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國譯) 柏谷集 : 絶句篇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목차
    • 서문 : 苦吟과 一字千鍊. 그리고, 多讀의 시인
    • 일러두기
    • 柏谷集序
    • 柏谷集序(백곡집서) = 37
    • 五言絶句
    • 1 龍湖 : 용호에서 = 43
    • 2 題便面 : 부채에 쓰다 = 43
    • 3 善州 : 선주에서 = 44
    • 4 亂後作 : 난리 뒤에 짓다 = 44
    • 5 途中 : 길 가는 중에 = 45
    • 6 贈崔國輔 : 최국보에게 지어 주다 = 45
    • 7 題肅寧殿壁上 : 숙녕전 벽 위에 써 붙이다 = 46
    • 8 曉發 : 새벽길 나서며 = 46
    • 9 旅館夜吟 : 여관에서 밤에 읊다 = 47
    • 10 雨中吟 : 비 오는 날 읊다 = 47
    • 11~13 詠怪松三首 : 괴이한 소나무 = 48
    • 14 醉中吟 : 취중에 읊다 = 50
    • 15 偶吟 : 우연히 읊다 = 50
    • 16 題妓家壁 : 기녀 집 벽에 쓰다 = 51
    • 17~28 塞下曲十二首 : 변방의 노래 = 52
    • 29 醉默堂偶吟 : 취묵당에서 우연히 읊다 = 58
    • 30~31 無題二首 : 제목 없이 짓다 = 59
    • 32 夜吟 : 밤새 읊다 = 60
    • 33 偶吟 : 우연히 읊다 = 60
    • 34 途中吟 : 도중에 읊조리다 = 61
    • 35 觀燈日 : 관등절 = 61
    • 36 蜜巖洞 : 밀암동 = 62
    • 37~42 題村壁六首 : 시골 벽에 쓰다 = 63
    • 43~44 走筆二首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66
    • 45~47 無題三首 : 제목 없이 짓다 = 67
    • 48~49 向山寺二首 : 산사를 향해 = 69
    • 50 客中逢九日 : 객지에서 중구일을 만나 = 70
    • 51~60 伏次先君枕流亭十詠詩韻十首 : 삼가 선군의 침류정 십영시에 차운하다 = 71
    • 61 贈明娥 : 기녀 명아에게 주다 = 76
    • 62 馬上吟北窓絶句次其韻 : 말위에서 북창의 절구시를 읊고 차운하다 = 76
    • 63 讀弘慶碑次白玉峯韻 : 홍경비를 읽고서 백옥봉의 시에 차운하다 = 77
    • 64 題李樂全便面 : 이낙전의 부채에 쓰다 = 78
    • 65 贈上人 : 스님에게 주다 = 79
    • 66~67 中學直中 次朴仲久韻却寄二首 : 중학에서 당직 중에 박중구의 시에 차운하여 곧 부치다 = 80
    • 68~70 偶吟三首 : 우연히 읊다 = 82
    • 71~78 詠畵八首 : 그림을 보고 읊다 = 84
    • 79 詠畵雁 : 기러기 그림 보고 읊다 = 88
    • 80~81 詠白鷺二首 : 백로 = 89
    • 82 見宿雁詠 : 자는 기러기를 보고 읊다 = 90
    • 83 詠冬雨 : 겨울비 = 90
    • 84 詠花 : 꽃을 보고 읊다 = 91
    • 85 竹樓走筆 : 죽루에서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91
    • 86 旅館曉吟 : 여관에서 새벽에 읊다 = 92
    • 87 偶吟 : 우연히 읊다 = 92
    • 88~89 次韻二首 : 차운하다 = 93
    • 90 伏次先君韻 : 삼가 선군의 시운을 차하다 = 94
    • 91 贈惠正 : 혜정에게 주다 = 94
    • 92 途中吟 : 길 가다 읊다 = 95
    • 93 贈正上人 : 정 스님에게 주다 = 95
    • 94 次永平白雲上人海淑詩軸韻 : 영평사 백운상인 해숙의 시축에 차운하다 = 96
    • 95 象王寺贈友人 : 상왕사에서 벗에게 주다 = 97
    • 96 謝贈扇 : 부채 선물에 감사하며 = 97
    • 97 峽中吟 : 산골에서 읊다 = 98
    • 98~99 贈睦順之二首 : 목순지에게 주다 = 99
    • 100 用前韻 : 앞의 운을 쓰다 = 100
    • 101~103 龜亭三首 : 구정에서 = 101
    • 104 讀罷偶吟 : 글 읽기를 마치고 우연히 읊다 = 103
    • 105 題畵梅月扇 : 매화와 달을 그린 부채에 쓰다 = 103
    • 106 偶吟 : 우연히 읊다 = 104
    • 107 將向山東 : 장차 산동으로 향하며 = 104
    • 108~109 自槐峽出來再從弟子卿家二首 : 괴협에서 재종제 자경의 집으로 오다 = 105
    • 110~113 走筆四首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106
    • 114~116 瀑布三首 : 폭포 = 108
    • 117~118 走筆三首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110
    • 119~122 偶吟示李泰來四首 : 우연히 읊어 이태래에게 보이다 = 111
    • 123 題載仲扇 : 재중의 부채에 쓰다 = 113
    • 124~133 白石江亭十詠十首 : 백석강정 십영 = 114
    • 134~135 林友可材贈蓴 以詩謝之二首 : 벗 임가재가 순채를 보내왔기에 시를 지어 사례하다 = 109
    • 136 龜潭 : 구담 = 120
    • 137~140 憶久堂四首 : 구당을 그리며 = 121
    • 141~145 走筆五首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123
    • 146~147 偶題二首 : 우연히 쓰다 = 126
    • 148~150 送金邦瑞三首 : 김방서를 전송하며 =127
    • 151~159 次權瓮津韻九首 : 권옹진의 시운을 차하다 = 129
    • 160 題壁上 : 벽 위에 쓰다 = 134
    • 161 侍人 : 기다림 = 134
    • 162 偶吟 : 우연히 읊다 = 135
    • 163~166 偶吟四首 : 우연히 읊다 = 136
    • 167 聞金震標訃 : 김진표 부음을 듣고서 = 138
    • 168 舟行 : 배타고 가다 = 138
    • 169 朝吟 : 아침에 읊다 = 139
    • 170 走筆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139
    • 171~173 又次三首 : 또 차운하다 = 140
    • 174 送尹之翊于金剛山 : 금강산에 가는 윤지익을 보내며 = 142
    • 175~181 次唐音韻七首 : 당시의 운을 차하다 = 143
    • 182 贈槐州太守閔汝鎭 : 괴주태수 민여진에게 주다 = 147
    • 183 次洪學士贈示韻 : 홍학사가 보여준 시에 차운하다 = 148
    • 184 中酒偶吟 : 술에 취해 우연히 읊다 = 148
    • 185 絶句 : 절구 = 149
    • 186 題善餘便面 : 선여의 부채에 쓰다 = 149
    • 187~188 曉吟二首 : 새벽에 읊다 = 150
    • 189 贈別朴仲久 : 박중구에게 헤어지며 주다 = 151
    • 190~191 曉起二首 : 새벽에 일어나 = 152
    • 192 過廣陵 : 광릉을 찾아 = 153
    • 193~195 卽事三首 : 그대로 읊다 = 154
    • 196 走筆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156
    • 197 出京日作 : 서울을 나서는 날에 짓다 = 156
    • 198~199 自正法還歸時馬上吟二首 : 정법사에서 돌아올 때 말위에서 읊다 = 157
    • 200 題扇 : 부채에 쓰다 = 158
    • 201 題崔晉士景獻扇 : 진사 최경헌의 부채에 쓰다 = 158
    • 202 題寺壁 : 절간 벽에 쓰다 = 159
    • 203 走筆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159
    • 204~211 題八疊畵屛八首 : 팔첩화병에 쓰다 = 160
    • 212 失旌善作 : 정선으로 부임하지 못하고 짓다 = 164
    • 213 憶黃道原 : 황도원를 그리며 = 164
    • 214 次韻 : 차운하다 = 165
    • 215 中酒偶吟 : 술에 취해 우연히 읊다 = 165
    • 216 向頭陀馬上有得 : 두타로 향하는 말위에서 시구를 얻다 = 166
    • 217~218 偶吟二首 : 우연히 읊다 = 167
    • 219 重陽 : 중양절 = 168
    • 220~222 次韻三首 : 차운하다 169
    • 223~224 讀罷走筆二首 : 책을 다 읽고 붓을 달리다 = 171
    • 225 春秋館褒貶進去時忽有神助 : 춘추관에서 포폄하러 갔을 때 홀연 신의 도움이 있어 = 172
    • 226 讀罷偶吟 : 읽기를 마치고 우연히 읊다 = 172
    • 227~228 走筆二首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173
    • 229 田家 : 시골집 = 174
    • 230 棧道騎驢 : 나귀타고 잔도를 가면서 = 174
    • 231 江城曉角 : 강성 새벽 뿔피리 소리 = 175
    • 232 前郊 : 앞 들녘 = 175
    • 233 山寺暮鍾 : 산사의 저녁 종소리 = 176
    • 234 茅島歸帆 : 모도의 돌아가는 돛배 = 176
    • 235 竹里孤煙 : 죽리의 외론 연기 = 177
    • 236 次 : 차운하다 = 177
    • 237 題文義守便面 : 문의태수 부채에 쓰다 = 178
    • 238 贈許秀才 : 허수재에게 주다 = 178
    • 239 走筆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179
    • 240~241 詠薯여二首 : 마를 읊다 = 180
    • 242 次左樓子韻 : 좌루자 시운을 차하다 = 181
    • 243~250 南仲遵草堂八詠八首 : 남중준의 초당 팔영 = 182
    • 251~262 安興鎭十二峯詩十二首 : 안흥진의 십이봉시 = 186
    • 263~264 題穀杖二首 : 곡장에 쓰다 = 192
    • 265~266 走筆二首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193
    • 267 到友人家 詠鏡 : 친구 집에 이르러 거울을 읊다 = 194
    • 268~270 憶黃道原三首 : 황도원을 그리며 = 195
    • 271~272 次二首 : 차운하다 = 197
    • 273 走筆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198
    • 274 次李進士韻 : 이 진사의 시운을 차하다 = 198
    • 275 次睦達夫韻 : 목달부의 시운을 차하다 = 199
    • 276 送南宮汝相之慈仁縣 : 자인현으로 가는 남궁여상을 보내며 = 199
    • 277 歡城板上韻 : 환성판상운 = 200
    • 六言
    • 1~5 六言五首 육언시 = 203
    • 6 詠崔國輔兄弟塚 : 최국보 형제의 무덤에서 읊다 = 206
    • 7 喜雨 : 반가운 비 = 206
    • 七言絶句
    • 1 謝恩日偶吟 : 사은하던 날 우연히 읊다 = 209
    • 2 平陵驛 : 평릉역 = 209
    • 3 題朴魯叔便面 : 박로숙의 부채에 쓰다 = 210
    • 4 題李養正便面 : 이양정의 부채에 쓰다 = 210
    • 5 棲息 : 숨어 살다 = 211
    • 6 次韻 : 차운하다 = 211
    • 7 暮春 : 늦봄에 = 212
    • 8 次漢江 : 한강 시에 차운하다 = 212
    • 9 龍湖移居 : 용호에 옮겨 살며 = 213
    • 10 驪江 : 여강 = 213
    • 11 入金剛時偶吟 : 금강산에 들어갈 때 우연히 읊다 = 214
    • 12 寒碧樓別睦達夫 : 한벽루에서 목달부와 작별하며 = 214
    • 13 贈主人 : 주인에게 주다 = 215
    • 14 到淸風憶睦弟達夫 : 청풍에 이르러 목달부를 그리며 = 215
    • 15~16 丹陽道中二首 : 단양으로 가는 도중에 = 216
    • 17~18 龜潭二首 : 구담 = 217
    • 19 鶴棲庵 : 학서암 = 218
    • 20 過鏡浦 : 경포를 지나며 = 218
    • 21~22 頭陀寺二首 : 두타사 = 219
    • 23 鏡湖堂 次懸板韻 : 경호당 현판 시에 차운하다 = 220
    • 24~26 次三首 : 차운하다 = 221
    • 27~29 贈黃磵朴秀才三首 : 황간 박수재에게 주다 = 223
    • 30~31 凌波臺二首 : 능파대 = 225
    • 32 夜吟 : 밤에 읊다 = 226
    • 33 餘糧驛 : 여량역 = 226
    • 34 題扇 : 부채에 쓰다 = 227
    • 35 次韻 : 차운하다 = 227
    • 36 贈金剛山上人 : 금강산 스님에게 주다 = 228
    • 37 未赴洪州偶吟 : 홍주에 부임하지 못하고 우연히 읊다 = 228
    • 38 贈沈休文 : 심휴문에게 주다 = 229
    • 39~40 贈崔國輔二首 : 최국보에게 주다 = 230
    • 41 行役 : 고된 여행 길 = 231
    • 42 寄權士直 : 권사직에게 부치다 = 232
    • 43 寄洪元九 : 홍원구에게 부치다 = 233
    • 44 贈趙季友 : 조계우에게 주다 = 233
    • 45 用進退格 : 진퇴격으로 짓다 = 234
    • 46~50 丙子避亂初作五首 : 병자년 피란 때 처음 짓다 = 235
    • 51 寄朴仲久 : 박중구에게 부치다 = 238
    • 52 訪友人 : 벗을 방문하다 = 238
    • 53~54 次義初軸中韻二首 : 의초 시축에서 차운하다 = 239
    • 55 用前韻 : 앞의 시운을 써서 = 240
    • 56 聞李慶先失寵姬戱吟 : 이경선이 총희를 여의었다는 말을 듣고 장난삼아 짓다 = 240
    • 57~58 走筆贈安陰太守二首 : 붓을 달려 안음태수에게 주다 = 241
    • 59 寄永同使君 : 영동사군에게 부치다 = 242
    • 60~64 無題五首 : 제목 없이 짓다 = 243
    • 65 自驪江向木岳 : 여강에서 목악으로 가다가 = 246
    • 66 登超然臺 : 초연대에 올라 = 246
    • 67 次韻 : 차운하다 = 247
    • 68 荊江 : 형강 = 247
    • 69~70 贈具策上人二首 : 구책상인에게 주다 = 248
    • 71 題石刹壁上 : 석찰 벽 위에 쓰다 = 249
    • 72~73 次鄭東溟韻二首 : 정동명의 시에 차운하다 = 250
    • 74 淸心樓 : 청심루 = 251
    • 75~80 塞下曲六首 : 변방의 노래 = 252
    • 81~83 宮怨三首 : 궁녀의 원망 = 255
    • 84 聞金濯纓墓立碣石作 : 김탁영의 묘정에 갈석을 세웠다는 말을 듣고 = 257
    • 85 贈閔秀才 : 민수재에게 주다 = 257
    • 86~87 偶吟二首 : 우연히 읊다 = 258
    • 88 仲秋寄成生員 : 중추에 성 생원에게 부치다 = 259
    • 89~90 客中吟二首 : 객지에서 읊다 = 260
    • 91 見朴正言書偶吟 : 정언 박장원의 편지를 보고 우연히 읊다 = 261
    • 92 洛中作 : 서울에서 짓다 = 261
    • 93 過戰場 : 전쟁터를 지나며 = 262
    • 94 偶吟 : 우연히 읊다 = 262
    • 95~96 次靑螺山人韻二首 : 청라산인의 시에 차운하다 = 263
    • 97 別淸牧沈文伯 : 청주목사 심문백을 전별하며 = 264
    • 98 題紙鳶 : 종이 연에 쓰다 = 264
    • 99~102 贈明娥四首 : 명아에게 주다 = 265
    • 103 贈望娥 : 기녀 망아에게 주다 = 267
    • 104~105 漢江二首 : 한강 = 268
    • 106 渡漢江 : 한강를 건너며 = 269
    • 107~108 贈友人二首 : 벗에게 주다 = 270
    • 109~110 白馬江懷古二首 : 백마강 회고 = 271
    • 111 走筆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272
    • 112 梅鶴亭古基 : 매학정 옛터 = 272
    • 113 贈輝上人 : 휘상인에게 주다 = 273
    • 114 渡荊江 : 형강을 건너며 = 273
    • 115~116 贈洪元九二首 : 홍원구에게 주다 = 274
    • 117 詠松 : 소나무 = 275
    • 118~119 題石二首 : 바위에 쓰다 = 276
    • 120 送人 : 벗을 보내며 = 277
    • 121 寄友人朴都憲 : 박도헌에게 부치다 = 277
    • 122 偶吟 : 우연히 읊다 = 278
    • 123 渡江 : 강을 건너며 = 279
    • 124 亂後作 : 난리 뒤에 짓다 = 280
    • 125 亂後入京 : 난리 뒤에 서울에 들어가 = 280
    • 126 次白馬懷古韻送人 : 백마 회고시에 차운하여 어떤 이를 전송하다 = 281
    • 127 贈眞一上人 : 진일상인에게 주다 = 281
    • 128~129 石花村 因便寄洪元九二首 : 석화촌에 인편이 있어 홍원구에게 부치다 = 282
    • 130~131 走筆二首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283
    • 132 題海上寺 : 해상사에서 쓰다 = 284
    • 133 存沒 : 존몰 = 284
    • 134 淸心樓 : 청심루에서 = 285
    • 135 松都 : 송도에서 = 285
    • 136 馬上吟 : 말 위에서 읊다 = 286
    • 137 偶題 : 우연히 쓰다 = 286
    • 138 因權生行寄許子悠 : 권생이 가는 길에 허자유에게 부치다 = 287
    • 139~140 題壺二首 : 술병에 쓰다 = 288
    • 141 題畵扇 : 부채에 쓰다 = 289
    • 142 爲金玄瑞題畵梅障子 : 김현서를 위해 매화 족자에 쓰다 = 290
    • 143~144 寄贈二首 : 부쳐 보내다 = 291
    • 145 黃道原贈沙杯詩以謝之 : 황도원이 사배를 줌에 시를 지어 사례하다 = 292
    • 146 謝友人贈劍 : 벗이 칼을 준 것에 감사하며 = 292
    • 147~148 過錦江憶車五山二首 : 금강을 지나다 차오산을 생각하며 = 293
    • 149 題村壁 : 촌벽에 쓰다 = 294
    • 150 贈妓 : 기녀에게 주다 = 294
    • 151 題古文抄冊 : 고문을 베낀 책에다 쓰다 = 295
    • 152 題伯夷傳 : 백이전에 쓰다 = 295
    • 153 送人之扶餘 : 부여로 가는 이를 보내며 = 296
    • 154 贈妓羅生 : 기녀 나생에게 주다 = 297
    • 155 馬上吟 : 말 위에서 읊다 = 298
    • 156 偶吟 : 우연히 읊다 = 298
    • 157~159 走筆三首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299
    • 160 走筆題牙山村壁 : 붓을 달려 아산 촌벽에 쓰다 = 301
    • 161 走筆贈人 : 붓을 달려 어떤 이에게 주다 = 301
    • 162~163 送淮陽使馬二首 : 회양사마를 보내며 = 302
    • 164 王大妃春帖字 : 왕대비 춘첩 글씨 = 303
    • 165 王大妃延祥詩 : 왕대비 연상시 = 303
    • 166 沈大家從妹挽詞 : 심대가 종매의 만사 = 304
    • 167~168 淸道郡守尹正甫挽詞二首 : 청도군수 윤정보 만사 = 305
    • 169~174 만吟六首 : 내키는 대로 읊다 = 306
    • 175~177 偶吟三首 : 우연히 읊다 = 309
    • 178 詠南山白岳 : 남산과 백악을 읊다 = 311
    • 179 逢僧偶吟 : 스님을 만나 우연히 읊다 = 311
    • 180~181 逢故鄕僧二首 : 고향 스님을 만나 = 312
    • 182 題僧壁 : 승방 벽에 쓰다 = 313
    • 183 贈僧 : 스님에게 주다 = 313
    • 184~185 次報恩寺僧法心詩軸韻二首 : 보은사 법심스님의 시축에 차운하다 = 314
    • 186~187 寄靑龍山上人敬天二首 : 청룡산 상인 경천에게 부치다 = 315
    • 188 贈碧岩大師 : 벽암대사에게 주다 = 316
    • 189 贈五臺山僧 : 오대산 스님에게 주다 = 316
    • 190 憶摩歌衍庵 : 마가연 암자를 생각하며 = 317
    • 191~193 贈法藏上人三首 : 법장상인에게 주다 = 318
    • 194~195 題僧壁二首 : 승방 벽에 쓰다 = 320
    • 196 贈玄哲上人 : 현철상인에게 주다 = 321
    • 197 贈處林上人 : 처림상인에게 주다 = 321
    • 198 次廣陵 : 광릉에 이르러 = 322
    • 199 贈歌姬 : 가희에게 주다 = 322
    • 200 題李善餘草堂 : 이선여 초당에 쓰다 = 323
    • 201 有人自關東來訪 題便面以贈 : 관동에서 찾아온 이의 부채에 써 주다 = 323
    • 202 壬午戱吟 : 임오년에 장난삼아 읊다 = 324
    • 203~204 漢江二首 : 한강 = 325
    • 205 渡江 : 강을 건너며 = 326
    • 206 走筆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326
    • 207 贈人 : 어떤 사람에게 주다 = 327
    • 208 過亡友舊宅 : 죽은 친구 집을 지나며 = 327
    • 209 題板橋金汝淑草堂 : 판교 김여숙 초당에 쓰다 = 328
    • 210 送人 : 어떤 이를 전송하며 = 328
    • 211 贈中國錢塘人鄭聖瑞 : 중국 전당 사람 정성서에게 주다 = 329
    • 212 別趙季友 : 조계우를 전별하며 = 329
    • 213 泊舟楮子島 : 저자도에 배를 대고 = 330
    • 214 牙州 見濟州商船偶吟 : 아주에서 제주 상선을 보고 우연히 읊다 = 330
    • 215 詠瀑布 : 폭포 = 331
    • 216 馬上吟 : 말 위에서 읊다 = 331
    • 217~218 示仲久二首 : 중구에게 보이다 = 332
    • 219 端陽 : 단오 = 333
    • 220 仲久謫去後 到其家見菊因詠 : 중구가 귀양 간 뒤 그의 집에 핀 국화를 보고 읊다 = 333
    • 221 到隣家詠梅 : 이웃집 매화를 읊다 = 334
    • 222 想南山瀑布 : 남산 폭포를 생각하며 = 334
    • 223~224 寄驪江客朴魯叔二首 : 여강 나그네 박로숙에게 부치다 = 335
    • 225~226 贈宜寧太守二首 : 의령태수에게 주다 = 336
    • 227 詠尹泰昇梅 : 윤태승의 매화를 읊다 = 337
    • 228 寄友人 : 벗에게 부치다 = 337
    • 229~230 送安陰使君李處恒二首 : 안음사군 이처항을 전송하며 = 338
    • 231 離岳 : 속리산 = 339
    • 232 偶吟 : 우연히 읊다 = 339
    • 233 走筆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340
    • 234 送人 : 어떤 이를 보내며 = 340
    • 235 題尹汝秀便面 : 윤여수의 부채에 쓰다 = 341
    • 236 訪汝秀 : 윤여수를 찾아가 = 341
    • 237 以雨不往파串 : 비 때문에 파천에 가지 못하고 = 342
    • 238 馬上次李子文韻 : 말 위에서 이자문의 시에 차운하다 = 342
    • 239~240 偶吟二首 : 우연히 읊다 = 343
    • 241 送人 : 어떤 이를 보내며 = 344
    • 242 送別 : 송별 = 344
    • 243 次天安蓮亭板上韻 : 천안 연정 판상의 시에 차운하다 = 345
    • 244 龜亭聞笛 : 구정에서 피리소리를 듣고 = 345
    • 245 贈桂娥 : 계아에게 주다 = 346
    • 246 孤雲亭聞笛 : 고운정에서 젓대소리 듣다 = 346
    • 247 贈金汝九 : 김여구에게 주다 = 347
    • 248 爲水曹郎偶吟 : 수조랑이 되어 우연히 읊다 = 347
    • 249 말馬時吟 : 말 먹일 때에 읊다 = 348
    • 250 自山東還槐峽 : 산동에서 괴협으로 돌아와 = 348
    • 251 醉崔可晦酒 : 최가회의 술에 취해 = 349
    • 252~254 走筆三首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350
    • 255 偶吟贈人 : 우연히 읊어 어떤 이에게 주다 = 352
    • 256 偶題 : 우연히 쓰다 = 352
    • 257~258 送人湖南二首 : 호남으로 가는 이를 전송하며 = 353
    • 259 次久堂詩 : 구당의 시에 차운하다 = 354
    • 260~261 贈松都留守朴久堂二首 : 송도유수 박구당에게 주다 = 355
    • 262~263 次喜雨堂韻二首 : 희우당 시에 차운하다 = 356
    • 264 燈下走筆 : 등불 아래서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357
    • 265~266 寄仲久二首 : 중구에게 부치다 = 358
    • 267 偶題 : 우연히 쓰다 = 359
    • 268 贈松都老妓錦生 : 송도의 늙은 기녀 금생에게 주다 = 359
    • 269 題圃隱先生碑 : 포은 선생 비에 쓰다 = 360
    • 270~272 偶吟 示李泰來三首 : 우연히 읊어 이태래에게 보이다 = 361
    • 273~274 題生昌館二首 : 생창관에 쓰다 = 363
    • 275 曉吟 : 새벽에 읊다 = 364
    • 276 到永平白鷺洲 : 영평의 백로주에 이르러 = 364
    • 277 偶吟 : 우연히 읊다 = 365
    • 278 次太守閔而靜韻 : 태수 민이정의 시에 차운하다 = 366
    • 279 寄扶餘太守乞酒 : 부여태수에게 술 달라고 부친 시 = 367
    • 280 次皐蘭寺板上韻 : 고란사 현판 시에 차운하다 = 367
    • 281~282 贈權士進二首 : 권사진에게 주다 = 368
    • 283 次權士進韻 : 권사진의 시에 차운하다 = 369
    • 284 贈別 : 작별하며 지어 주다 = 369
    • 285 次韻 : 차운하다 = 370
    • 286 題扇 : 부채에 쓰다 = 370
    • 287 得晩翁書 偶吟 : 만옹의 서찰을 받고 우연히 읊다 = 371
    • 288 還醉默堂 : 취묵당에 돌아와 = 371
    • 289 江口別太守 : 강어귀에서 태수와 이별하며 = 372
    • 290~291 詠盆菊二首 : 화분에 심은 국화 = 373
    • 292~293 寄延豊太守郭世翼二首 : 연풍태수 곽세익에게 부치다 = 374
    • 294 讀罷偶吟 : 글 읽기를 마치고 우연히 읊다 = 375
    • 295 次朴生韻 : 박생의 시에 차운하다 = 375
    • 296 寄朴仲久 : 박중구에게 부치다 = 376
    • 297~298 題驛壁二首 : 역사의 벽에 쓰다 = 377
    • 299~300 次人遊金剛韻二首 : 금강산을 유람하고 온 사람의 시에 차운하다 = 378
    • 301 梁山太守李德培求詩 故贈之 : 양산태수 이덕배가 시를 요구하기에 지어 주다 = 379
    • 302 又 : 또한수 = 379
    • 303 謝朴四宰贈沙杯 : 박사재가 사배를 준 것에 감사하며 = 380
    • 304 次人 : 어떤 사람의 시에 차운하다 = 380
    • 305~306 送子文二首 : 자문을 전송하며 = 381
    • 307~309 偶吟三首 : 우연히 읊다 = 382
    • 310~311 走筆二首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384
    • 312~315 七月二十一日擧動時作四首 : 칠월 스무하룻날 거둥 때에 짓다 = 385
    • 316 偶題 : 우연히 읊다 = 387
    • 317~318 次韻二首 : 차운하다 = 388
    • 319 韓察訪換詞 : 한 찰방 만사 = 389
    • 320 贈丁少年 : 정 소년에게 주다 = 389
    • 321 偶吟 : 우연히 읊다 = 390
    • 322 至月十五日曉 見忠牧李箕徵書 : 동짓달 보름 새벽에 충주목사 이기징의 서찰을 보고 = 390
    • 323~325 次韻三首 : 차운하다 = 391
    • 326~327 贈人二首 : 어떤 이에게 써 주다 = 393
    • 328 次韻 : 차운하다 = 394
    • 329 偶吟 : 우연히 읊다 = 394
    • 330 訪林友 : 친구 임가재를 찾아가면서 = 395
    • 331 寄李同知 : 이동지에게 부치다 = 396
    • 332 過歌姬所居村 : 가희가 살던 마을을 지나며 = 397
    • 333 見鄭弘慶碑後題千年有流水落日見歸雲之句 偶吟 : 정홍경의 비 뒷면에 '千年有流水 落日見歸雲'의 구절을 보고 우연히 읊다 = 397
    • 334 次韻 : 차운하다 = 398
    • 335 題安保溫泉館壁 : 수안보 온천 여관 벽에 쓰다 = 398
    • 336 護喪曉行 : 호상 보러 새벽길 나서며 = 399
    • 337 次體素韻 : 체소의 시에 차운하다 = 399
    • 338~341 聽孫兒可訓賞瀑來說其狀四首 : 손자 가훈이 폭포를 보고 와서 하는 이야기를 듣고 = 400
    • 342~343 錦溪所得二首 : 금강에서 짓다 = 402
    • 344 題太古亭 : 태고정에 써 붙이다 = 403
    • 345 送別 : 송별 = 403
    • 346 贈妓仁香 : 기녀 인향에게 써 주다 = 404
    • 347 登樓 : 누대에 올라 = 404
    • 348 龍湖過亡友宅 : 용호에 있는 죽은 친구 집에 들렀다가 = 405
    • 349 次韻 : 차운하다 = 405
    • 350 題館壁 : 관청 벽에 써 붙이다 = 406
    • 351 將作舟行 : 뱃길로 떠나려 = 406
    • 352 思歸 : 돌아가고파 = 407
    • 353 走筆 : 급히 붓를 들어 쓰다 = 407
    • 354 寄人 : 어떤 이에게 지어 부치다 = 408
    • 355~356 登後雲亭 視洪元九二首 : 후운정에 올라 홍원구를 보고 = 409
    • 357~358 偶吟二首 : 우연히 읊다 = 410
    • 359 贈平康太守金元瑞 : 평강태수 김원서에게 써 주다 = 411
    • 360 初秋 : 초가을 = 411
    • 361 送尹子昇 : 윤자승을 보내며 = 412
    • 362 贈人歸桃花洞 : 도화동에 돌아가는 이에게 써 주다 = 412
    • 363 贈卓靈上人 : 탁령상인에게 써 주다 = 413
    • 364 與洪元九馬上聯句 : 홍원구와 함께 말 위에서 연구를 짓다 = 414
    • 365 金軍威家壁上 見澤堂詩 感而次韻 : 김군위 집 벽 위에 택당의 시를 보고 감회가 있어 차운하다 = 415
    • 366 觀兩兒爭墮地桃實 戱吟 : 두 아이가 땅에 떨어진 복숭아를 다투기에 장난삼아 읊조리다 = 415
    • 367 詠櫻桃 : 앵도를 읊다 = 416
    • 368 八月十五夜 : 팔월 대보름 밤에 = 416
    • 369 題扇 : 부채에 쓰다 = 417
    • 370 次寒碧樓洪子晦韻 : 한벽루의 홍자회 시에 차운하다 = 418
    • 371 贈人 : 어떤 이에게 주다 = 419
    • 372 寄李樂全 : 이낙전에게 부치다 = 419
    • 373 次韻 寄靈光太守 : 차운해서 영광태수에게 써 부치다 = 420
    • 374 次達夫韻 : 목달부의 시에 차운하다 = 421
    • 375 贈申進士 : 신 진사에게 써 주다 = 422
    • 376 次仲久韻 : 중구의 시에 차운하다 = 423
    • 377~378 題壁上二首 : 벽 위에 써 붙이다 = 424
    • 379 次盧士章寄達夫韻 : 노사장이 달부에게 부친 시에 차운하다 = 425
    • 380 次金長卿 寄睦達夫韻 : 김장경이 목달부에게 부친 시에 차운하다 = 426
    • 381 次晦叔 : 회숙의 시에 차운하다 = 427
    • 382 無題 : 제목 없이 짓다 = 428
    • 383 次仲久 : 중구의 시에 차운하다 = 428
    • 384~385 走筆二首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429
    • 386 次黃君擧寄贈韻 : 황군거가 기증한 시에 차운하다 = 430
    • 387~388 到新安驛二首 : 신안역에 도착하여 = 431
    • 389~390 有作二首 : 지어봤다 = 432
    • 391 寄成某 : 성 아무개에게 부치다 = 433
    • 392~393 失題二首 : 제목을 잃다 = 434
    • 394 醉中走筆 : 술김에 붓을 달리다 = 435
    • 395~396 憶西岳僧碩賢道淸兩上人二首 : 서악승 석현과 도청상인을 기억하며 = 436
    • 397 次 : 차운하다 = 437
    • 398 寄崔可晦 : 최가회에게 지어 부치다 = 437
    • 399~400 送李秀才二首 : 이수재를 떠나보내며 = 438
    • 401 送申進士金剛之行 : 신 진사의 금강산 행차를 전송하며 = 439
    • 402 龍山途中 : 용산 가는 길에 = 439
    • 403 送蔡進士禹瑞歸豊基 : 풍기로 돌아가는 채우서 진사를 전송하며 = 440
    • 404 走筆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441
    • 405~406 次二首 : 차운하다 = 442
    • 407~408 寄謫客二首 : 귀양 간 친구에게 부치다 = 443
    • 409~410 送禮判久堂于長湍二首 : 장단으로 가는 예조판서 박구당을 전송하며 = 444
    • 411 曉起 : 새벽에 일어나 = 445
    • 412 謝韓君贈七言小詩 : 한군이 칠언 소시를 지어 준 것에 감사하며 = 445
    • 413 訪友人 : 벗을 찾아가 = 446
    • 414 憶亡友崔國輔 : 죽은 벗 최국보를 그리며 = 446
    • 415 發行 : 길을 나서며 = 447
    • 416 寄尹友 : 친구 윤 아무개에게 부치다 = 447
    • 417~418 題旅窓二首 : 객창에 쓰다 = 448
    • 419 投險川店 : 험천 객점에 묵으며 = 449
    • 420 延祥詩 : 연상시 = 449
    • 421 偶吟 : 우연히 읊다 = 450
    • 422 仙遊洞 : 선유동에서 = 450
    • 423~424 無題二首 : 제목 없이 짓다 = 451
    • 425 贈人 : 어떤 이에게 지어 주다 = 452
    • 426~427 次鶴村韻 呈槐山城主 兼示鶴翁二首 : 학촌의 시에 차운하여 괴산성주에게 주고 학옹에게도 보이다 = 453
    • 428 謝長水寺僧贈芒鞋 : 장수사 스님이 짚신을 준 것에 감사하며 = 454
    • 429 贈齡弟 : 아우 령에게 지어 주다 = 454
    • 430~431 次久堂韻二首 : 구당의 시에 차운하다 = 455
    • 432 幷崔可晦聯句贈法藏上人 : 최가회와 연구를 지어 법장상인에게 주다 = 456
    • 433 次崔煥韻 : 최환의 시운을 차하다 = 457
    • 434 贈延豊守朴文道 : 연풍태수 박문도에게 지어주다 = 457
    • 435 贈大興趙顯錫 : 대흥 조현석에게 지어 주다 = 458
    • 436 次靑螺山人韻 : 청라산인의 시운을 차하다 = 458
    • 437 走筆醉默堂 : 취묵당에서 붓을 달리다 = 459
    • 438 松都懷古次韻 : 송도에서 회고하며 차운하다 = 459
    • 439 次太守閔而靜韻 : 태수 민이정의 시운을 차하다 = 460
    • 440 贈權士進 : 권사진에게 지어 주다 = 461
    • 441 贈鄭秀才만 : 수재 정만에게 지어 주다 = 461
    • 442~443 見仲久詩偶吟二首 : 중구의 시를 보고 우연히 읊다 = 462
    • 444~445 到漁隱亭 口占 示睦達夫二首 : 어은정에 도착하여 입으로 읊어 목달부에게 보이다 = 463
    • 446 憶亡友朴仲久 : 죽은 친구 박중구를 그리며 = 464
    • 447~448 贈坦一二首 : 탄일에게 지어 주다 = 465
    • 449 偶吟贈人 : 우연히 읊어 어떤 이에게 주다 = 466
    • 450 驪江 : 여강에서 = 466
    • 451~452 走筆二首 : 급히 붓을 들어 쓰다 = 467
    • 453 次洪學士見寄韻 : 홍학사가 부쳐온 시에 차운하다 = 468
    • 454 寄友人 : 벗에게 지어 부치다 = 469
    • 455 偶吟 : 우연히 읊다 = 469
    • 456~457 送南宮汝相之慈仁縣二首 : 자인현으로 가는 남궁여상을 전송하며 = 470
    • 458 至月十九夜 夢金剛山 : 동짓달 열아흐레 밤에 금강산을 꿈꾸다 = 471
    • 459 詠松 : 소나무 = 471
    • 460 逢僧偶吟 : 스님을 만나 우연히 읊다 = 472
    • 461~468 愛閑亭八景 次月沙李相公韻八首 : 월사 이상공의 애한정 팔경시에 차운하다 = 473
    • 469 행장초에 실린 시 = 477
    • 연보 = 479
    • 柏谷 金得臣의 연보
    더보기

    온라인 도서 정보

    온라인 서점 구매

    온라인 서점 구매
    서점명 서명 판매현황 종이책 전자책구매링크
    정가 판매가
    (할인율)
    포인트
    (포인트몰)

    국역 백곡집 - 고전총서 1

    절판 25,000 원 22,500원 (10%) 종이책 구매 1,250 포인트

    국역 백곡집

    절판 25,000 원 22,500원 (10%) 종이책 구매 250 포인트 (1%)
    • 포인트 적립은 해당 온라인 서점 회원인 경우만 해당됩니다.
    • 상기 할인율 및 적립포인트는 온라인 서점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RISS 서비스에서는 해당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보증하거나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