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만주 공간을 바라보는 남성적 시선과 여성 인물의 재현 = Masculine Viewpoint of Manju and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Characte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주제어
KDC
8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3-167(25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본고는 ‘일제말기 한국문학과 만주’ 관련 연구 분야에 ‘페미니즘 지리학’ 방법론을 도입함으로써, 만주 배경 소설에 나타난 남성적 시선에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이효석의 『벽공무한』이나 한설야의 『대륙』과 같은 작품에서 만주 공간은 정복하고 소유할 수 있는 개척지로서 인물의 모든 욕망을 판타지적으로 충족시키는 서사 전개의 무대이다. 식민지를 바라보는 시선은 제국주의적인 동시에, 남성이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을 그대로 닮아있다. 만주 공간은 현실 공간인 조선과 분리된 채 남성적 야망을 충족할 수 있는 닫힌 공간으로 재현되었다. 이러한 닫힌 공간에 틈을 낼 수 있는 가능성은 인물들의 위치나 태도, 만주 공간의 내/외부를 가로지르는 어떤 장소 등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사랑의 수족관』의 여성 인물 ‘강현순’의 역설적 위치에서 그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중심 공간인 경성에 속해있지만 그 중심의 힘인 자본(혹은 권력)을 소유하거나 지향하지 않고 자신만의 삶의 태도로서 중심에 속한 인물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벽공무한』의 여성 인물 ‘나아자’는 남성의 이상향을 그대로 체현한 인물인 반면, 『대륙』의 ‘마려’는 주체적 의지와 판단에 의해 행동하는 인물이다. 하지만 그러한 자발적 협력은 일본의 제국주의적 힘이나 자본의 영향력을 가리는 은폐막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대륙』에 그려진 만주 공간의 가능성은 여성 인물이 남성적 시선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처럼 자본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전제 위에서 펼쳐지는 (불)가능성일 수밖에 없다. 이렇게 보면 만주 공간을 바라보는 남성적 시선과 여성 인물의 재현은 일정한 연관성 하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This study is aimed to question masculine viewpoint observed in the novels with Manju as setting by introducing applying the methodology of ‘feminism geography’ to research area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and Manju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of Korea'. As seen in Lee Hyo-seok's novel 'Byeokgongmuhan' or Han Sul-ya's novel 'Continent', Manju is the space where narration is unfolded satisfying all sorts of human desires in a fantastic manner, as a conquerable and possessable land. The perspective on the colony is imperialistic and similar to that on which men have women. In the novels, Manju was represented as a closed space away from the reality - Chosun - and satisfying manly desires. The potential to crack such close space can be found in character's situation and attitude and some locations cutting across Manju.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find the potential in the situations in which 'Kang Hyun-soon', who is a female character in the novel 'Aquarium of Love'. Although placed in Gyeongseong (Seoul), which is a central space of the storylines, she influenced over other characters in the center with her own attitude to her life, without possessing or pursuing capital (or authority), which is the main force of the center. While 'Naaja' the female character of 'Byeokgongmuhan' materializes male masculine utopia as it is, 'Marye' in 'Continent' is a female character that acts on her subjective will and judgement. However, such voluntary cooperation can be a bank to protect and conceal the power of Japanese imperialism or the influence of capitalism. Therefore, the potential rendered onto the space of Manju in 'Continent' cannot be possible because the novels were written under the premise that take Manju can't be free from the power of capital just as the female character is not free from the perspective of male characters. Judging from this aspect, male viewpoint and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characters are connected in the same context.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7-07-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Dong Nam Eo-Mun-Hak-Hoi -> Dongnam Journal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
2007-06-2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Dong Nam Eo-Mun-Hak-Hoi -> The Society of the Dongnam Language & Literature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1 | 0.51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2 | 0.774 | 0.0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