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A.S.C 영상자료를 통한 한국전쟁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 아시아문화연구소 소장 A.S.C 영상자료의 가치와 내용 검토- = The New Research Potential for the Korean War with the ASC Video Materials -The Significance of the ASC Video Material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1-132(32쪽)
제공처
2000년대 들어 한국 현대사 분야는 새로운 자료의 발굴과 이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필자는 신자료 발굴이라는 측면에서 최근 등장한 “영상역사학”에 관심을 가졌다. 특히 영상역사학의 연구 방법과 대상에 관해 관련 학계의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중에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가 소장하고 있는 ‘미육군통신대(Army Signal Corps) 촬영 한국전쟁 동영상(A.S.C 영상)’을 주목하였다. 이 논고에서는 아시아문화연구소 소장 한국전쟁 동영상 자료의 가치와 내용을 검토하여 한국전쟁 분야의 새로운 연구 가능성을 찾아보고, 아울러 ‘영상 역사 기록물’에 대한 심도 있고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이 기록물이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S.C 영상 자료의 가치와 내용 검토를 통해 첫째, 미공개 동영상의 존재를 밝혀 새로운 사료 발굴이 가능하다는 점, 둘째, 문헌자료에 대한 보완 및 명징이 가능하다는 점, 셋째, 평면적 사료의 입체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고, 이로써 한국전쟁 연구에 있어 기존 문헌 기록을 통한 연구와 A.S.C 영상자료의 연구가 상호보완적 상승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영상자료는 열람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과 촬영자나 편집자의 시각에 의해 1차로 걸러진 자료라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과 아카이브 작업의 발달로 탐색 및 열람의 편의성이 높아지고 있고, 촬영자가 의도하지 못한 여러 정보를 담고 있는 영상 자료를 연구자의 관심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석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가능한 대로 동원할 수 있는 문헌 기록은 관련된 영상자료를 참고할 수 있다면 더욱 설득력 있는 증거로 빛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영상 자료는 언제, 무슨 일이, 어떤 방식으로 일어났는지, 그리고 그 시대를 살았던 일반 사람들은 어떤 식으로 반응했는지에 관한 정보를 얻는 데 문헌 기록으로는 담지 못할 만큼 상세하게 상황을 알아볼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약 200시간이라는 방대한 분량의 ‘영상 역사 기록물’에 대해 앞으로 보다 심도 있고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가치와 필요성은 확인되었다고 생각된다.
더보기With the turn of the century, “visual history" is attracting more and more attention amid growing concern for the newly-revealed data about the modern history of Korea and the related research. When I felt the need to discuss the method and range of visual history, it is very natural that I come to give special attention to the image materials of the Korean War(the ASC video materials) which were filmed by the 'US Army Signal Corps' and are now kept in Hallym University Institute of Asia Culture Studies. It is to be wished that elaborate scrutiny into these video materials opens up the new research potential for the Korean War, leading accordingly to in-depth researches into ‘visual historical records’ in a variety of study domains. As a result of our consideration, the advantages that the ASC video materials can bring about appear as follows ; firstly, reviewing the undisclosed image materials makes it possible to bring new historical data into light ; secondly, it supplements and clarifies the existing historical literature ; thirdly, it contributes to making rather flat records three-dimensional. Furthermore, it is assured that the research of the ASC video materials can be fairly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existing historical records. Meanwhile, there are also limits to some degree in that it is not easy for the general public to access to these materials and they were filtered by the views of the photographer and editor involved.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archive processing which improve the process of data inquiry and reading, it is getting more convenient to analyze in a variety of ways according to researchers’ concern these video materials, which contain much of information unintended as well. References to these materials will enhance persuasive powers of the existing literature records now available. Their advantage of getting concrete information about when and in what way something happened and about how ordinary people responded to it, goes far beyond the scope of literature data. These considerations surely prove that these ‘video historical records’ of vast proportions are definitely worth more thorough and systematic research.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