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령자의 이용성 향상을 위한 선형공원의 공간요소 분석 = Spatial Element Analysis of Linear Parks to Improve Usability for the Elderl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43-354(12쪽)
제공처
(연구배경 및 목적) 한국의 고령화와 기대수명 증가로 인해 노인들의 정신적·사회적 문제가 증가하고 있으며, 여가시간의 확대로 활동 공간 부족 문제가 심화되면서 이로 인한 삶의 질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 특히 야외 공간으로서 공원에 대한 노인들의 만족도가 점차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형공원은 철도 부지를 재활용하여 길게 조성된 공원으로, 다수의 출입구를 통해 여러 지역에서 접근이 용이하고, 주거 지역과 인접해 있어 교통 약자인 고령층에게 유리한 공간적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고령자들이 선형공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고령친화적인 기초 자료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고령자의 여가생활과 활동 공간 부족 문제를 문헌 조사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서울의 대표적인 선형공원인 경의선숲길과 경춘선 숲길을 중심으로 실증적인 공간 평가를 실시하였다.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고령친화공원과 관련된 다양한 논문을 검토한 결과, 6가지 평가 차원(공평성, 안전성, 편리성, 인지성, 접근성, 쾌적성)을 선정하고, 각 차원에 대응하는 세부 평가 항목을 포함한 체크리스트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현장조사에서는 이 체크리스트를 기반으로 실제 공간을 평가하여, 고령친화적인 공원 요소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접근성, 안전성, 편리성, 공평성, 인지성, 쾌적성 순으로 공간의 요소들이 체크리스트에 부합했다. 이 결과를 토대로 고령친화적 선형공원을 위한 기본 가이드라인을 장소별로 제시하였다. 진입부는 고령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경사로와 충분한 보행폭을 확보하여 안전하게 설계되어야 하며, 보행로는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안전한 마감재를 사용하고, 야간에도 안전한 통행이 가능하도록 조명이 설치되어야 한다. 안내 및 경고 시설은 큰 글자와 가독성이 높은 글자체를 사용하여 시각적 편의성을 제공하고, 고령층이 쉽게 정보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휴게시설은 팔걸이와 등받이가 있는 벤치를 배치하고 그늘을 제공하여 고령자가 편안히 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운동시설의 경우,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마감재를 사용하고 휠체어 사용이 가능한 기구를 설치하여 다양한 신체 상태를 고려한 시설이 필요하다. 특히 운동시설 기구의 추가 배치가 요구된다. 부대시설로는 안전 강화를 위해 CCTV와 비상 호출벨을 설치하고, 접근성이 높은 위치에 장애인 화장실을 배치하여 고령자의 편의를 증진해야 한다. (결론) 본 연구는 고령자의 보행 활동 증진, 고령친화적 환경 조성, 근린공원 이용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연구의 한계로는 특정 지역에 국한된 연구 대상, 응답자의 주관적 편견, 인터뷰 응답의 제한 등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과 대상자를 포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해보인다. 또한, 다양한 공원 유형을 대상으로 한 비교 연구와 양적 연구 병행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보다 포괄적이고 일반화된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South Korea's aging population and increasing life expectancy, mental and social issues among the elderly are rising, alongside a concerning decline in life quality due to insufficient activity spaces amidst expanding leisure time. Notably, elderly satisfaction with outdoor spaces such as parks is gradually decreasing. Linear parks, typically repurposed from former railway land, feature elongated layouts with multiple access points, making them easily accessible from various areas. These parks are often located near residential neighborhoods, presenting advantageous spatial characteristics for elderly individuals with limited mobility.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develop resources for elderly-friendly linear park design to enable effective use by older adults. (Method)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d the leisure activities and spatial deficiencies of older adults through literature review, creating a checklist based on this analysis. Focusing on two prominent linear parks in Seoul, Gyeongui Line Forest Park and Gyeongchun Line Forest Park, the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spatial evaluation. A review of prior studies and literature on age-friendly parks identified six evaluation dimensions: equity, safety, convenience, legibility, accessibility, and comfort. These dimensions were then used to form a checklist of detailed evaluation items for each. Using this checklist, the field survey gathered empirical data on elderly-friendly park elements.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spatial elements ranked as follows: accessibility, safety, convenience, equity, legibility, and comfort. Based on these findings, basic guidelines for age-friendly linear parks were proposed by specific area. For entryways, ramps and sufficiently wide walkways should enhance accessibility for the elderly, while walkways should have slip-resistant materials and lighting for safe nighttime navigation. Signage and warning facilities should use large, high-visibility fonts to aid accessibility, allowing the elderly to easily understand information. Rest areas should offer benches with armrests and backrests and shaded areas for comfort. For exercise facilities, slip-resistant flooring and equipment accessible to wheelchair users should be provided, with an emphasis on increasing equipment variety to accommodate diverse physical conditions. Auxiliary facilities should include CCTV and emergency call bells to enhance security, as well as accessible restrooms strategically located to improve convenience.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enhancing walking activity, fostering age-friendly environments, and promoting neighborhood parks for the elderly. Additionally, it offers a basis for industry development and policy formation. However, the study is limited by its focus on specific regions, potential for subjective bias in responses, and limitations of interview data.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a broader range of regions and subjects. Comparative studies across various park types and quantitative research are also recommended for more generalized finding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