에 대형기계(大型機械)를 도입(導入)하였을 때 농업기계(農業機械)의 주행성면(走行性面)에서 유리(有利)한가를 발견(發見)코저 한 것이다. 그래서 시험구처리(試驗區處理)에 있어서는 (1)이앙(移秧) 39일전(日前)에 경운(耕耘)하여 풍건(風乾)시킨 것(경운구(區)) (2) 이앙(移秧) 39일전(日前)에 경운(耕耘)하여 물로 포화(飽和)시켜 쓰린후(後) 구열(龜裂)을 발생(發生)시켜 이앙(移秧) 2일전(日前)에 15cm 깊이로 경운(耕耘)한 것(균열구(區)) (3) 이앙(移秧) 39일전(日前)에 암거설치(暗渠設置)와 동시(同時)에 경운(耕耘)하여 물로 포화(飽和)시켜 쓰린후(後) 구열(龜裂)을 발생(發生)시켜 이앙(移秧) 2일전(日前)에 15cm 깊이로 경운(耕耘)한 것(균암구(區))의 3요인(要因)에 15cm. 25cm, 35cm 깊이의 3수준(水準)으로 하고 15cm 깊이 경운구(區)를 Control구(區)로 정(定)하였는데 이에 의(依)하여 얻은 시험결과(試驗結果)는 대략(大略)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될 수 있다. 1. 소비수량(消費數量)은 균암구(區)에 있어서는 경운구(區) 및 균열구(區)보다도 소비수량(消費水量)을 나타냈다. 따라서 유효우량은 균암구(區)에서 가장 크고 경운구(區), 균열구(區)의 순(順)으로 작은값을 나타냈고 순용수량(純用水量)에 있어서는 여전(如前)히 균암구(區), 경운구(區), 균열구(區)의 순(順)으로 작어저 균암구(區)가 가장 큰 양(量)을 나타냈다. 심도(深度)에 불구(不拘)하고 순용수량(純用水量)의 크기는 균암구(區)에서 105cm 내외(內外), 경운구(區)에서 70cm 내외(內外), 균열구(區)에서는 45cm 내외(內外)를 나타냈다. 2. 뿌리중량(重量)이 구열최대심도(龜裂最大深度)에 예민(銳敏)하게 영향(影響)을 받고 있는 경향(傾向)으로 미루어 볼 때 뿌리 발달(發達)은 답면상(畓面上)의 구열(龜裂)에 의(依)하기 보다는 구열심도(龜裂深度)에 더 큰 영향(影響)을 받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깊은구(區)일수록 뿌리중량(重量)은 커지는 경향(傾向)을 가졌고 처리간(處理間)에는 균열구(區), 균암구(區), 경운구(區) 순(順)으로 증대(增大)하는 경향(傾向)을 가졌다. 3. 초장(草丈)의 신장(伸長)에 있어서는 어느구(區)를 막론(莫論)하고 생육초기(生育初期)(분얼최성기(分얼最盛期))에는 별(別)로 차이(差異)를 발견(發見)할 수 없으나 생육중기(生育中期)(분얼종료기(分얼終了期)부터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사이에서는 심도(深度)가 깊은구(區)일수록 그 성장(成長)이 떨어지고 생육후기(生育後期)(수잉기)(穗잉期)에 접어들면서 부터는 도리여 심도(深度)가 깊은구(區)가 얕은구(區)보다 더 왕성(旺盛)한 신장(伸長)을 하였다. 이것은 시험처리별(試驗處理別)로 볼 때 생육중기(生育中期) 이후(以後) 균열구(區)는 어느 다른 구(區)보다 떨어지고 균암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